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내용 및 범위 |
1.청주대학교산학협력단 - 기존 중온 첨가제와 왁스류의 특성과 문제점을 검토하여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탄성체 고분자 탐색 - 저온 첨가제와 상용성이 있는 탄성체 고분자 선정 - 적용 가능한 저온 첨가제와 탄성체 고분자의 최적 배합비를 결정하여 1차 저열화 첨가제 개발 - 최종 저열화 첨가제는 기존의 중온 첨가제보다 높은 물성과 낮은 온도(80-100°C)를 목표로 함 - 저온 첨가제와 탄성체 고분자의 반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교제 검토 및 선정 - 적용 가능한 가교제의 최적 배합비를 결정하여 IPN 구조를 갖는 저열화 첨가제를 개발하여 첨가제의 투입 비율별 물성 실험(점도, 온도 등)을 통해 저온 첨가제, 탄성 체 고분자, 가교제의 비율 선정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저열화 첨가 재료 적용을 위한 대상 아스팔트 재료 선정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 노화 아스팔트 등)- 1차 저열화 첨가 재료의 투입 비율별 기본 물성 시험(인화점, 연화점, 점도 등)을 통해 저열 아스팔트 혼합 및 다짐온도를 가지기 위한 첨가제 비율 범위 선정- 1차 저열화 첨가 재료 선정 비율 범위 내에서 비율별 유변학적 물성평가(DSR, BBR, MSCR 등)를 통한 성능 평가 및 최적 첨가제 비율 결정 및 개선사항 제안- IPN 구조 저열화 첨가 재료의 투입 비율별 기본 물성 시험(인화점, 연화점, 점도 등)을 통해 중저온 아스팔트 혼합 및 다짐 온도를 가지기 위한 첨가제 비율 범위 선정 - IPN 구조 저열화 첨가 재료 선정 비율 범위 내에서 비율별 유변학적 물성평가(DSR, BBR, MSCR 등)를 통한 성능 평가 및 최적 첨가제 비율 결정과 개선사항 제안3. 성광아스콘 주식회사 - 저열화 첨가 재료를 적용할 대상 아스팔트 재료 선정 후 배합설계를 이용하여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의 품질기준 에 따른 배합설계 실시 - 저열 아스팔트 혼합물의 물성 실험 - 저열 아스팔트 혼합물의 물성 실험 결과치 분석 후 첨가제 개선 사항 제안 - IPN 구조 저열화 첨가제를 적용할 대상 아스팔트 재료 선정 후 배합설계를 이용하여 아스팔트콘크리트 혼합물의 품질기준에 따른 배합 설계 실시 - 저열 아스팔트 혼합물의 물성 실험 (함부르크 실험 및 동적 수침 후 피복율 추가) - 저열 아스팔트 혼합물의 물성 실험 결과치 분석 후 플랜트 생산 적용 및 이산화탄소(CO2) 배출량 측정- 기존 중온 첨가제와 왁스류의 특성과 문제점을 검토하여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탄성체 고분자 탐색 및 선정- 적용 가능한 저온 첨가제와 탄성체 고분자의 최적 배합비를 결정하여 1차 저열화 첨가제 개발 한 후, 가교제를 반응시켜 보다 반응성을 향상된 IPN 구조의 저열화 첨가제를 개발- 저열화 첨가 재료 적용을 위한 대상 아스팔트 재료 선정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 노화 아스팔트 등)- 저열화 첨가 재료의 투입 비율별 기본 물성 시험(인화점, 연화점, 점도 등)을 통해 저열 아스팔트 혼합 및 다짐온도를 가지기 위한 첨가제 비율 범위 선정- 저열화 첨가 재료 선정 비율 범위 내에서 비율별 유변학적 물성평가(DSR, BBR, MSCR 등)를 통한 성능 평가 및 최 적 첨가제 비율 결정 및 개선사항 제안- 저열화 첨가 재료를 적용할 대상 아스팔트 재료 선정 후 배합설계를 이용하여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의 품질기준에 따른 배합설계 실시- 저열 아스팔트 혼합물의 물성 실험(함부르크 실험 및 동적 수침 후 피복율)- 저열 아스팔트 혼합물의 물성 실험 결과치 분석 후 플랜트 생산 적용 및 이산화탄소(CO2) 배출량 측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