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철도시설물 전력설비 배전선로에 대한 무전원·무선 안전감시 기술 개발1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철도 배전선로 케이블 무전원 무선 안전 감시 기술 개발 과제번호 21ABCD-C164547-01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원자력 | None | None 적용분야 교통/정보통신/기타 기반시설
2순위 통신 | None | None 실용화대상여부 실용화
3순위 농림·수산 | None | None 과제유형 개발
과제명 철도시설물 전력설비 배전선로에 대한 무전원·무선 안전감시 기술 개발
주관연구기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이응돈
소속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직위 책임연구원
전화번호 042-860-6114 FAX 042-860-1085
총 연구기간 2021-04-01 ~ 2024-12-31
당해연도 연구기간 2021-04-01 ~ 2021-12-31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1차년도 4,200,000,000 100,911,000 651,839,000 752,750,000 4,952,75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연구개발 개요
>> 기존 센서의 설치가 불가능하거나 상시 전원이 없는 철도 배전선로 접속점에 개조 없이 센서를 설치하여 데이터를 자동 수집하고, 저전력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하여 AI 기반으로 접속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진단·평가 및 위험도를 분석함으로써 장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스마트 안전감시 유지보수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기술 개발 및 실증
- 철도 배전선로의 실시간 상태 감시 기반의 사고·장애 위치 특정 등을 위한 철도 배전선로 안전감시 기술 개발 및 실증
- 철도 배전선로 안전감시 기술의 측정데이터 기반으로 수명주기를 예측하고, 현장인력의 유지보수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안전감시·유지보수 통합관리시스템 개발 및 실증
>> 융합적 기술개발 관점
- 철도시설물 전력설비 배전선로에 대한 무전원·무선 안전감시 기술 개발을 통한 고속선, 간선철도, 전국 지하철 등 도시철도까지 적용·활용
*철도시설물 전력설비 배전선로의 지능형 통합 안전 및 유지보수 시스템 개발을 통한 선제적 유지보수 등 정확한 예지정비 기반 마련
- 국내·외 철도 및 전력분야의 이상감지 기술 확보를 통해 선진국 기술 종속화 탈피 및 관련 기술 분야 선도
*국내·외 철도 및 전력분야의 이상감지 시스템 시장 점유율 확대 및 수입대체
*철도시설물 전력설비 장애 30% 저감을 통한 철도교통 안전 확보

>> 연구개발 요약
- 철도시설물 전력설비 배전선로 안전감시 기술 개발 및 실증
* (전력모듈) 안전감시 센서 자가발전·전력저장·전력관리 기술 개발
* (통신모듈) 저전력, 중장거리 무선통신 기술 개발
* (센서모듈) 배전선로 안전감시 기술 개발
* (안전감시 센서) 전력모듈, 통신모듈, 센서모듈 조합을 통한 무전원·무선 안전감시 센서 개발
* (검증) 안전감시시스템*에 대한 테스트베드 구축

>> 철도시설물 전력설비 배전선로 안전감시·유지보수 통합관리시스템 개발 및 실증
- 빅데이터, AI 기반 배전선로 실시간 상태진단·평가, 위험도 분석, 수명예측, 수명주기비용(LCC) 분석 알고리즘 개발
* 장애개소 위치정보 분석 기술 개발
* 현장 유지보수 지원 시스템 개발
* 통합관리 시스템 개발 및 실증


현황 및 필요성
>> (철도 지중 전력케이블 현황) 지중 전력케이블 : 고속선로(1237km) / 일반선로(4851km)
>> (전력설비 장애) 철도 배전선로 장애발생 현황
>> (장애원인) 철도 배전 전력케이블 장애의 대부분은 열화현상에 의해 발생
- 열화 현상은 불규칙적으로 발생하고 소멸하는 비연속적 특성으로 점검대상이 불분명
- 열화 현상에 대한 정확한 요인을 규정할 수 없어 열화 현상의 메카니즘 도출 어려움
- 인력에 의한 정밀점검 시 고가의 분석 및 진단 장비 사용으로 과다한 비용이 발생
- 불규칙적으로 발생하는 특성으로 인해 정밀점검의 신뢰성도 보장할 수 없음
- 인력에 의해 철도 배전선로 케이블 전체의 지속적으로 상태감시 비경제적
- 현재 한계로 장애 발생 후 조치하는 사후점검 방식(장애복구에 최소 2일 ~ 4주 소요)
>> (장애현황) 한국철도공사 조사결과에 따르면, 전철전력분야 사고·장애발생의 대다수(75%, 총 30건/전체 40건)가 전력 케이블 관련 장애
>> (현재 관리방식 및 한계) 현재 지중의 철도 배전선로 케이블의 사고·장애 발생시, 상시전원이 없는 철도 배전선로에 대한 인력기반의 수동검지기로 사고·장애 위치 특정

연구개발 목표
>> 철도시설물 전력설비 장애비용 30% 저감하기 위한 배전선로에 대한 무전원·무선 안전감시 기술 개발 및 실증 연구
>> (편익) 총 5,484억원* 비용절감 효과
- * (산식) 연간 유지보수비 점검비용(365.6억원) × 절감기간**(15년)
- ** 절감기간 : 철도배전선로의 교체주기(내구연한, 15년)를 절감기간으로 설정
- ① (유지보수비용 절감) 연간 유지보수비 366억원 절감 효과
- ② (고장발생시 피해비용 절감) 현재 배전선로는 이중화, 삼중화 시공으로 사고발생시 열차 중단의 직접적 피해는 없으나 ☞ (연구개발의 필요성) 전철전력설비 중에 가장 많은 고장이 발생하며, 사고발생시 정확한 배전선로 상의 장애위치 특정/발견과 배전선로 상태 사전진단을 통한 사고예방 측면에서 연구개발 필요

예상 수요처
>> (국가철도공단) : 철도 시설물의 관리기관으로 철도 배전선로의 교체주기를 장기화하여 시설물 투자비용 절감 필요
>> (한국철도공사) 철도 시설물의 유지보수 위탁기관으로 철도 배전선로의 안전감시, 유지보수 통합관리시스템 체계적·효율적 유지보수 필요
>> (도입의지) : 국가철도공단, 한국철도공사는 안전감시 기술 등의 개발·실증을 거쳐 향후에 현장도입 [본 R&D과제 공동연구기관 참여]
최종목표 철도시설물 전력설비 장애를 30% 저감하기 위한 배전선로에 대한 무전원·무선 안전감시 기술 개발 및 실증 연구

- 철도시설물 전력설비 배전선로의 무전원 환경에서 실시간 상태감시 및 위험도 평가·예측하는 안전감시 기술 개발 및 실증
[성능 지표 정의]
. 철도 배전선로 안전감시를 위해 수집되는 센서 정보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이상상황 발생 유무 판단 정확도 검증하는 방법
[성능목표치 근거]
. 국내·외 최고수준에 근접한 연구개발 성과물 적용
[성능목표치 평가방법]
. 실시간 상태감지 및 위험도 평가·예측을 위한 전력모듈 자가발전량, HFCT HFCT : High Frequency Current Transformer(고주파 전류 변환기)의 검출감도, 송신모듈 소비전력량/수신성능/전송성공율, 데이터보안성 등을 이용하여 이상상황 판단결과와 실제 이상상황 발생과의 정확도 평가

- 철도현장의 유지보수를 지원하기 위한 안전감시·유지보수 통합관리시스템 개발 및 실증
[성능 지표 정의]
. 철도 배전선로 시설물 유지보수 지원을 위해 상태진단 및 평가, 위험도 분석, 수명예측, 수명주기비용 분석등의 통합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운영방안을 검증하는 방법
[성능목표치 근거]
. 국내·외 최고수준에 근접한 연구개발 성과물 적용
[성능목표치 평가방법]
. 실시간 통합 유지보수 관리를 위해 징후감지, 초기대응, 비상대응, 수습 및 복구의 4단계 적용을 위해, 징후감지 앞에 전조감지 수준의 상태진단 등급관리를 통해 효율적인 유지보수 방안 평가


End Product
­ 철도시설물 전력설비 배전선로 안전감시 기술 개발 및 실증(SYS(HW+SW))
● 안전감시 센서 자가발전·전력저장·전력관리 모듈(SYS(HW+단말탑재형SW))
▷ 케이블 전류 30A시 자가 발전량 3W 목표
● 저전력, 중장거리 무선통신 모듈(SYS(HW+단말탑재형SW))
▷ 송신모듈 소비전력량 250mW, 통신모듈 수신성능 ?136dBm, 전송성공률 95% 목표
● 배전선로 안전감시 모듈(SYS(HW+단말탑재형SW))
▷ PD, 온도, 전류등의 센서모듈 진단 검출률 80% 목표
● 전력모듈, 통신모듈, 센서모듈 조합을 통한 무전원·무선 안전감시 센서 시스템(SYS(HW+단말탑재형SW))
▷ 안전감시 센서 내구성 검증, IP등급, 데이터 보안성 기반의 공인시험성적 목표
● 철도 시설물 전력설비 배전선로 안전감시 테스트베드 검증 결과 보고서(REPORT)

­ 철도시설물 전력설비 배전선로 안전감시·유지보수 통합관리시스템 개발 및 실증(SYS(HW+SW))
● 실시간 상태진단·평가, 위험도 분석, 수명예측, 수명주기비용(LCC) 분석 처리 알고리즘 SW(서버탑재형SW)
▷ AI 기반 이상탐지 정확도 95%이상, 데이터 신뢰성 모형(Weibull) 대비 알고리즘 정확도 1% 향상, 수명주기비용 속도 1분이내 목표
● 위험도/LCC 분석 시스템(SYS(HW+서버탑재형SW))
▷ FTA/ETA 분석, 위험도 평가, 수명예측, LCC 기능 평가 목표
● 현장 유지보수 지원 시스템(SYS(HW+서버탑재형SW))
▷ 자산 정보관리, 유지보수 이력 관리, 일정 최적화/계획, 장애개소 위치 파악 기능 평가 목표
● 철도시설물 전력설비 배전선로 안전감시·유지보수 통합관리시스템 실증 결과 보고서(REPORT)
● 안전감시·유지보수 통합관리시스템 운영 매뉴얼(Manual)

­ 배전선로 안전감시 기술성·경제성 분석 보고서

­ 공인시험성적서 및 인증서
● 전력모듈 방진방수(IP) 등급 공인시험성적서
● 환경감시센서 정밀도 측정 공인시험성적서
● 안전감시 센서 내구성 검증 공인시험성적서
● 안전감시 센서 방진방수(IP) 등급 공인시험성적서
● AI기반 이상탐지 정확도 공인시험성적서
● 수명예측 알고리즘 정확도 공인시험성적서
● 수명주기비용 알고리즘 속도 측정 공인시험성적서
● 저전력 안전감시 센서 데이터 보안 IoT 보안인증서
● AI기반 지능형 철도 배전선로 유지보수·안전감시 통합 S/W GS인증서
연구내용 및 범위 1단계 : 철도시설물 전력설비 배전선로에 대한 무전원·무선 안전감시 기술 환경분석 및 요소기술 개발

- 철도 배전선로 운영/유지보수 현황 및 환경 조사
- 철도 배전선로 부하 패턴 현황 조사
- 누설 자기집속형 고용량 자가발전 코어 설계 및 개발
- 자가발전 모듈 철도 안전성 및 에너지 관리 유닛 연구
- 시스템운용을 위한 자가발전 에너지저장 유닛 연구
- 철도 배전선로 고자기장·고전압 환경 저전력 무선통신 기술분석 및 송신모듈 설계
- 철도 배전선로 데이터 보안 시스템 개발
- 배전선로 안전감시 데이터 취득
- 철도 배전선로 안전감시 센서 모듈 (HFCT, UHF) 분석 및 개발
- 철도 배전선로 부분방전 데이터 수집 보드 분석 및 개발
- 배전선로 접속개소 환경감시용 분석모듈 설계 및 인터페이스 개발
- 전력모듈, 통신모듈, 센서모듈간 인터페이스
- 배전케이블 환경 모사장치의 안전감시 센서 성능 검증 연구
- 안전감시 센서 내구성[열화/충격/진동] 평가시험 시스템 구축
- 철도 배전선로 케이블 접속개소 안전 감시 센서·시스템의 규격·기능 요구사항 분석 및 정의
- 철도 배전선로 케이블 안전감시시스템 테스트베드 설계 연구
- 철도 배전선로 위험도/LCC 분석 시스템(S/W) 설계 및 구현
- 철도 배전선로 AI기반의 상태진단 시스템(S/W) 설계 및 구현
- 철도 배전선로 장애개소 위치 파악 알고리즘 설계 및 개발
- 철도 배전선로 유지보수 최적화 및 지원 시스템(S/W) 설계 및 구현
- 철도 배전선로 안전감시?유지보수 통합관리시스템 아키텍쳐 설계

2단계 : 철도시설물 전력설비 배전선로에 대한 무전원·무선 안전감시 기술 시스템통합 및 테스트베드 실증

- 법제도 또는 기준 등의 정비 및 제개정 지원
- 유지보수 운영 및 적용 방안 검토
- 내구성 확보를 위한 자가발전 코어 고도화 및 시작품 제작
- 자가발전 모듈 안전성 및 에너지 관리 유닛 성능고도화 연구
- 철도 배전선로 안전관리 무선통신 송신모듈 개발
- 철도 배전선로 데이터 보안 시스템 기능 시험 및 수검
- 철도 배전선로 안전관리 무선통신 서비스 실증 테스트베드 운영계획(안) 수립
- 배전선로 안전감시 데이터 취득(계속)
- 철도 배전선로 안전감시 센서 부분방전 감지 현장 실증 시험
- 철도 배전선로 데이터 연동 시험
- 안전감시 센서 일체화 설계 및 제작
- 배전케이블 환경 모사장치상의 모듈 및 안전감시 센서 성능 검증 시험
- 배전선로 안전감지 센서 설치안전성 및 적합성 분석 및 평가
- 안전감시 센서 시제품 내구성(열화/충격/진동) 평가 및 분석
- 안전감시 센서·시스템 철도 실용화를 위한 체계연구
- 안전감시시스템 테스트베드 운영 및 적용 성능 검증
- 철도 배전선로 현장 안전감시시스템 테스트베드 검증
- 철도 배전선로 안전감시 기술 경제성 분석
- 철도 배전선로 위험도/LCC 분석 시스템(S/W) 설계 및 구현
- 철도 배전선로 AI기반의 상태진단 시스템(S/W) 설계 및 구현
- 철도 배전선로 장애개소 위치 파악 알고리즘 설계 및 개발
- 철도 배전선로 유지보수 최적화 및 지원 시스템(S/W) 설계 및 구현
- 안전감시 유지보수 통합관리시스템 사용자 요구사항 분석 및 운용계획 수립
- 철도 배전선로 안전감시?유지보수 통합관리시스템 구현 및 검증
- 철도 배전선로 안전감시?유지보수 통합관리시스템 운영 매뉴얼 개발 및 검증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1차년도 1차년도 최종목표

철도시설물 전력설비 배전선로에 대한 무전원·무선 안전감시 기술 개발을 위한 환경분석


- 철도 배전선로 안전관리 네트워크 요구사항 분석
- 철도 배전선로 센싱데이터 연계 모듈 정립
- 철도 배전선로 고자기장·고전압 환경 저전력, 중장거리 무선통신 기술분석
- 철도 배전선로 데이터 보안 연구
- 철도 배전선로 안전감시 센서 모듈 (HFCT, UHF, 환경) 요소기술 분석
- 철도 배전선로 부분방전 데이터 수집 보드 요소기술 분석
- 철도 배전선로 데이터 연동 규격화 방안 분석
- 철도 배전선로 부분방전 센서 신호처리 알고리즘 개발
- 철도 배전선로 주요 접속 개소 환경 측정
- 안전감시 센서 요구 사항 및 환경 분석
- 누설 자기집속형 고용량 자가발전 코어 설계 연구
- 안전감시 센서 내구성[열화/충격/진동] 평가 방안 수립
- 안전감시 센서 내구성 요구조건 도출
- 철도 배전선로 안전관리 시스템 네트워크 구성 전략 수립
- 철도 배전선로 안전 서비스 통신망 구성 전략 수립
- 철도 배전선로 AI기반의 상태진단 시스템(S/W) 설계
- 철도 배전선로 유지보수 최적화 및 지원 시스템(S/W) 설계
- 철도 배전선로 위험도/LCC 분석 시스템(S/W) 설계
- 철도 배전선로 운영/유지보수 환경 조사
- 기술개발 요구사항 조사/분석 지원
- 철도 배전선로 부하 패턴 현황 조사
- 철도 배전선로 계측 데이터 취득 지원
- 철도 배전선로 안전감시 센서간 네트워크 요구사항 분석
- 철도 배전선로 통합유지보수를 위한 중장거리 통신 요구사항 분석
- 배전선로 안전감시 센싱데이터 프로토콜 연계 모듈 설계
- 안전감시 센싱데이터 트래픽 분석 모듈 설계
- 철도 배전선로 환경 내 센싱데이터 수집 인터페이스 설계
- 배전선로 고자기장·고전압 통신 채널 환경 측정 및 분석
- 철도 배전선로 저전력, 중장거리 무선통신 적용방안 분석
- 향후 증가 추이에 대한 네트워크 대역폭 예측 기준 정립
- 철도 배전선로 데이터 보안 체계 및 정책 분석

- 철도 배전선로 방전특성별 주파수 응답 특성 분석
- 철도 배전선로 센서 설치 방법에 따른 신호 특성 분석
- 센싱 방법 및 종류에 따른 분석
- 부분방전 데이터 수집 보드의 HPF, LPF 등 필터규격 정의
- 부분방전 데이터 수집 보드의 필터 주파수 특성 시험 및 아날로그 특성 결정
- 부분방전 데이터 수집 보드의 노이즈 제거를 통한 신호분리 방안 수립
- 통합관리시스템과의 데이터 규격화 방안 분석
- 송신모듈과의 인터페이스 분석
- 내부 위치추정, 신호처리, 데이터전송, 통신프로토콜, 트래픽, 홉핑 알고리즘 구현

- PD 검출 데이터 취득
- 접속개소 전력(부하변동량), 환경(온도,습도,전류) 측정
- 발전 전력 요구 사양 도출 (센싱 및 통신 시스템 전력 예상 사용량 반영)
- 전력 변동에 따른 케이블 상태 연구 및 환경 분석
- 안전감시 센서 운영 요구 사항 도출
- 코어 발전 성능·구조 설계 및 시뮬레이션
- 코어 재질별 특성 및 코어 형상/구조 연구
- 고용량 자가발전 코어-코일 매칭 연구
- 자가발전 코어 소음 저감 기술조사 및 분석

- 센서류 및 전자제품 내구성[열화/충격/진동] 시험법 조사
- 내구성[열화/충격/진동] 표준시험법 조사
- 안전감시 센서 내구성[열화/충격/진동] 평가 방안 수립
- 안전감시 센서의 사용조건 측정 및 분석
- 안전감시 센서의 내구성 요구조건 도출

- 무선통신 네트워크 구조, 구성장비 등의 현황, 관련 기술동향 및 사례 분석
- 철도 배전선로 안전관리 네트워크 구성 및 운영방안 정립
- 무선통신망 토폴로지 구성방안 분석

- 철도 배전선로 안전관리 네트워크 통신방식 구조 설계
- 철도 배전선로 멀티홉 기반 무선 네트워크 구성 전략 수립

- 철도 배전선로 상태진단 AI 기술 조사 및 분석
- 철도 배전선로 AI기반의 상태진단 알고리즘 설계
- 철도 배전선로 AI기반의 상태진단 소프트웨어 화면/DB 설계
- 철도 배전선로 데이터 보안 지원
- 철도 배전선로 장애개소 위치 파악 알고리즘 설계
- 철도 배전선로 유지보수 일정 최적화 알고리즘 설계
- 철도 배전선로 유지보수 최적화 및 지원 시스템(S/W) 설계
- 철도 배전선로 위험도 분석 알고리즘 설계
- 철도 배전선로 수명예측 알고리즘 설계
- 철도 배전선로 LCC 알고리즘 설계
- 철도 배전선로 위험도/LCC 분석 시스템(S/W) 설계

- 배전선로 시설 및 구축현황 조사
- 운영/유지보수 현황 데이터 조사
- 운영/유지보수 현황 국내외 관련법 조사
- 현장 유지보수 공단 지원시스템(RAFIS) 현황 조사
- 기술개발 요구사항 조사?분석 지원

- 철도 배전선로 장애사례 조사 및 분석
- 철도 배전선로 부하 패턴 조사
- PD감지용 레퍼런스 데이터 취득 지원
- 배전선로 주요 접속개소 전력환경 측정 지원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 국가철도공단 철도산업정보센터, 코레일 KOVIS (철도시설물 유지보수 이력관리 시스템, 사고이력 시스템 등) 연계 안전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 분석 및 관리하는 모듈 기반 기술로 확대
- 국민생활 및 산업에 직접 영향을 주는 서비스가 많아 시설관리체계에 IoT을 활용한 첨단기술 도입으로 기술 개발 선도, 성과 가시화 기대
- IoT와 빅데이터, 인공지능, 4차 산업혁명 등이 최근 이슈와 함께 센서 시장은 급속한 성장세에 있으며, 새롭게 개발된 무전원·무선 센서의 활용 기대
- 철도시설물 전력설비 배전선로의 지능형 통합 안전 및 유지보수 시스템 개발을 통한 선제적 유지보수 등 정확한 예지정비 기반 마련
- 국내외 철도 및 전력분야의 이상감지 기술 확보를 통해 선진국 기술 종속화 탈피 및 관련 기술분야 선도 가능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사회적 파급효과
- 기존 철도시설에 대한 개량 수준의 안전성 확보
* ’17년 철도 4700억원 예산 투입한 전기설비의 경우 개량화 실적이 노후와 속도를 따라 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남 (철도시설공단, 인천일보, 「4,700억 투입했지만 철도시설 노후화는 '계속' 진행형」 2017.10.22.)
- 철도시설물 전력설비 장애 30% 저감을 통한 철도교통 안전 확보
- 첨단기술과 연계된 철도시설 안전관리 기술을 통하여 국민이 안전한 사회를 구축
- 철도 시설 안전 대비기술 확보로 피해 저감
* 장애·사고 예방 및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지고, 신속한 철도 인프라에 대한 통제와 해제로 시설물 피해 경감

경제적 파급효과
- 2017년 기준으로 철도 및 전력분야의 이상감지 시스템 구축비용을 검토해 보면, 약 200억원/년의 시장이 예상
- 매년 470억원 시장 형성 및 기술개발 선점 효과 기대
* 17년 기준 전기설비 개선을 위한 투입비용은 4700억원 (국정감사, 약 10% 예산 안전 자동화 감시구축비용 예측시)
- 유지보수비용 600억원/년 기술개발 효과 기대 (한국철도공사, 2020, 인건비 포함)
* 한국철도공사 유지보수 비용 약 6,000억원년 지출, 개발 기술 적용을 통해 10% 유지보수비용 절감
- 해외 자가발전 무전원·무선 센서 모니터링 시장은 3.5조 시장으로 예측되며, 10% 시장 선점시 350억원 기술개발 효과 ((KT경영연구소, 2010, IDTechEX 2016)
활용방안 - 철도시설에 시범 구축하여 시스템의 실용화 및 철도시설공단 개량사업을 통한 조기 사업화 :
- 국가철도공단, 코레일 등 유관기관의 참여 및 시스템을 연계하여 기술개발 및 실용화에 적극적인 참여 활용계획 마련
- 국가철도공단 “배전선로 단일화 22.9kV 승압 개량화 사업(‘24년 완료예정),”
- 코레일 “철도전기설비 고도화 실행계획” 등 기술 반영 등 구체적 실용화 방안 마련
- (’20년 케이블 자동화 감시 추진계획 기반영)
- 첨단기술과 연계된 철도시설 안전관리 기술을 통하여 국민이 안전한 사회를 구축
- 안전사고에 대한 철도시설물 및 이용자에 대한 조기경보 확대
- 국가 자산순위(선진국, 후진국 등)와 상관없이 적용 가능한 철도시설 안전 대비기술 확보로 인명피해 저감
- 안전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지고, 신속한 철도 인프라에 대한 통제와 해제로 시설물 피해 및 인명 피해 경감
- 기존 철도시설에 대한 개량 수준의 안전성 확보
- 철도안전관리를 위하여 도입을 계획하고 있는 IoT 기반 지능형 철도시설관리체계 구축
- 국가철도공단 승압 개량 사업에 시범 구축 적용을 통한 실용화 및 활용성 확대 (과업기간 3년 예상)
- IoT와 빅데이터, 인공지능, 4차 산업혁명 등이 최근 이슈와 함께 센서시장은 급속한 성장세
- 유관기관의 참여 및 시스템 연계하여 실용화 추진
- 국가철도공단, 한국철도공사 “철도시설물 유지보수 이력관리시스템, 사고이력시스템”등 연계 안전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분석 및 관리하는 시스템 모듈 기반 기술로 확대 구현 추진
- 국토교통부 `18~`22「중장기 철도시설 개량화투자계획」철도시설 안전·성능 고도화 대응 기술로 활용 추진
- 국토교토부 IoT 등 최신기술 도입하여 철도시설의 성능을 고도화에 5년간 1조 4,554억원 투입 예정
- 철도시설물 전력설비 배전선로에 대한 무전원·무선 안전감시 기술 개발을 통한 고속선, 간선철도, 전국 지하철 등 도시철도까지 적용·활용 기대
- 범부처 안전·재난협업모델로 정의하여 국민 안전대응체계 선진화 도모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철도 배전선로 안전감시 자가발전 저전력통신 인공지능 상태진단
영문 Railway Power Supply Systems Safety monitoring Self-Power Generation Low-Power Communications AI Status Diagnosis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