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최종보고서

국토교통R&D 연구개발보고서 글보기
국토교통R&D 연구개발보고서 글보기
과제고유번호 22TSRD-C151228-04
연구사업명 쇠퇴지역 재생역량 강화를 위한 기술개발
연구과제명 쇠퇴지역의 도시공간 위험성 분석 및 도시회복력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
연구책임자 이삼수 당해년도
참여 연구원수
5명 당해년도
연구비
정부 : 6,060,000,000 원
기업 : 2,356,260,000 원
계 : 8,416,260,000 원
총 연구기간
참여 연구원수
24명 총연구비 정부 : 17,208,000,000 원
기업 : 6,797,010,000 원
계 : 24,005,010,000 원
연구기관명 및 소속부서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참여기업명 -
참여연구기관명 한국토지주택공사
등록 발간번호 -
ISBN -
○ 이 연구의 최종목표는 도시재생역량 강화를 위해 쇠퇴지역의 도시공간 위험성 분석 및 도시회복력 향상 기술을 개발하는 것임
○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크게 세 개의 세부로 연구체계를 구성하고 각 세부별 연구목표를 설정함
- 1세부의 최종목표는 도시재생지역의 도시공간 재난재해 위험성 분석 및 예측 기술 개발을 통해위험성 분석 정보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임
- 2세부의 최종목표는 도시재생지역의 도시회복력 향상 기술 개발을 통해 경제적·사회적·정책적 최적솔루션 패키지를 개발하는 것임
- 3세부의 최종목표는 도시재생 회복력 강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 및 종합실증을 위해 도시재생지역 종합진단기술, 계획지원시스템 등의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실증단지에 적용하여 실제 도시재생사업에서 기술들이 적용될 수 있도록 함
○ 각 세부의 최종목표 달성을 위해 연구를 4차년도로 구성하고 각 연차별로 연구목표를 설정함
- 1차년도의 연구는 기술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 기술개발의 요소를 발굴하는 단계임
- 2차년도는 실제 기술개발이 완료되면서 기술들의 모의 실증을 하는 단계임. 이는 연구를 통해 개발된 기술들이 실제 도시재생사업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실증연구를 2차년부터 실시함
- 3차년도는 지속적으로 기술을 개발하여 완성시키는 단계이며 도시재생사업에 종합실증을 실시하는 단계임. 특히 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 진행하는 도시재생사업지역에 개발된 기술을 적용하여 기술개발의 적합성 및 보완사항을 모니터링함
- 4차년도는 3차년도에 이어 종합실증을 지속적으로 실시하면 모니터링된 결과를 바탕으로 기술을 고도화하고 시스템을 안정화시키는 단계임
○ 각 세부별 연차별 연구목표는 다음과 같음
- 1세부 : 도시재생지역의 도시공간 재난재해 위험성 분석 및 예측 기술 개발
· 1차년도 : 재해위험성 정보 DB 구축 및 측정기술 기초연구
· 2차년도 : 쇠퇴지역 재난재해 위험성 정보 플랫폼 개발 및 모의 실증
· 3차년도 : 재난재해 예측 기술 개발 및 종합실증
· 4차년도 : 재난재해 위험성 정보 플랫폼 고도화
- 2세부 : 도시재생지역의 도시회복력 향상 기술 개발
· 1차년도 : 재난재해 계획요소 도출 및 위험성 저감 최적 솔루션 패키지 개발
· 2차년도 : 도시재생지역의 재난재해 맞춤형 최적 솔루션 패키지 개발
· 3차년도 : 도시회복력 공간설계 기법 개발 및 솔루션 패키지 매칭 시스템 모의 실증
· 4차년도 : 솔루션 패키지 매칭 플랫폼 고도화
- 3세부 : 도시재생 회복력 강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 및 종합 실증
· 1차년도 : 도시재생 종합진단 시스템 및 계획지원 시스템 기획요소 발굴 및 실증단지 선정
· 2차년도 : 도시재생위험지역 관리를 위한 관리방안 마련 및 법제도 개선안 마련, 종합진단 시스템 및 계획지원 시스템 개발
· 3차년도 : 도시재생 실증단지 운영을 통한 종합진단 시스템 및 계획지원 시스템 종합 실증
· 4차년도 : 실증결과를 반영한 회복력강화 인프라 고도화 종합진단 시스템 및 계획지원 시스템 고도화
색인어 한글 쇠퇴지역 재난재해 위험성 분석 도시회복력 도시재생
영문 Declining areas Disaster Risk analysis Urban resilience Urban regeneration
관련첨부파일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조직도 담당업무 참조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