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SMK 상세보기

SMK 기본정보

SMK 기본정보
기술명 개방형 데이터 허브 플랫폼 구축(환경, 에너지, 생활복지)
개발 배경 및 필요성 - 스마트시티는 미래 기술 개발과 적용을 통해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고,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하여 산업의 성장을 견인하는 플랫폼으로 인식되고 있음
- 스페인 산탄데르와 같이 스마트시티의 구축을 통하여 도시를 구성하는 여러 주체가 도시에서 발생한 다양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존과는 차별화된 기술과 비즈니스를 창출하는 사례가 점차 확대되고 있음
- 도시의 환경/에너지/생활복지 측면의 복합적인 이슈 해결을 통한 지속가능성 확보와 성장을 위해서는 도시의 다양하고 방대한 양의 데이터 소스를 융합해야 하므로, 이를 위해서는 개방형 데이터가 중요함
- 개방형 데이터 허브를 기반으로 한 미래 기술 검증과 신산업 창출 및 확산을 위해서는 스마트시티 기술의 표준화와 데이터의 상호운용성이 중요한 요소임
- 스마트시티의 Open API와 표준화에 대한 다음의 사례를 통하여 개방형 데이터 허브의 방향성을 확인할 수 있음
기술 개요 - 도시 공간에서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대규모 데이터의 실시간 수집 및 내·외부 오픈 데이터와의 상호운용성을 기반으로 도시 서비스의 지속적인 고도화의 정교화를 지원하는 환경, 에너지, 생활복지 및 자유공모 리빙랩 서비스를 위한 지속가능한 성장형의 개방형 데이터허브 플랫폼 구축
- 도시 공간의 인프라, 행위 주체들로부터 생성되는 데이터의 수집·저장, 가공 및 분석, 시각화를 지원하여 환경, 에너지, 생활복지 분야에서 제안되는 다양한 리빙랩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는 환경 제공
- 데이터 기반 스마트시티의 신뢰도 향상을 위해 도시 데이터의 생성에서 저장, 품질관리, 폐기 등의 라이프사이클 관리 기능 제공

기술의 특장점

기술의 특장점
기존 기술 대비 차별성 ? 개방형 데이터 허브 플랫폼은 기존의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개발된 스마트시티 모델과도 연계되고, 기존의 도시관리 시스템과의 연계 및 데이터 통합이 원활히 이루어짐으로써 시민에 필요한 서비스를 쉽게 제공하고 서비스 개발 지원이 용이함
? 스마트시티에서 ICT의 핵심 가치 중 하나는 정보를 적시에 확보하고 공유할 수 있는 기능임. 도시가 주어진 상황에 잘 대처한다 해도, 즉시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다면, 교통 지·정체, 정전, 정수와 같은 근본적인 도시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할 수 없음
- 정보가 정확하게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경우 문제가 제기되기 시작하기 전에, 도시는 잠재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음. 스마트시티는, 따라서, 시민들이 상황에 대해서 많은 정보를 취득하고, 긴급 상황에서 적기에 대처할 수 있게 할 수 있다면, 시민 삶의 질 향상을 가져올 수 있게 됨
? 스마트시티에서 핵심적인 기능을 하는 ICT의 각 단계별 연결성에 있어서, 다각적인 기능에 대해서 정리하면 다음과 같음. 스마트시티에서는 방대한 양의 도시데이터를 가능하면 저렴하게 실시간으로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결성을 가짐 - 데이터는 최초 센서와 분석기술, 네트워크, 분석과 응용, 데이터웨어하우스의 흐름으로 수집-저장-처리-분석 단계를 거침
? 스마트시티는 초연결 네트워크사회의 도래에 따라 사물과 사물, 사물과 사람, 사람과 서비스, 사물과 서비스 등 다양한 연결형태가 존재하게 되며, 특히 도시 관리의 핵심인 인프라와 도시 관리자간의 데이터를 통한 연결, 도시 관리자와 시민과의 서비스를 통한 연결, 시민의 니즈와 도시행정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한 연결이라고 봄
기술 경쟁력 - 스마트시티 데이터관리체계, 핵심기술개발, 표준화, 평가지표 등 스마트시티 모델개발 및 기반기술개발을 통해 도시 내 존재하거나 향후 생성되는 데이터에 대한 인식률을 제고하여, 의미 없이 손실되는 데이터를 최소화 가능함
- 개방형 데이터 허브 파생 대시민 서비스를 통한 시민 삶의 질 향상 및 데이터 기반 오픈 거버넌스 운영을 통한 시민 도시 운영 참여도 증대 - 오픈소스 기반 개방형 데이터 허브 확보를 통한 글로벌 기술 경쟁력 확보 및 해외 수출 기회 확대 및 데이터 수집, 유통, 저장 표준화를 통한 공공데이터 기반 스타트업 및 솔루션 기업 육성 가능
- 데이터 관리 부하 경감에 따라 서비스 시장 변화 및 다양한 사용자 요구에도 민첩하게 서비스를 개발하고 즉시 배포가 가능하여 서비스 시장 적시성 지원 가능
- 데이터 관리 및 공유 IT 자원을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던 초기 클라우드 서비스를 넘어,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 4차산업혁명을 견인하는 다양한 신 개념 서비스와 접목되어 신서비스 제공이 가능 - 신 부가가치 창출을 통해 글로벌 업체 중심에서 국내 중소기업 중심의 생태계로 전환하여 국내 업체들의 지속성장 가능한 성장 동력 확보 및 MS 등과 연계하여 해외시장 진출 기회 확보 ? 글로벌 시장 경쟁력 강화 - 개발된 서비스를 서버 시스템에 직접 설치하고 운영해야 하는 비용과 부담을 대폭 경감하여 개발자는 오직 서비스 개발에만 집중 가능 - 인프라 설치, 운용, 확장성, 배포 및 모니터링 등과 같은 관리 업무의 비용 감소 및 개발내용의 신속한 배포 및 적용 가능
- 큰 수고와 비용 없이 개발자들이 좀 더 빠르고 민첩하게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고, 서비스 운용을 위한 확장성 및 가용성에 대한 수고와 비용을 최소화하여 시장 변화에 즉시 대응
- (개인) 개발 및 테스트, 배포 등의 서비스 개발 및 유지보수에 필요한 복잡한 문제를 제거함으로써 누구나 아이디어만 있으면 데이터 허브블 기반으로 신속한 서비스 개발이 가능하여 4차산업 혁명 기반의 지능 서비스로의 전화 가속화
- (사회) 데이터 허브 센터는 4차산업 혁명을 견인하는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의 첨단 서비스를 저비용으로 제공 가능함으로써 공공 서비스(안전, 국방, 의료 등)에 대한 문턱을 낮추고 정보 격차 해소
경제적 효과 ? 개발된 서비스를 데이터 허브 시스템에 직접 설치하고 운영해야 하는 비용과 부담을 대폭 경감하여 개발자는 오직 서비스 개발에만 집중 가능
- 인프라 설치, 운용, 확장성, 배포 및 모니터링 등과 같은 관리 업무의 비용 감소 및 개발내용의 신속한 배포 및 적용 가능
? 데이터 관리 부하 경감에 따라 서비스 시장 변화 및 다양한 사용자 요구에도 민첩하게 서비스를 개발하고 즉시 배포가 가능하여 서비스 시장 적시성 지원 가능
- 큰 수고와 비용 없이 개발자들이 좀 더 빠르고 민첩하게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고, 서비스 운용을 위한 확장성 및 가용성에 대한 수고와 비용을 최소화하여 시장 변화에 즉시 대응
? 데이터 관리 부하 경감에 따라 서비스 시장 변화 및 다양한 사용자 요구에도 민첩하게 서비스를 개발하고 즉시 배포가 가능하여 서비스 시장 적시성 지원 가능
- 데이터 관리 및 공유 IT 자원을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던 초기 클라우드 서비스를 넘어,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 4차산업 혁명을 견인하는 다양한 신개념 서비스와 접목되어 신서비스 제공이 가능
- 신가치 창출을 통해 글로벌 업체 중심에서 국내 중소기업 중심의 생태계로 전환하여 국내 업체들의 지속성장 가능한 성장동력 확보 및 MS등과 연계하여 해외시장 진출 기회 확보 ? 글로벌 시장 경쟁력 강화

시장성

시장성
시장규모 및 성장성 ? 최근 많은 국가들의 스마트시티 정책을 추진하고 있음
- 스마트 도시는 사물인터넷, 광대역 네트워크 등 ICT 기술을 도시에 적용하여 공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도시로 정의되며, 최근 많은 국가들이 스마트 도시로의 전환이 진행 중임
? (미국) : 오바마 정부는 `15년 사물인터넷 기술을 비롯한 다양한 스마트 기술에 1억 6,000만 달러(약 1,750억원)를 투자하는 스마트시티 이니셔티브(‘15년 9월), 스마트시티 챌린지(`16년 2월) 등을 이행하며 지원을 지속함
※ 스마트시티 이니셔티브는 경제성장 촉진, 스마트 공공 서비스 확대, 범죄 예방 등 당면 지역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 개발과 지원이 핵심임
? (인도) : `15년 스마트 도시 미션 발표 및 75억 달러(약 8조 1,953억 원)에 이르는 예산을 투입하여, 첨단기술 활용보다는 안정적 전력 수급, 상?하수도망 공급 현대화 사업에 주력하고 있음
? (싱가포르) : `14년 스마트국가계획(Smart Nation Initiative)*을 발표하고 16억 달러(약 1조 7,488억 원)를 투자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에너지 절감 사업과 자율주행 버스, 노인 모니터링 시스템, 버추얼 싱가포르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 중에 있음
* 스마트 국가 계획 : 시민, 기업 및 정부기관이 기술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인프라 및 공통 기술 아키텍처를 구축하여 광범위하게 연결하는 것이 목표이며, 보다 더 확장된 연결 , 데이터 수집을 통한 정확한 상황 분식 및 수집된 센서정보의 효과적인 공유가 가능하도록 구축할 예정임
? (영국) : `13년 이노베이트 UK는 미래 도시 캐터펄트(Catapult)라는 도시혁신센터를 설립하였으며, `15년부터 사물인터넷 기술을 적용하는 IoTUK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맨체스터 스마트시티 시범사업인 CityVerve에 1,620만 달러(약 177억 원)를 투자함
? (중국) 급격한 도시 인구 증가에 따른 인프라 부족, 도시 간 발전 격차 해소를 위해 스마트시티 발전 전략을 마련함
* `13년 국무원 산하 주택도시농촌건설부가 320개 스마트시티 조성 계획을 발표했으며 `14년에는 광대역 통신망 보급, 정보화 및 인프라 시설의 스마트화 등을 목표로 ‘신형 도시화 계획’을 수립함 * 제13차 5개년 계획(`14∼`20)에 포함된 ‘도시화 전략’일환으로 `20년까지 스마트시티 사업에 총 5,000억 위안(약 86조 2,300억 원)을 투입해 500개의 스마트시티를 건설할 계획임
? (일본)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응해 모든 사람이 필요한 제품과 서비스를 향유할 수 있는 초연결 스마트 사회를 ‘소사이어티 5.0’으로 명명(내각부, `15년)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로드맵을 꾸준히 업데이트하고 있음
? (베트남) 호치민시 ‘2017-2020 스마트시티 마스터플랜’이 확정되어 스마트시티 개발이 구체화 되었으며 세부 개발계획으로는 호치민시에 대한 공개 데이터베이스, 경제전략 연구센터, 스마트시티 행정센터, 정보보안센터 및 정보통신 기술 기반 설립 등을 포함함
응용분야(수요처) ? 스마트시티에 대한 개념 및 이해가 국가별 정책여건에 따라 상이함에 따라 구체적인 시장규모도 분석기관ㆍ범위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스마트시티 시장 규모가 크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함
- Frost & Sullivan은 세계 스마트시티 시장이 중국, 인도 등 신흥국을 중심으로 `20년에는 1.6조 달러(약 1,712조 8,000억 원), `25년에는 3.3조 달러(3,532조 6,5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함
- Navigant는 스마트시티 솔루션 및 서비스에 대한 세계 시장이 `17년 40.1억 달러(4조 2,927억 원)에서 `26년에는 94.2억 달러(약 10조 841억 원)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함
- CES 2018에서 CTA(Consumer Electronics Association)는 글로벌 스마트시티 시장규모가 `20년 340억 달러(약 36조 3,970억 원), `25년 887억 달러(약 94조 9,533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함

? 스마트시티 산업은 새로운 투자 유치, 일자리 창출 및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각광받으며 전 세계 600여 개 이상의 도시에서 앞다투어 도입에 박차를 가하고 있고, 2030년에는 인구 1천만명 이상의 도시가 현재 28개에서 41개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2050년에는 세계 인구의 약 70%가 도시에 거주할 것으로 예상됨

□ 국내 시장 동향
? ‘16년 4,784억원 규모에서 연평균 성장률 4.4%로 증가하여 ’22년에는 6,181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 ? 국내의 경우, 열악한 데이터플랫폼 시장 환경에 기인하여, 해외 플랫폼에 의존적이며, 빅데이터 서비스 중심의 시장이 주를 이루고 있음, 빅데이터 분석도구 시장은 ‘16년 2,184억원 규모에서 연평균 4.2% 성장하여 ’22년에는 2,795억원 시장 형성을 예측


연구성과 정보

* 지재권현황
순번 발명의 명칭 출원번호 관리현황

시공실적 및 시제품 현황
시공실적 및 시제품 현황 작성을 요합니다.
기술준비도(TRL) 기술개념확립  연구실환경검증  시제품제작  실제환경검증  신뢰성평가  상용품제작
R&D 수행이력 사업명 국가전략프로젝트
과제명 개방형 데이터 허브플랫폼 구축 총괄
총연구기간 2022-01-01 ~ 2022-12-31
총연구비 8,452,367,000원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