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One Card All Pass 표준기술개발 및 테스트베드 운영1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교통물류연구사업 과제번호 07PTSI-C043847-01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None | None | None 적용분야 -
2순위 None | None | None 실용화대상여부 -
3순위 None | None | None 과제유형 -
과제명 One Card All Pass 표준기술개발 및 테스트베드 운영
주관연구기관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이기한
소속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직위 교수
기관 대표번호 02)970-504 FAX 02)978-7931
총 연구기간 2007-11-12 ~ 2009-09-30
당해연도 연구기간 2007-11-12 ~ 2009-09-30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1차년도 3,600,000,000 0 687,218,000 687,218,000 4,287,218,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한 장의 교통카드로 전국 어디에서나 대중교통수단의 이용이 가능한 교통카드 전국호환 달성을 위하여, “KS에 따른 전국호환 교통카드 시스템의 개발”, “전국호환 교통카드 시스템 적합성 평가 툴 개발 및 평가”, “교통카드 전국호환 조기 상용화 및 발전 방향 개발”의 3개 연구개발과 개발된 기술과 시스템을 실제로 시험검증하고 향후 민간의 상용화를 지원하기 위한 “교통카드 전국호환을 위한 테스트베드 구축 및 운영 추진” 연구로 구성됨
최종목표 One Card All Pass 표준기술 개발 및 테스트베드 운영 사업 추진을 통하여 산업표준규격(KS)을 준수하는 전국호환 교통카드 시스템의 전국호환 가능성을 확인하고 조기 상용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함
- 산업표준규격(KS)에 따른 전국호환 교통카드, 지불SAM, 지불단말기, 정산 등 전국호환 교통카드의 운영을 위한 시스템과 호환교통정보집계시스템 등의 사양과 규격서를 개발하고, 이를 통하여 관련 시제품을 개발하여, 기본 기능을 시연하고
- 개발된 전국호환 교통카드 시스템 시제품에 대한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여 시제품의 기능 및 성능을 검증하고
- 적합성 평가가 완료된 시제품을 활용하여 테스트베드 구축하여 운영하므로서 전국호환 교통카드의 적용 가능성 확인 및 실 사용시 발생 가능한 문제를 미리 점검해 보며
- 전국호환 교통카드의 전국호환 적용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제시 검토하여 전국호환 교통카드의 조기 상용화를 유도하고, 전국호환 교통카드의 활성화를 촉진시켜 교통카드 전국호환이 조기에 실현되도록 기여하고자 하는 것임
연구내용 및 범위 o 전국호환 교통카드 관련 산업표준규격(KS) 분석
o 각 교통카드 사업자의 요구사양 추가 개발
o 산업표준규격에 따른 전국호환 교통카드 규격 개발
o 전국호환 교통카드용 지불SAM 규격 개발
o 전국호환 교통카드용 지불단말기 제품사양서 개발
o 전국호환 교통카드용 기본기능 시연시스템 규격 개발
o 전국호환 교통카드 정산 시스템 규격 개발
o 전국호환 교통카드 호환교통정보집계시스템 규격 개발
o 전국호환 교통카드 시제품 개발
o 전국호환 교통카드용 지불SAM 시제품 개발
o 전국호환 교통카드용 지불단말기 및 충전단말기 시제품 개발
o 전국호환 교통카드용 기본기능 시연시스템 개발
o 전국호환 교통카드 정산 시스템 개발
o 전국호환 교통카드 호환교통정보집계시스템 개발
o 개발 시제품을 활용한 기본 기능 시연
- 1차 : 2007년12월중, - 2차 : 2008년 5월경
o 평가기준 개발 : 적합성 평가 절차서, 적합성 평가 지침서
o 전국호환 교통카드 및 지불SAM 평가도구 개발
- Reference 지불단말기 설계 및 개발
- 적합성 평가용 Reference 단말기 관리 및 정산 시스템 개발
o 전국호환 교통카드용 단말기 평가도구 개발
- 평가용 S/W 개발
o 적합성 평가 수행 : 전국호환 교통카드, 지불SAM, 충전SAM,
지불단말기, 충전단말기
o 인증제도 수립 : 인증체계, 인증기관 구축 및 운영 방안
o 테스트베드 구축 및 운영 기본 계획 수립 : 운영 시나리오
o 테스트베드 인프라 구축
- 시스템 설치 : 단말기 설치, 시스템 설치
- 운영자 및 시험요원 교육
o 테스트베드 운영 실시
o 테스트베드 운영 결과 정리
o 개발된 전국호환 교통 카드 및 시스템, 적합성 평가, 테스트 베드 운영 결과 분석
o 전국호환을 위한 사전 검토사항 분석
- 전국계획, 지역계획, 특수부문 계획
o 전국호환 교통카드 조기상용화 방안 분석
o 교통카드 중장기 발전 방안 및 기술 활성화 방안 마련
- 전국호환 교통카드 홈페이지 구축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1차년도 o 전국호환 교통카드 시스템 표준기술 개발 - 표준 규격에 따른 사양서 및 설계규격서 개발
- 사양서 및 설계 규격서에 따른 전국호환 교통카드 시스템 개발
- 기본기능 시연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o 표준 기술 적용에 따라 교통카드의 기반 기술인 IC카드 기술, 단말기 처리 기술, 시스템 연계 기술들이 동반 발전할 것으로 예상됨
o 교통카드 이용내역 수집/정산기술, 교통카드 이용정보 처리기술 등이 발전하고 교통카드 이용자의 전국호환 교통카드 이용행태를 파악하여 새로운 서비스와의 접목 시도도 가능함
o 중복 투자 방지를 통한 교통카드사업의 서비스화 및 기술발전
- 중복투자 방지와 신규서비스 및 기술로의 투자유도가 가능함
- 교통카드사업의 서비스화 전환 및 사업자 경영여건의 개선이 가능함
- 아시아 및 국제 호환 교통 서비스로의 발전이 가능함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o 교통수단간 연계의 강화
- 전국 교통체계의 연계성을 강화할 수 있음
- 연계성 확보를 통한 국민들의 대중교통이용을 확대할 수 있음
o 통합 대중교통체계로의 발전
- 전국단위의 통합대중교통체계를 구축할 수 있음
- 단일 카드시스템 구현을 통한 차세대 교통 선진화를 실현하게 됨
활용방안 o 건설교통부의 신산업 성장동력 확보
- 교통카드 기반의 차세대 성장동력 확보
- 산업 컨버전스 성장동력 확보
- 교통수단간 연계의 강화
- 연계성 확보를 통한 대중교통이용의 확대
- 중복 투자 방지를 통한 교통카드사업의 서비스화 및 기술발전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전국호환 교통카드 교통카드 적합성 평가 테스트베드 상용화
영문 One Card All Pass Transportation Card Comformity Test Testbed Commercialize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0852_One Card All Pass 표준기술개발 및 테스트베드 운영.pdf   다운로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