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건설기술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한 건설기술 수준지표 개발 및 기술예측1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건설기술연구사업 과제번호 03CCTI-C040844-01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None | None | None 적용분야 -
2순위 None | None | None 실용화대상여부 -
3순위 None | None | None 과제유형 -
과제명 건설기술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한 건설기술 수준지표 개발 및 기술예측
주관연구기관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홍순기
소속 - 직위 -
기관 대표번호 - FAX -
총 연구기간 2003-08-20 ~ 2005-11-23
당해연도 연구기간 2003-08-20 ~ 2005-11-23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1차년도 100,000,000 0 0 0 100,00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국민생활수준이 향상함에 따라 쾌적하고 안전한 주거 및 업무 환경, 노인과 장애인을 배려한 복지환경, 지식정보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새로운 공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또한 사회적 요구가 다양해지고 정보통신기술과 건설기술의 발달로 구조물과 사회간접시설이 더욱 대형화,복합화하면서 다양한 기술이 결합된 고도의 시스템기술이 필요하게 됨

- 세계적으로 건설수요가 증대하면서 국제적인 수주시장의 규모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반면, 현지국가들의 건설기술수준 향상으로 우리나라의 해외진출 기회가 감소하고 있음.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부가가치가 높은 분야에서 선진 건설회사와 경쟁하기 위한 기술능력을 확보해야 함.

- 이러한 건설환경의 변화에 대비해, 건설업의 기술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건설 R&D 투자의 확대가 요구됨. 우리나라는 특히 1997년 말 외환위기 이후 몇 년간 국내외 건설수주가 감소하고 연구개발투자와 연구인력 등 연구자원이 실질적으로 감소하면서 건설기술잠재력이 약화되어 현재 우리나라의 건설기술수준이 선진국에 비해 낮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음.

- 이와 같은 환경변화와 국내 건설기술 수준을 감안할 때 건설시장 개방과 함께 변화하는 세계 건설시장에서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고 새로운 기술개발에 대한 투자 증대 및 다양화된 건설수요 충족을 위해 현재 우리의 기술경쟁력이 선진국 수준에 어느 정도 접근해있는지를 정밀하게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중장기적인 건설기술 개발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함.

- 효과적으로 건설기술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건설업의 생산성을 주요 선진국과 비교분석하고, 건설기술력의 현재 위상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지표의 개발이 필요함.또한 주요 건설기술을 대상으로 기술수준을 선진국가 비교하여 정밀하게 분석하고 건설기술의 미래를 전망하여 건설기술개발계획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확보해야 함.
최종목표 -본 연구에서는 건설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해 다음의 3 연구분야에서의 분석자료를 확보하여 건설기술수준의 현재 위치와 미래 잠재력을 평가함으로써 효과적인 건설기술개발계획 수립과 건설기술정책 수립에 기여하고자 함.
-분야별 연구의 목표는
1) 건설산업의 생산성 분석과 성장요인 분석
2) 건설 기술력지표개발과 국제 비교분석
3) 핵심 공종의 정밀기술수준 분석 및 주요 기술의 기술예측
연구내용 및 범위 (1) 생산성 측정
건설산업의 국제경쟁력 강화와 성장잠재력 평가의 기초자료인 생산성을 R&D Growth Accounting 방법을 사용하여 다음의 4단계로 분석함.

(가) 요소생산성
건설산업 전체의 노동생산성, 자본생산성 등의 추세를 분석하고 이를 미국, 일본, 독일 등과 비교
(나) 총요소생산성 또는 기술변화율
Kendrick과 Solow 모델을 사용하여 건설산업의 전체 효율성을 나타내는 총요소생산성을 측정
(다) 기술스톡의 측정과 연구개발 생산성
연구개발지출자료를 사용하여 자본스톡과 비교하고 1인당 기술지식스톡의 추세와 기술지식스톡당 부가가치 즉 기술지식 생산성을 분석
(라) 건설산업의 성장요인 분석
Griliches 모형을 사용하여 건설산업의 성장요인을 노동, 자본, 기술개발, 총요소생산성으로 구분하고 기간별로 분석하여 미래 건설산업의 성장잠재력을 평가

(2) 기술력 지표개발
건설산업의 다양한 특성을 나타내는 측정치를 사용하여 기술개발력과 기술수준 지표를 구한다. 그리고 이를 통합한 기술력 지표를 개발하며 이를 주요 선진국과 비교분석함으로써 총체적인 현 위상을 평가하고 미래를 전망.

(가) 기술력 지표 측정 방법론 개발
-OECD의 기술력 관련 지표 조사
-건설기술력 지표 모형개발
-가중치 결정방법: PCA, 회귀분석, 설문조사
(나) 개별지표자료의 수집과 분석
-기술개발지표 : 건설기술개발활동과 관련된 투입요소(Technology Input)
예)건설산업의 연구원 수, 근로자 1000명당 연구원 수,
총기술개발투자액중 건설산업의 구성비,
건설기술개발투자 대 GNP비율, 건설기술개발투자.
-기술수준지표 : 건설산업 생산활동과 관련된 산출요소(Technology output)
예)기술자수, 노동생산성, 자본생산성, 특허출원건수, 총투자액중 건설투자액의 구성비, 건설산업의 부가가치율, 해외건설수주비율, 건설국제수지비율
(다) 기술력의 시계열적, 국제적 비교분석
-기술력을 개별지표와 기술수준 및 기술개발력으로 구분하고 그리고 이를 종합한 총체적인 기술력의 차원에서 시계열분석과 국제비교 분석을 통해 우리의 현재 위상과 미래 잠재력을 평가.
(라) 국제비교 대상국: 한국, 미국, 일본, 독일 등

(3) 건설기술 분야별 기술수준 측정
(1)과 (2)가 건설산업의 생산성과 기술력을 거시적 수준에서 분석하는 반면, (3)은 기술수준의 현재와 미래를 미시적 수준에서 분석.
주요 시설물별로 기술수준을 건설선진국과 정밀하게 비교분석하여 우리나라 핵심건설기술의 현 위상을 파악하고, 주요 기술(분야)의 미래 기술 경쟁력 보유시기, 국제 수준과의 비교/예측

가) 기술수준 측정 이론 조사
-Martino, Gordon and Munson, Blackman, KISTEP 보고서
-측정 절차와 모형 검토
나) 주요 시설물의 선정과 기술체계 작성
-정밀기술수준 측정 대상의 선정
주요 시설물 5-6 가지(예: 현수교)
-기술체계(또는 기술tree)
다) 시설물별 기능적 능력의 선정과 자료 수집
-기능모수, 기술모수
라) 모형의 선정 및 기술수준 측정
-모형 선정 및 가중치 결정
-기술수준의 국제 비교/분석
마) 기술예측 대상 기술(분야) 선정 및 조사
-미래 기술 경쟁력 보유시기 등 예측 문항 선정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1차년도 -본 연구에서는 건설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해 다음의 3 연구분야에서의 분석자료를 확보하여 건설기술수준의 현재 위치와 미래 잠재력을 평가함으로써 효과적인 건설기술개발계획 수립과 건설기술정책 수립에 기여하고자 함.
-분야별 연구의 목표는
1) 건설산업의 생산성 분석과 성장요인 분석
2) 건설 기술력지표개발과 국제 비교분석
3) 핵심 공종의 정밀기술수준 분석 및 주요 기술의 기술예측
-가중치 결정방법: PCA, 회귀분석, 설문조사
(나) 개별지표자료의 수집과 분석
-기술개발지표 : 건설기술개발활동과 관련된 투입요소(Technology Input)
예)건설산업의 연구원 수, 근로자 1000명당 연구원 수,
총기술개발투자액중 건설산업의 구성비,
건설기술개발투자 대 GNP비율, 건설기술개발투자.
-기술수준지표 : 건설산업 생산활동과 관련된 산출요소(Technology output)
예)기술자수, 노동생산성, 자본생산성, 특허출원건수, 총투자액중 건설투자액의 구성비, 건설산업의 부가가치율, 해외건설수주비율, 건설국제수지비율
(다) 기술력의 시계열적, 국제적 비교분석
-기술력을 개별지표와 기술수준 및 기술개발력으로 구분하고 그리고 이를 종합한 총체적인 기술력의 차원에서 시계열분석과 국제비교 분석을 통해 우리의 현재 위상과 미래 잠재력을 평가.
(라) 국제비교 대상국: 한국, 미국, 일본, 독일 등

(3) 건설기술 분야별 기술수준 측정
(1)과 (2)가 건설산업의 생산성과 기술력을 거시적 수준에서 분석하는 반면, (3)은 기술수준의 현재와 미래를 미시적 수준에서 분석.
주요 시설물별로 기술수준을 건설선진국과 정밀하게 비교분석하여 우리나라 핵심건설기술의 현 위상을 파악하고, 주요 기술(분야)의 미래 기술 경쟁력 보유시기, 국제 수준과의 비교/예측

가) 기술수준 측정 이론 조사
-Martino, Gordon and Munson, Blackman, KISTEP 보고서
-측정 절차와 모형 검토
나) 주요 시설물의 선정과 기술체계 작성
-정밀기술수준 측정 대상의 선정
주요 시설물 5-6 가지(예: 현수교)
-기술체계(또는 기술tree)
다) 시설물별 기능적 능력의 선정과 자료 수집
-기능모수, 기술모수
라) 모형의 선정 및 기술수준 측정
-모형 선정 및 가중치 결정
-기술수준의 국제 비교/분석
마) 기술예측 대상 기술(분야) 선정 및 조사
-미래 기술 경쟁력 보유시기 등 예측 문항 선정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동 연구조사결과를 토대로 건설분야의 중장기 기술개발사업을 추진하는데 있어 정부연구개발투자 효과성 및 효율성을 제고시킬 수 있을 것임.
-건설기술의 중장기 마일스톤을 제시함으로써 국가차원의 건설R&D자원과 역량을 결집하는데 이론적인 토대가 됨
-동 연구과정에서 정립된 분석이론과 방법론은 앞으로 건설기술개발 기획과정에서 활용되어 연구기획방법론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져올 것임.
활용방안 -동 연구는 건설산업의 국제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생산성과 기술의 양 측면에서 거시적, 그리고 미시적 수준에서 선진국과 비교하여 우리의 현재와 미래의 위치를 매김하기 위한 것임.
-우리나라 건설산업의 생산성을 국제비교분석함으로써 국제경쟁력확보를 위한 방안 강구에 도움을 줄 수 있음.
-국가의 건설기술잠재력을 총체적, 개별적으로 파악하여 효과적인 건설기술의 중장기 개발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됨.
-건설기술력의 지표개발은 우리의 역사적 위치뿐만 아니라 세계건설시장에서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거시적 수준에서의 건설기술정책수립에 기여함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건설생산성 건설기술력지표 건설기술수준 건설기술예측 -
영문 construction productivity constructiontechnology indicator construction technology measurement construction technology forecasting -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0058_건설기술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한 건설기술 수준지표 개발 및 기술예측.pdf   다운로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