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V2E 인지판단 안전성 및 사고대응 평가기술 개발2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 과제번호 22AMDP-C162419-02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원자력 | None | None 적용분야 교통/정보통신/기타 기반시설
2순위 화학공정 | None | None 실용화대상여부 실용화
3순위 원자력 | None | None 과제유형 개발
과제명 V2E 인지판단 안전성 및 사고대응 평가기술 개발
주관연구기관 한국교통안전공단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이정기
소속 한국교통안전공단 직위 실장
기관 대표번호 1577-0990 FAX 054-459-8471
총 연구기간 2021-04-01 ~ 2026-12-31
당해연도 연구기간 2022-01-01 ~ 2022-12-31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2차년도 3,000,000,000 56,429,000 430,715,000 487,144,000 3,487,144,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가. 연구개발 배경

○ (산업 패러다임의 변화) 자동차산업의 패러다임 변화와 함께 교통사고로 인한 인명손실과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세계적으로 ICT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자율주행기술의 개발 및 상용화 연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음
- 자율주행차 시장의 경우 ’19년 20억 달러에서 ’30년 600억 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자율주행서비스 시장은 ’30년에 3조 2,410억 달러 규모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Frost & Sullivan, ’18)
- SAE Level 4 자율주행차가 시장에서 가장 높은 비중(69.35%, 416.2억 달러)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
- 기존의 기계 중심이 아닌 센서, 융합 S/W 등 ICT 첨단기술을 중심으로 한 자동차 가치사슬 구조 변화

○ (정부 주도의 미래차 동력원 확보) 2019년 발표된 “미래차 산업발전전략(2030년 국가로드맵)(2019.10, 관계부처)”에서는 2030년 ?미래차 경쟁력 1등 국가?로 도약을 위한 비전 제시와 함께, 2027년 전국 주요 도로의 완전자율주행(레벨4) 세계 최초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음
- (목표) ‘21년 레벨3 자율주행차 출시 → ‘24년 레벨4 일부 상용화 → ‘27년 레벨4 전국 상용화
- (기술개발과제) 국토부 등 4개 부처의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산업”(2021-2027) 사업비 1조 974억 원 투입
- (범위) “차량융합신기술”, “ICT융합신기술”, “도로융합신기술”, “자율주행서비스 기술”, “자율주행생태계” 분야로 구성이 되어 있고 본 기술은 자율주행생태계 분야임

○ (국민 수용성 증대 필요) 안전한 자동차를 지향하는 자율주행차가 안전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불안감을 불식시키기 위해 대중의 신뢰 확보가 중요하며 기술 신뢰성 확보 및 국민과의 소통 필요
- 자율주행차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 불신: 자율주행차 국민 신뢰도 ’18년 기준 49%(딜로이트 글로벌)
(※ 출처: 자율주행기술개발 혁신사업 기획보고서, pp. 30 재인용)
- 자율주행차 기술 수용력이 실제 자율주행차의 시장확대에 필수 요건임

○ (공공 기술의 사회적 의의) 전 국민이 향유할 수 있는 자율주행차의 운영 여건을 위한 선결조건으로 운행에 필요한 자동차안전성 평가기술, 기술표준 및 관련 법제도 개선이 필요
- Lv.4 자율주행 안전성에 대하여 공공적 측면의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안전성 검증 방안이 필요하고 이를 통하여 국제 자동차 안전기준에 대응함으로써 국내기업에 대한 경쟁력 강화를 가져올 수 있음
- 다각도 접근법(Multi-pillar approach)에 의한 포괄적 안전성 확인 및 검증 방안 필요

나. 연구개발 개념

○ 자율주행생태계 분야의 기술로 자율주행차의 실도로 운행 및 상용화를 위한 안전성 확보 기술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다각도 접근법을 통한 포괄적 안전성 확인 및 검증이 요구되며, 본 연구의 범위는 다음과 같이 3개의 분야의 자율주행차 안전성 기술을 다루고 있음

○ 3가지 기술은 기술을 위한 주요 ① 장치/시작품(국산화) 개발 ② 평가기술(시나리오, 기준, 평가환경) 및 제도화 부문 연구를 포함하고 있으며 과업의 범위 아래와 같음
- (장치/시작품 개발) V2E 기술의 성능확보장치와 V2H의 램프컴퓨니케이션 기술 관련 국산화 기술은 없으며 해외에서 컨셉 디자인이나 혹은 기술개발 초기 수준으로 정부 주도 지원을 통한 Lv.4 자율주행차의 중소/중견기업의 국내 기술 확보를 위한 전략적 기술 개발 요구
- (평가기술/제도연구) Lv.4 자율주행차의 경우 자율주행시스템이 대부분의 상황에서 운전자를 대신하게 됨에 따라 운전자의 역할 및 기능적 요구사항을 시스템이 어떻게 안전하게 수행하는지에 대한 평가방법 및 관련 기준이 필요, 국내 자동차안전기준은 UNECE WP.29 통한 국제조화를 추진 중이지만, 국가별 자율주행 기술 여건 및 시각이 매우 상이하여 제도 도입이 지연되고 있음. 이에 기술개발과 함께 국제조화가 가능한 수준의 평가기술 및 제도화 연구 필요
최종목표 ㅇ 자율주행차의 상용화 운행시 발생할 수 있는 3대 위험요소를 “Zero” 化 하도록 지원하는 V2E 인지판단 안전성 및 사고대응 평가기술 개발
* 3대 위험요소: ① 자율차 센서성능저하에 따른 위험
② 도로이용자 커뮤니케이션 오류로 인한 위험
③ 자율차 결함에 의한 사고원인 규명 지연 및 운전자 책임전가에 따른 수용성 저하

ㅇ 도로, 기상환경 등 예상치 못한 직접적인 전방 시야 방해 물질로부터 자율주행차 환경인지 시스템 성능을 최적으로 관리하는 기술 및 평가방법 개발을 통해 V2E (Vehicle-to-Environment) 자율주행차 인지상황 안전도 확보
ㅇ 자율주행차와 도로이용자간(V2H, Vehicle-to-Human)의 커뮤니케이션 기술 및 평가 방법론 개발을 통한 도로이용자 안전성 확보
ㅇ 자율주행차 정보 기록장치(DSSAD) 데이터 기록방법 개발 및 신속한 사고 분석체계 개발을 통하여 자율주행차에 대한 대국민 신뢰도 확보
연구내용 및 범위 [ V2E 기술 ]
■ V2E 성능확보장치 등 기술 기초설계
■ V2E 환경인지센서 성능확보장치 선행 개발 및 검증
■ V2E 환경인지센서 연계기술 평가장비 성능 평가툴 구현
■ V2E 시뮬레이션 평가 기초설계 및 인지센서 시뮬레이션 환경 구현
■ V2E 안전성 기술 적용 사례, 기술효과 분석 및 기술 로드맵 연구
■ V2E 평가기술 기초연구 및 가상평가 시나리오 연구
■ V2E 환경인지센서 및 성능확보장치 기초 연구
■ V2E Blockage 재현장치 요소검출 및 성능검증 시나리오 도출
■ V2E Blockage 요소분류 및 재현장치 시작품 개발
■ V2E 환경인지센서 시뮬레이션(카메라 OTA방식)평가 기술 개발
■ V2E 환경인지센서 성능확보장치 선행 개발
■ V2E 환경인지센서 성능확보장치 선행 시작품 성능 개선
■ V2E 환경인지센서 성능확보장치 평가 연구
■ V2E 성능확보장치 연계 기술 개발
■ V2E 환경인지센서 평가 장비 사례 조사
■ V2E 안전성 평가를 위한 시험차량 설계 및 제작?운영
■ V2E 환경인지센서 평가 장비 성능 평가 툴 설계 및 구현
■ V2E Blockage 검출 기술 개발
■ 가상 PG(K-City) 시뮬레이션 환경에서의 V2E 환경인지센서 평가기술 개발
■ 시뮬레이션기반 랩환경 등 V2E 환경인지센서 평가기술 기초 설계
■ V2E 환경인지센서(카메라, 레이더, 라이다)의 주행환경 시뮬레이션(VTD)을 이용한 가상 평가 환경 구현
■ V2E 환경인지센서의 시뮬레이터 검증 평가 장비 개발
■ human driver와 자율주행차간의 시계 요건에 따른 위험요인 분석
■ 도로별 Blockage 에 대한 정형/비정형 데이터의 정적/동적 요건 분석
■ V2E 환경인지센서 평가기술 적용 시 자율주행차량 기술 효과 연구
■ V2E 환경인지센서 평가기술 수준평가 및 기술 확보 로드맵 연구
■ 자율주행차 환경인지센서 상호연계 기초 연구
■ 자율주행 환경인지센서 가상 평가 사전 연구

[ V2H 기술 ]
■ V2H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기초설계
■ V2H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기초설계 기술검토 및 예비설계
■ V2H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의 자율주행차 적용요건 검토
■ V2H 커뮤니케이션 기술 관련 연구 조사 및 필수 요소 설계
■ Lv.4 자율주행차 ADS의 안전기준 간 연계 및 평가기준 적용방안 연구
■ 국제 거버넌스 기준 제정 동향 분석 및 ADS 등화장치 기술 가이드라인 국내 적용방안 연구
■ 자율주행차 커뮤니케이팅 작동 조건 설계
■ 국내 도로이용자에게 가장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기술 기초설계
■ 자율주행차-도로이용자 간 커뮤니케이션 상황(Use case) 연구
■ 시각(Lights)적 커뮤니케이션 방법 효용성 및 기술대안 검토
■ 시각(Lights)적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최적안 연구
■ V2H 커뮤니케이션 라이팅 시스템 예비설계
■ 커뮤니케이션 램프 적용 ADS 센서(카메라, 레이더 등) 선정
■ V2H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적용 타켓 차종 도출
■ V2H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적용 ADS 센서 및 차종에 따른 시스템 설계
■ 국내?외 V2H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기술개발 동향, 방법론 및 사고예방 효과 조사/분석
■ 도로이용자 커뮤니케이션 필수 상황 도출 및 조사 방법론 수립
■ 도로이용자 커뮤니케이션 도입 니즈 분석
■ V2H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필수 요소 검증 및 요구사항 설계

[ EDR & DSSAD 기술 ]
■ 자율주행차 데이터(EDR/DSSAD) 기록방법 등 제반 연구
■ 자율주행보조장치(ADAS) 장착차량의 사고 특성 분석
■ 자율주행차 사고조사를 위한 기초연구(자동차 관점)
■ 자율주행차 사고조사를 위한 기초연구(사람 관점)
■ 자율주행데이터 분석을 통한 비상모드 전환 시나리오 개발
■ 사고기록장치(EDR) 제도 도입을 위한 수요조사 및 국제동향 분석
■ 자율주행정보 기록장치(DSSAD) 제도 도입을 위한 수요조사 및 국제동향 분석
■ 사고기록장치(EDR) 기록방법에 대한 연구
■ 자율주행정보 기록장치(DSSAD) 기록방법에 대한 연구
■ 국과수 DB 분석을 통해 중대사고 감정사례 및 유형 분석
■ 자율주행보조장치(ADAS) 장착차량 사건?사고 유형 분류
■ 국내외 자율주행차 기능 및 개발 동향 분석
■ 자율주행사고 사례수집 및 분석
■ 사고보험처리 데이터 분석을 통한 사고유형 및 발생빈도 분석
■ 자율주행차 사고관리를 위한 사고유형 분류
■ 자동차 교통사고 심층조사 DB 분석을 통한 사고유형 분류
■ 자동차 교통사고 심층조사 DB 분석을 통한 상해정보 분류
■ 사고 유형별 인체상해 정보 분류 및 상해정보 활용방안 연구
■ 자율주행차 사고데이터 활용 제도화 기반 연구
■ 자율주행차 데이터 기록 동향 분석
■ 자율주행차량 운행을 통한 실도로 데이터 수집 분석
■ 자율주행차 센서의 사고위험요인 등 비상모드 전환 시나리오 개발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2차년도 ■ V2E 기술
○ 주관연구개발기관(한국교통안전공단) : V2E 성능확보장치 및 Blockage 재현장치 기술 연구
○ 공동연구개발기관(에스엘) : V2E 환경인지센서 성능확보장치 정보조사 및 간이 Mock-up 개발
○ 공동연구개발기관(a2z) : V2E 환경인지센서 연계 기술 및 V2E 안전성 평가를 위한 시험차량 설계
○ 공동연구개발기관(테크웨이즈) : V2E 환경인지센서의 주행환경 시뮬레이션(VTD)을 이용한 가상평가 S/W 구현
○ 공동연구개발기관(아주대학교) : 자율주행차 시계요건 및 위험요인에 대한 사례 조사 및 분석
○ 공동연구개발기관(한국자동차안전학회) : 자율주행 환경인지센서 상호연계 기초 연구

■ V2H 기술
○ 주관연구개발기관(한국교통안전공단) : ADS 등화장치 기술 가이드라인 국내 적용방안 도출
○ 공동연구개발기관(에스엘) : 시각(Lights)적 커뮤니케이션 방법 개념 설계
○ 공동연구개발기관(아주대학교) : V2H 커뮤니케이션 기술 관련 연구현황 조사 및 방향성 제시

■ EDR & DSSAD 기술
○ 주관연구개발기관(한국교통안전공단) : 자율주행차 데이터(EDR/DSSAD) 제도 도입을 위한 수요조사 및 국제동향 분석(총괄)
○ 공동연구개발기관(국과수) : 국과수 DB를 활용한 사건·사고 유형 및 경향성 분석
○ 공동연구개발기관(아주대학교) : 자율주행차 사고관리를 위한 사고유형 분류
○ 공동연구개발기관(한국자동차안전학회) : 상해사고 응급병원 데이터 활용 기반 및 법제 연구
○ 공동연구개발기관(a2z) : 자율주행 데이터 수집기록 동향분석 및 도심 주행데이터 수집
■ V2E 기술
○ 주관연구개발기관(한국교통안전공단) : V2E 성능확보장치 및 Blockage 재현장치 기술 연구
- V2E 환경인지센서 및 성능확보장치 기초 연구(자료조사, 기초설계 등)
- V2E Blockage 재현장치 요소검출 및 성능검증 시나리오 도출
○ 공동연구개발기관(에스엘) : V2E 환경인지센서 성능확보장치 선행 개발
- V2E 환경인지센서 성능확보장치 선행 개발
○ 공동연구개발기관(a2z) : V2E 환경인지센서 연계 기술 및 V2E 안전성 평가를 위한 시험차량 설계
- V2E 성능확보장치 연계 기술 개발
- V2E 안전성 평가를 위한 시험차량 설계 및 제작·운영(KATRI 협업)
○ 공동연구개발기관(테크웨이즈) : V2E 환경인지센서(카메라, 레이더) 시뮬레이션 및 카메라 검증 장비 개발
- 시뮬레이션기반 랩환경 등 V2E 환경인지센서 평가기술 기초 연구
- V2E 환경인지센서(카메라, 레이더)의 주행환경 시뮬레이션(VTD)을 이용한 가상 평가 S/W 구현
- V2E 환경인지센서(카메라) 성능 검증장비 개발 (KATRI협업)
○ 공동연구개발기관(아주대학교) : 자율주행차 시계요건 및 위험요인에 대한 사례 조사 및 분석
- human driver와 자율주행차간의 시계 요건에 따른 위험요인 분석
- 도로별 Blockage 에 대한 정형/비정형 데이터의 정적/동적 요건 분석
○ 공동연구개발기관(한국자동차안전학회) : 자율주행 환경인지센서 상호연계 기초 연구
- 자율주행차 환경인지센서 상호연계 기초 연구
- 자율주행 환경인지센서 가상 평가 사전 연구

■ V2H 기술
○ 주관연구개발기관(한국교통안전공단) : ADS 등화장치 기술 가이드라인 국내 적용방안 도출
- Lv.4 자율주행차 ADS의 안전기준 간 연계 및 평가기준 적용방안 연구
- 국제 거버넌스 기준 제정 동향 분석 및 ADS 등화장치 기술 가이드라인 국내 적용방안 연구
○ 공동연구개발기관(에스엘) : 시각(Lights)적 커뮤니케이션 방법 개념 설계
- 자율주행차-도로이용자 간 커뮤니케이션 상황(Use case) 연구(기술적 측면)
- 시각(Lights)적 커뮤니케이션 방법 효용성 및 기술대안 검토
○ 공동연구개발기관(아주대학교) : V2H 커뮤니케이션 기술 관련 연구현황 조사 및 방향성 제시
- 국내?외 V2H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기술개발 동향 조사 및 분석
- 도로이용자 커뮤니케이션 방법론 및 사고예방 효과 기술 연구 조사
- 도로이용자 커뮤니케이션 필수 상황 도출 및 조사 방법론 수립

■ EDR/DSSAD 기술
○ 주관연구개발기관(한국교통안전공단) : 자율주행차 데이터(EDR/DSSAD) 기록항목 연구
- 사고기록장치(EDR) 제도 도입을 위한 수요조사 및 국제동향 분석
- 자율주행정보 기록장치(DSSAD) 제도 도입을 위한 수요조사 및 국제동향 분석
○ 공동연구개발기관(국립과학수사연구원) : 국과수 DB를 활용한 사건·사고 및 경향성 분석
- 국과수 DB 분석을 통해 중대사고 감정사례 및 유형 분석
○ 공동연구개발기관(아주대학교) : 자율주행 기술동향 및 사고사례 분석
- 국내외 자율주행차 기능 및 개발 동향 분석
- 자율주행사고 사례수집 및 분석
○ 공동연구개발기관(한국자동차안전학회) : 사고 유형별 인체상해 정보 수집분석
- 자동차 교통사고 심층조사 DB 분석을 통한 사고유형 분류
- 자동차 교통사고 심층조사 DB 분석을 통한 상해정보 분류
○ 공동연구개발기관(a2z) : 자율주행 데이터 기록동향 분석 및 자율주행 실도로 데이터 수집
- 자율주행차 데이터 기록 동향 분석
- 자율주행차량 운행을 통한 실도로(도심) 데이터 수집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 자율주행차에 활용되는 센서의 인식률 및 기상, 도로 환경에 대한 대처 능력을 향상시켜 보다 안정적인 자율주행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됨
- 세계 최고 수준인 모빌아이의 경우 전방 차량 인식률이 96/93(주간/야간, %)로, 본 사업의 목표치에 도달할 경우 전방 차량/보행자 인식률은 세계 수준에 도달하거나 상회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 카메라 센서 시뮬레이터 검증 평가 장비: 카메라 센서를 통한 영상을 인지하며, 카메라의 날씨 및 명암조건에 따른 불완전성, 화소의 일부 누락, 영상의 왜곡 및 핀홀 현상 등 카메라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의 불완전성에 대한 검증이 가능
- 레이더 센서 타겟 시뮬레이터 검증 평가 장비: 레이더 센서는 환경요인의 영향을 가장 적게 받아서 항상 정상작동하는 비율이 매우 높지만, 상황에 따라서 일부 이미지가 가려질 수 있고 또 다른 예기치 못한 노이즈 등이 들어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입력되는 데이터의 불완전성에 대한 검증이 가능
- 라이다 센서 타겟 시뮬레이터 검증 평가 장비: 환경요인에 의한 오작동 등 입력되는 라이다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의 불완전성에 대한 검증이 가능

○ LV.4 자율주행차 V2E, V2H 및 EDR/DSSAD 평가기술 및 관련 장비 개발시 국내 기술 환경을 반영한 평가기술을 세계기술기준(GTR) 개정시 반영되도록 추진하여 국제 위상 제고 및 국내 제작사의 기술 선도에 기여함
- UNECE/WP.29 GRVA 에서 추진중인 EDR/DSSAD 전문가 기술회의에 참여하여 연구결과 제시 및 국제기준 개정사항 제안을 통해 국가위상을 제고
- 국제 등화장치 연구 전문가그룹(GTB) 내(內) 자율주행차 및 커뮤니케이션 전문가 회의를 지속적으로 참여하여 연구결과 제시 및 국제기준 개정사항 제안을 통해 국가위상을 제고
- 자율주행 센서의 정상 작동 범위에 대한 기준을 확립할 수 있으며 기술적정성 평가 방식에 대한 국제기준 조화

○ 연구 개발된 기술을 국제 컨퍼런스 및 기구에 소개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된 주요 기술에 대한 기술/장비 수출 및 관련 사업기회를 확보 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국내 산업체 및 학계 등의 발전으로 연결됨으로써 경제적 이익창출 및 인력 양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 지적재산권이 확보된 주요 기술은 향후 LV.4 V2E, V2H 기술 부품 국산화의 토대가 될 수 있음
- 특히 V2E기술은 사용자 측면의 다양한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기술 초기 분야로 향후 다양한 지적재산권 확보 가능
- 향후 기술개발 과정에서 제도적 불확실성에 의해 발생하는 애로사항을 최소화를 통하여 시장성 및 기술적 수용성 확보 가능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 개발되고 실증되는 주요 8건 주요 기술 시제품(V2E 성능확보장치, V2E Blockage 재현장치, V2E인지센서 평가장비, V2E가속제어장치, V2H 요소기술(프로젝션타입 ,디스플레이), V2H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자율주행차 사고정보 관리 시스템(s/w))은 실용화 과정을 통하여 국내 시장 선점 및 활성화에 기여하고 국내외 시장 경쟁력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됨
- 또한, 센서 클리닝 및 V2H기술 관련 국내 자동차 부품 업체의 성장을 통해 고용 인원 창출 효과가 기대됨
- 주요 평기기술 및 장비 개발은 신기술의 해외유출 우려를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내기업의 LV.4 센서 성능평가 장비개발 등 기술력 강화로 인한 자율주행 산업 활성화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함

○ V2E기술, V2H기술, EDR/DSSAD 기술은 자율주행차 시장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시장성을 보이나 자율주행차 안전상 핵심 분야로 판단됨에 따라 정부 중심의 기술개발 견인을 통하여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강화 및 초기 시장 확보에 기여 가능
- 실용화 추진되는 주요 제품에 대한 상용화 추진을 통하여 빠른 자율주행차 시장확보에 일익을 담당할 것으로 예상됨

○ 자율주행차 운행특성에 대한 모니터링 데이터의 확보 및 분석을 통하여 핵심 부품의 안전성/내구성 검토 및 자율주행차의 운행/사고 안전성을 보장함으로서 함으로써 자율주행차 시장의 안전한 확대 가능

○ LV.4 자율주행차 V2E, V2H 및 EDR/DSSAD 평가기술 및 관련 장비 개발 통해 검증된 자율주행차의 보급 활성화에 기여하고 사고 등에 따른 대국민 안전성을 확보

○ 자율주행 기술의 발전을 통한 자율주행차 시대가 도래하면 주행 안전성 제고로 교통사고ㆍ체증 감소에 크게 기여할 전망
- 시장조사기관들의 자료에 따르면 전 세계 연간 교통사고 비용은 5조6000억달러(약 6,742조원)로 자율주행 차량으로 연간 1조3000억달러(약 1,565조원)를 절감할 수 있는 것
- 미국의 경우 자율주행차 보급률이 90% 이상일 때 연간 사망자는 2만1700명 감소할 것으로 예상

○ 자율주행차 운행시 흙탕물이나 먼지 등이 묻으면, 자율주행차의 인식 성능에 큰 영향을 주게 되며 이에 대한 빠른 대처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운전자 없는 LV.4 자율주행차의 운행환경에 기여
- 다양한 시간대와 날씨에 도심이나 고속도로에서 각종 동적 대상을 만나게 되고 장애물, 도로환경 변화 등 다양한 돌발상황에 직면한 부문에 있어 센서 및 도로이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 불확실성 해소를 통한 자율주행차의 사용자 수용도 향상에 기여

○ V2E, V2H 및 EDR/DSSAD 기술 개발을 통한 교통안전도 향상 및 대국민 신뢰도 증가(국민 불안감 해소)
- V2E 기술: 자율주행차의 운행 및 이용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대처할 수 있는 기준 제시로 자율주행차 안전도 증가 및 국민 수용도 증가
- V2H 기술: 자율주행차와 공존하는 도로 이용에 따라 안전한 도로 이용 가능
- EDR/DSSAD 기술: 자율주행차량 사고에 대한 안전관리체계를 확립하는 토대가 되고 안전사고예방으로 국가적 차원의 재산 및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음
활용방안 가. 정책적 활용방안

○ 2020년 5월에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발의되는 등 지속적으로 자율주행차 관련 법안 및 개정안 발의되고 있어, 법?제도적 측면의 사업추진 여건이 확보되고 있음
- 2020년 12월 15일 “레벨4 자율주행자동차 제작, 안전 가이드라인”이 제작되었고, 자율주행시스템 자체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시스템 안전’, 주행시 안전한 상호작용 및 상황대응을 위한 ‘주행 안전’ 및 사회적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안전교육 및 윤리적 고려’의 3개 분야에 대해 총 13개 안전항목이 제시되었음
- V2E 기술은 기능안전, 주행상황대응과 관련된 세부 성능기준 및 평가기술 활용에 직접적으로 활용가능
- V2H기술은 HMI와 관련한 탑승자 및 외부 보행자 등과 안전한 커뮤니케이션 기술로 활용이 가능
- EDR/DSSAD 기술은 사고원인 분석을 위한 자율주행 데이터기록에 활용 가능

나. 산업계 활용방안

○ V2E평가기술, V2H 평가기술 등을 개발하여 산업계 제품 개발에 활용
- 자율주행차의 잠재적 위험요소 등에 대한 안전기준 및 평가방법을 제시하여 자동차 제작사로 하여금 제품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더 높은 안전도 수준의 차량 개발을 유도
- 자율주행차량의 위험데이터를 기반으로 취약부위 개선에 대해 전략적으로 접근하여 국내 및 해외시장에서 기술 선점 효과 기대

○ V2E 환경인지센서들에 대한 성능 검증 및 고장 상황 대응을 위한 시뮬레이터의 활용
- 실차로 검증이 거의 불가능하거나 강행을 하면 필연적으로 사고로 이어져 값비싼 자율주행차를 파손시켜야 하는 코너 케이스(심각한 사고를 유발하는 비상상황) 등에 대해서는 가상환경에서 다양한 경우를 가정하여 시뮬레이션으로 검증하여 자율주행차의 안전성을 확보
- 시뮬레이터를 통해서 각종 센서들에 대한 기능 검증 및 환경요소 변화에 대한 대응성을 확인하여 최소한의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

○ 자율주행 시뮬레이션 환경설명 및 SW 평가 방법 개선에 활용
- 자율주행 솔루션 개발 시, 눈, 비 등 기상 환경이나 주간, 야간 시간 특성, 지하나 고층빌딩과 같은 공간적 특성으로 인한 센서 성능을 고려하여 실증 범위 및 실증 환경을 설정에 활용
- 가상환경에서 인지 센서 테스트를 통해 검증한다면 시제품의 모의 테스트를 통한 오작동에 대한 대비와 인지 불가 환경에 대한 안전성 확보 등이 가능
- 센서들의 단품 레벨에서의 성능 검증 및 최소 안전성 확보가 되어도, 이들이 실제 차량에 장착된 상태에서 실 도로 주행에서도 동일한 수준의 기능이 검증

○ 연구에서 확보하고자 하는 8건의 주요 기술 시제품은 기능/성능시험 및 시범운영을 통해 실용화기술에 대한 검증을 완료하고 이를 토대로 관련 기업의 상용화 추진
- 8건 주요 기술 시제품: V2E 성능확보장치, V2E Blockage 재현장치, V2E인지센서 평가장비, V2E 가속제어장치, V2H 요소기술(프로젝션타입 ,디스플레이), V2H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자율주행차 사고정보 관리 시스템(s/w)
- 각 기술 시제품의 특허 등 지적재산권을 확보하여 국내 기술확보 및 국산화 추진의 발판을 마련
다. 안전기준 법제화 및 국제화 활용방안

○ 연구에서 확보하고자 하는 8건의 주요 기술 제도화 추진 방안은 관련 안전기준의 제도화 및 국제기준조화 추진
- 8건의 주요 제도화방안: V2E 인지센서 성능확보장치 성능평가기준(안), V2E 자율주행차 가속제어장치 복귀능력 평가기준(안), V2H 요소기술 단품 평가기준(안), V2H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관련 안전성 평가기준(안), EDR 안전기준 및 시행세칙(안). DSSAD 안전기준 및 시행세칙(안), 사고유형별 사고분석 표준모델(가이드라인), 자율주행 Lv.4 대응 민?형사ㆍ행정상 책임에 관한 법률체제개편(안) 및 사고조사ㆍ보험 제도(안)
- 국제 기준조화 방안: V2H기술은 GTB의 연 2회 정기회의 참석 및 국내 연구결과 발표를 통해 V2H관련 기준 조화 방안 제시, EDR/DSSAD 기술은 WP.29 연 2회 정기회의 참석 및 국내 연구결과 발표를 통해 자율주행차량 사고분석에 대한 기준 조화 방안 제시

○ 연구결과를 반영한 국내 자동차안전기준 등을 제·개정하여 제작사의 제품 개발에 반영하도록 하여 LV.4 자율주행차의 운행안전성을 향상시키고, 대국민 인식 개선

○ V2E, V2H, EDR/DSSAD 기술에 대하여 LV.4 자율주행차 기술개발 속도에 맞추어 적극적 국제적 기준 조화 대응을 통해 세계최고 수준의 자율주행차 선도국가로 도약 이행을 위한 국제 기술 및 정책 선점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자율주행차 V2E V2H EDR DSSAD
영문 Autonomous Vehicle Vehicle-to-Environment Vehicle-to-Human Event Data Recorder Data Storage System for Automated Driving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