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내용 및 범위 |
- 1단계 -주관연구기관(클레이맥스)? 제품생산을 위한 파일롯 장비 설계 검토 - 장비 투입 에너지 분석, 최적 생산가능 장비 선택? 제작된 시제품의 품질 검토 - 제품 초기모델 품질성능 확인 및 생산성 검토공동연구기관(세명대학교)? 침투 저류블록 형태, 규모, 배치계획 및 시공성능 검토 - 공성, 구조적 성능을 고려한 제품 모델 구축? 침투 저류블록 배치에 따른 구조적 사항 검토 - 침투 저류블록 시공환경에 따른 구조적 해결방안 도출공동연구기관(경북대학교)? 온실가스 저감형 친환경 무기결합재 개발 및 성능 평가 - 대상 시료의 물리화학적 특성 (입도/입형, XRF, MLA, SEM 등) 분석? 콘크리트 적용을 위한 물성 및 역학적 특성 평가 - 재료성능 평가결과에 따른 무시멘트 결합재의 경제성 검토공동연구기관(에프엠웍스)? 드론영상 기반 수치표면모델의 해상도및 침수 시뮬레이션 요구사항 도출 - 드론영상 기반 수치표면모델 제작을 위한 항공측량 장비선정 및 기술수준 분석 - 수치표면모델 특성파악 및 래스터 메타데이터 분석, 침수 시뮬레이션 특수성 파악 - 드론영상 기반 수치표면모델의 최적 해상도 도출 및 침수 시뮬레이션 요구사항 도출? 수치표면모델을 이용한 대상지역(제천) 강수량 연계 침수 시뮬레이션 구현 - 기상청 등 대상지역 강수량 데이터베이스 조사 및 집중호우 특성파악 - 수치표고모델(DEM)과 수치표면모델(DSM)을 이용한 침수시뮬레이션 비교분석 - 수치표면 모델을 이용한 대상지역 침수 시뮬레이션 실험 및 구현? GIS 기반 침수 시뮬레이션 파라미터 정량화 및 시스템 자동화 구현 - GIS 기반 침수 시뮬레이션 영향요소 파악 및 이를 통한 파라미터 정량화 - 벡터 및 래스터 복합연산을 위한 프로세싱 절차 자동화 설계 - QGIS 기반 수치표면모델을 이용한 침수 시뮬레이션 자동화 플러그인 개발- 2단계 -주관연구기관(클레이맥스)? 빗물 침투 저류블록 실제 현장 시험 시공 및 모니터링 - 소규모 시험 시공 및 성능평가, 유사환경에서의 적용성 평가 - 실제 적용 현장에 대한 모니터링 검증? 우수유입에 따른 빗물 침투 저류블록 성능검증 - 시험시공 우수유입 모니터링 및 효율성 검토 - 우수 침투, 저류 환경 검증공동연구기관(세명대학교)? 빗물 침투 저류블록 단위설계 침투량. 단위설계 저류량 검토 - 시험시공 단위설계 침투량, 저수량 품질변동 검토? 프로토 타입 성능 검증 - 장기적 구조적 안정성 검토공동연구기관(경북대학교)? 온실가스 저감형 친환경 무기결합재 빗물 침투 저류블록 제조 및 성능 검증 - 온실가스 저감형 무기결합재 침투저류블록의 내구성 검토? 개발 제품블록의 물리적, 환경적 영향성 평가 - 압축강도, 투수계수, 환경 영향성 등 평가 및 공인성적 검증공동연구기관(에프엠웍스)? 블록 설치 대상지 현장적용을 통한 침수 시뮬레이션 실효성 검증 - 약 1km2 규모의 블록 설치 대상지 선정 및 현장적용 실험설계 - 현장적용 대상지의 위치정확도 및 지상표본거리 200mm 이내 수치표면모델 구축 - 고정밀 수치표면모델을 이용한 대상지 침수 시뮬레이션 실효성 검증? 블록 설치 전.후 침수 피해규모 및 위험지역 평가실험 - 관련기준 및 사례조사를 통한 침수 피해규모 및 위험지역 분류기준 확립 - 블록 설치 전/후 침수 시뮬레이션 수행 및 결과분석, 위험지역 평가방안 마련 - 블록 설치 전후/ 침수 시뮬레이션 결과비교 가시화 기능 구현? 블록 설치 최적지 선정을 위한 드론영상 기반 침수 모니터링기술 개발 - 드론영상 기반 침수 모니터링 기술 개발을 위한 시스템 설계(안) 작성 - 수치표면모델 입력부, 수치표고모델 입력부, 강수량 입력부, 연산모듈 시스템 통합 - 블록 설치 최적지 선정을 위한 드론영상 기반 침수 모니터링 기술 개발 및 피드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