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건축기전설비의 성능진단 및 유지 관리시스템 개발 연구2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국토교통기술촉진연구사업 과제번호 06TRPI-C043276-02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건설·교통 | 건설환경·설비기술 | 친환경건축물 기술 적용분야 -
2순위 None | None | None 실용화대상여부 비실용화
3순위 None | None | None 과제유형 응용
과제명 건축기전설비의 성능진단 및 유지 관리시스템 개발 연구
주관연구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이태원
소속 오산대학교 직위 교수
기관 대표번호 0 FAX -
총 연구기간 2005-06-30 ~ 2008-06-29
당해연도 연구기간 2006-06-30 ~ 2007-06-29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2차년도 93,000,000 0 0 0 93,00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설비의 유지ㆍ관리와 관련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설비의 운영 및 유지ㆍ관리에 소요되는 인력과 비용을 절감하고, 자원 및 에너지의 소비를 최소화하며, 쾌적한 주거공간의 창출에 기여함은 물론, 운전결과 기술자료의 피드백을 통한 관련분야의 기술발전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사항에 대한 연구개발이 필수적임.
1. 건축기전설비 성능분석기법의 개발 및 적용
2. 기존 설비의 유지관리체계(Facility Management System : FMS)의 개선 및 보급
3. 생애주기비용 분석 기반 유지ㆍ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 4. 유지ㆍ관리기준의 정비 등 관련 제도의 개선
최종목표 건축기전설비의 성능분석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 기존 설비의 유지관리체계(Facility Management System : FMS)의 개선 및 보급, 생애주기비용(Life Cycle Cost : LCC)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유지ㆍ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 등의 연구, 유지ㆍ관리기준의 정비 등 관련 제도의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본 연구의 최종 목표는 다음과 같다.
- 건축기전설비의 성능ㆍ열화진단기법 개발 및 제도개선 기본방향 도출
- 설비 성능, 고장 및 열화진단을 위한 FMS 활용방안 검토 및 LCC 분석기반 유지ㆍ관리 프로그램 개발
- 건축기전설비의 성능유지 및 자원ㆍ에너지 절약을 위한 유지ㆍ관리 프로세스 구축 및 제도개선(안) 도출
연구내용 및 범위 건설기술기반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하고자 하는 본 연구개발은 건축기전설비의 유지관리를 통한 성능확보, 주거환경 개선 및 자원 및 에너지의 절감을 지원하기 위한 유지관리 프로세스 구축 및 제도개선안의 도출을 주목표로 하고 있으며, 아울러 이를 실현하기 위한 성능열화진단기법, LCC 분석기반 유지ㆍ관리 프로그램 등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개발을 포함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3차 년도에 걸친 기술개발을 계획하였으며, 먼저 1차 년도에는 우선 성능진단 및 유지관리에 관한 국내외 관련기술과 국내외 관련제도를 조사 분석하고, 건축기전설비의 성능 및 고장 열화진단기법을 검토한다. 그리고 건축기전설비 종류별 성능, 고장 및 열화진단 시험방법을 개발하고, 성능 고장 및 열화진단 시험 장치를 제작하여 적용시험을 수행한다. 국내 실정에 적합한 건축기전설비 유지관리방안을 검토하여 건축기전설비 성능진단 및 유지관리를 위한 제도개선 기본방향을 제시 할 수 있다.
2차 년도에는 우선 국내의 FMS 기술현황을 분석하고, 건축기전설비의 성능 고장 및 열화진단을 위한 FMS 활용타당성 및 활용방안을 검토한다. 그리고 성능, 고장 및 열화진단을 위한 원격 모니터링 및 분석기법을 도출하고 LCC 분석 및 유지관리를 위한 설비별 자료수집 및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여 데이터 베이스를 바탕으로 LCC 분석에 의한 건축기전설비 경제성분석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다.
한편 본 연구의 3차 년도에는 건축기전설비의 성능유지 및 자원에너지 절약을 위한 유지관리 프로세스를 구축하고 관련 제도개선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LCC 분석결과를 활용한 유지관리방안을 검토하고, 성능진단 및 유지관리지침을 작성하며 유지관리를 고려한 건축기전설비의 설계 및 시공방안을 검토하고, 검토 개발기술의 종합 및 제도화방안을 검토하여 최종적으로 제도개선(안) 활용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
성능 및 고장ㆍ열화진단기법 개발, 시험방법 개발, 시험장치 제작 및 적용시험 수행. FMS 및 원격 모니터링 및 분석기법을 적용한 진단기법 검토. LCC 분석 및 유지ㆍ관리를 위한 설비별 데이터 베이스 구축 및 경제성분석 프로그램 개발. 설비의 성능진단 및 유지관리지침 작성. 개발기술의 제도개선 방안 제시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2차년도 건축기전설비의 성능분석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 기존 설비의 유지관리체계(Facility Management System : FMS)의 개선 및 보급, 생애주기비용(Life Cycle Cost : LCC)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유지/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 등의 연구, 유지/관리기준의 정비 등 관련 제도의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본 연구의 최종 목표는 다음과 같다.
- 건축기전설비의 성능/열화진단기법 개발 및 제도개선 기본방향 도출
- 설비 성능, 고장 및 열화진단을 위한 FMS 활용방안 검토 및 LCC 분석기반 유지/관리 프로그램 개발
- 건축기전설비의 성능유지 및 자원/에너지 절약을 위한 유지/관리 프로세스 구축 및 제도개선(안) 도출
건설기술기반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하고자 하는 본 연구개발은 건축기전설비의 유지관리를 통한 성능확보, 주거환경 개선 및 자원 및 에너지의 절감을 지원하기 위한 유지관리 프로세스 구축 및 제도개선안의 도출을 주목표로 하고 있으며, 아울러 이를 실현하기 위한 성능열화진단기법, LCC 분석기반 유지/관리 프로그램 등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개발을 포함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3차 년도에 걸친 기술개발을 계획하였으며, 먼저 1차 년도에는 우선 성능진단 및 유지관리에 관한 국내외 관련기술과 국내외 관련제도를 조사 분석하고, 건축기전설비의 성능 및 고장 열화진단기법을 검토한다. 그리고 건축기전설비 종류별 성능, 고장 및 열화진단 시험방법을 개발하고, 성능 고장 및 열화진단 시험 장치를 제작하여 적용시험을 수행한다. 국내 실정에 적합한 건축기전설비 유지관리방안을 검토하여 건축기전설비 성능진단 및 유지관리를 위한 제도개선 기본방향을 제시 할 수 있다.
2차 년도에는 우선 국내의 FMS 기술현황을 분석하고, 건축기전설비의 성능 고장 및 열화진단을 위한 FMS 활용타당성 및 활용방안을 검토한다. 그리고 성능, 고장 및 열화진단을 위한 원격 모니터링 및 분석기법을 도출하고 LCC 분석 및 유지관리를 위한 설비별 자료수집 및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여 데이터 베이스를 바탕으로 LCC 분석에 의한 건축기전설비 경제성분석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다.
한편 본 연구의 3차 년도에는 건축기전설비의 성능유지 및 자원에너지 절약을 위한 유지관리 프로세스를 구축하고 관련 제도개선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LCC 분석결과를 활용한 유지관리방안을 검토하고, 성능진단 및 유지관리지침을 작성하며 유지관리를 고려한 건축기전설비의 설계 및 시공방안을 검토하고, 검토 개발기술의 종합 및 제도화방안을 검토하여 최종적으로 제도개선(안) 활용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
성능 및 고장/열화진단기법 개발, 시험방법 개발, 시험장치 제작 및 적용시험 수행. FMS 및 원격 모니터링 및 분석기법을 적용한 진단기법 검토. LCC 분석 및 유지/관리를 위한 설비별 데이터 베이스 구축 및 경제성분석 프로그램 개발. 설비의 성능진단 및 유지관리지침 작성. 개발기술의 제도개선 방안 제시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 건축기전설비의 물리적 성능유지를 통한 효율향상
- 조기 고장예측, 진단 및 신속한 보수를 통한 설비의 내구성 향상
- 유지ㆍ관리 업무의 시스템화에 의한 저비용, 고효율의 설비시스템 운영
- 설비의 원격 모니터링 및 통합관리를 통한 설비 유지ㆍ관리 업무의 체계화
- 설비 및 시스템의 운전결과를 피드백함으로써 관련 기술분야의 발전 유도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 설비 유지ㆍ관리에 소요되는 인력 및 비용의 대폭적인 절감 (설비 생애주기비용(LCC) 차원에서 20% 이상의 비용절감효과 기대)
- 건물분야 자원ㆍ에너지 이용효율 제고 및 그에 따른 환경오염 억제
- 설비의 품질향상에 따른 주거환경 개선
활용방안 - 초기 설계과정에서 설정한 설비의 물리적 성능확보 및 진단에 활용
- 건축기전설비의 조기 고장예측, 진단 및 신속한 보수
- 설비의 원격 모니터링 및 통합관리에 의한 신속하고 정확한 관리
- 공공부문 설비의 인력 및 비용요소의 지표 관리
- LCC 분석 기반 사회, 경제적 요구조건(니즈)을 고려한 설비의 열화도 예측
- 종합 유지ㆍ관리 프로세스 구축
- 건축기전설비 성능진단 및 유지ㆍ관리를 위한 제도개선(안)으로 활용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건축기전설비 성능진단 유지관리 생애비용 제도개선
영문 Building service facilities Performance Maintenance LCC Legal system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0104_건축기전설비의 성능진단 및 유지 관리시스템 개발 연구.pdf   다운로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