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최종보고서

국토교통R&D 연구개발보고서 글보기
국토교통R&D 연구개발보고서 글보기
과제고유번호 02산학연A01-03
연구사업명 건설기술연구사업
연구과제명 상수도 Lifeline의 통합 설계시스템 개발
연구책임자 김문겸 당해년도
참여 연구원수
54명 당해년도
연구비
정부 : 200,000,000 원
기업 : 72,000,000 원
계 : 272,000,000 원
총 연구기간
참여 연구원수
148명 총연구비 정부 : 473,000,000 원
기업 : 175,000,000 원
계 : 648,000,000 원
연구기관명 및 소속부서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참여기업명 -
참여연구기관명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 발간번호 -
ISBN -
(가) 최종목표
- 매설관로의 피로설계 기법의 개발 및 설계 가이드 라인의 제시
- 매설관로의 내진설계 기법의 개발 및 설계 가이드 라인의 제시
- 상수도 Lifeline의 무용접 조인트 성능향상 및 시제품 개발
- 목표 설계수명에 대한 적절한 매설깊이의 제시
(나) 최종목표의 성격 및 설정 근거
- 최종목표의 성격
본 연구의 최종목표는 상수도 매설관로의 대표적 지배인자 도출, 지배인자에 대한 피로 및 내진설계, 시공의 적정성 평가, 무용접 조인트 공법 성능향상과 같은 각각의 모듈을 완성하고 이를 통합하여 기존 용접연결 뿐만 아니라 무용접 조인트를 고려한 상수도 Lifeline의 통합 설계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각 세부 모듈별 완성목표는 유/무형의 제품개발과 공정개발의 성격을 갖는다. 본 연구를 통하여 예상되는 개발품은 다음과 같다.
공정개발 : 상수도 매설관로의 피로/내진 설계기법 및 가이드 라인의 제시

- 최종목표의 설정 근거
국내에 다양한 매설관로의 잦은 교체공사로 인한 경제적인 낭비를 고려할 때 설계 시점으로부터 목표수명을 설정하고 시공시 적절한 매설깊이를 제시하여 잔존수명의 효율적 연장을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최종목표의 설정은 매우 유효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관로 연결부에 대한 실험적 연구와 이를 통한 제품성능향상을 통해 관의 설계수명을 연장시키고 이로 인해 각종 경비를 절감하는 연구는 필수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기 가설된 구조물의 안전 및 노후도에 관한 점검과 이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해 왔으며 특히, 매설관로의 수명평가 및 부식의 영향에 대한 연구 실적을 가진 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과 다수의 피로파괴에 대한 실험 실적을 가진 성균관대학교, 국내 Lifeline 연구의 개념정립에서부터 시작하여 지진해석에 이르기까지 다수의 연구 실적을 보유한 연세대학교, 그리고 관로의 무용접 연결공법의 개발실적을 갖는 아세아조인트가 공동연구진을 구성하였다. 본 공동연구체제를 통해 상수도 Lifeline의 통합설계 시스템 개발에 참여한다면 주어진 연구기간과 연구비로 소기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색인어 한글 매설관로 상수도 피로설계 내진설계 무용접조인트
영문 lifeline tab water fatigue design seismic design unwelded joint
관련첨부파일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