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개발개요 |
- 기계식주차장에 적합한 변환 젠더 설계 및 개발- 400kW 초고속 충전 파워모듈 설계 및 개발- 전기자동차 배터리 용량에 따른 전력재분배 알고리즘 설계 및 개발- 신재생에너지 활용을 위한 ESS 시스템 설계 및 개발- 초고속 충전 파워모듈 하드웨어 제어 고도화- 전기차충전기와 운반기의 어댑터의 내구성 검증 및 안전성 검증- 충전관리 스마트 앱 개발- 400kW급 충전모듈을 적용한 기계식주차장 테스트베드 구현- 공인인증시험
|
최종목표 |
- 기계식주차장에 적합한 변환 젠더 설계 및 개발- 400kW 초고속 충전 파워모듈 설계 및 개발- 전기자동차 배터리 용량에 따른 전력재분배 알고리즘 설계 및 개발- 신재생에너지 활용을 위한 ESS 시스템 설계 및 개발- 초고속 충전 파워모듈 하드웨어 제어 고도화- 전기차충전기와 운반기의 어댑터의 내구성 검증 및 안전성 검증- 충전관리 스마트 앱 개발- 400kW급 충전모듈을 적용한 기계식주차장 테스트베드 구현- 공인인증시험(연구개발성과)- 다중이용시설, 카페, 아파트 등 주거밀집지역에 주차난 해소와 전기차 충전기능을 동시에 제공함으로 복합공간으로 활용 가능- 400kW급 초급속 충전 원천기술 확보 및 국내 상용화 기술로 활용 가능- ?주차장법?상 전기차 충전 기계식주차장 설치에 따른 안전도 심사와 사용검사를 시행하기 위한 법/제도 개선의 근거자료로 활용 가능- 기계식주차장의 자동화 기술 적용으로 물류공장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활용이 가능한 응용기술로 작용- 정부에서 2020년 까지 전기자동차 충전소를 위해 약 200억 이상 투자를 하고 있으며 주차공간 활용이 용이하여 기계식주차장 설치대수는 점점 증가하는 추세임- 국내 기술력 확보로 수입대체효과를 누릴 수 있으며 충전기술, 주차설비내의 자동충전기능등 융합된 수입의존률을 감소시킨 주요 기술 국산화 가능당 제품이 5년간 중국시장에 EV충전과 기계식 주차장시장을 확대해 간다고 봤을 때 5년 누적 3,612백만원의 직간접적인 사회적인 비용절감효과를 가진다고 예상됨.[충전기 + 주차기 51,600대 * 70,000(5년 누적)=3,612 백만원]- 4차 산업혁명에 맞는 산업계의 일자리 창출이 전기/전자/IT/기계의 융합기술로 전문 인력의 고용비중 확대 및 고용 성장률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됨.- 신기술 개발 및 적용으로 R&D(연구개발) 개발인력에 대한 직접적인 수요 창출 효과와 새로운 일자리 제공으로 신규고용창출 가능 ○ 기계식주차장 전용 어댑터를 개발 적용함으로 전기차와 기계식주차장 간 통신 인터페이스의 차별화를 통한 전기충전 자동화 기술 적용 - 기계식주차장 승입면에서 운전자가 전기차 인렛에 커넥터를 꽂고 이동하면 주차장치가 자동으로 충전공간으로 이송하여 충전소요시간, 완료시간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완료된 차량은 주차공간으로 별도 이송하고 충전이 필요한 전기차를 교대로 순차 배열하며 충전이 가능한 시스템임 - 사람의 개입 없이 충전 효율 극대화 가능 ○ 기존 연구개발을 통해 6m의 충전케이블 20m이상 연장하여 적용한 테스트 완료 - 기계식주차장의 전원공급장치의 어댑터는 케이블의 발열을 방지하기 위해 공랭식으로 테스트 완료 ○ 200kW급 전력량으로 동시 4대의 충전이 30분 이내에 완료되며 공인인증기관을 통한 최대출력 효율 검증 완료기존 충전 인프라사업화 대상 기술 충전인프라야외에 설치되어 눈/비에 노출됨실내 설치로 눈/비 노출 차단외곽 지역 설치로 관리의 어려움도심지역 중심에 관리 수월함(24h A/S)충전장소(노면)확보로 부지 매입비 증가00m 노면 확보로 부지매입비 감소케이블 이동 시 손상 가능고정 케이블로 손상 없음1대의 충전기의 충전 중일 경우 대기시간 필요대기시간 없이 자동화 충전충전 완료 시간을 충전기 모니터를 통해 확인사용자 앱으로 전송하여 충전완료시간 확인
|
연구내용 및 범위 |
- 기계식주차장에 적합한 변환 젠더 설계 및 개발- 400kW 초고속 충전 파워모듈 설계 및 개발- 전기자동차 배터리 용량에 따른 전력재분배 알고리즘 설계 및 개발- 신재생에너지 활용을 위한 ESS 시스템 설계 및 개발- 초고속 충전 파워모듈 하드웨어 제어 고도화- 전기차충전기와 운반기의 어댑터의 내구성 검증 및 안전성 검증- 충전관리 스마트 앱 개발- 400kW급 충전모듈을 적용한 기계식주차장 테스트베드 구현- 공인인증시험(연구개발성과)- 다중이용시설, 카페, 아파트 등 주거밀집지역에 주차난 해소와 전기차 충전기능을 동시에 제공함으로 복합공간으로 활용 가능- 400kW급 초급속 충전 원천기술 확보 및 국내 상용화 기술로 활용 가능- ?주차장법?상 전기차 충전 기계식주차장 설치에 따른 안전도 심사와 사용검사를 시행하기 위한 법/제도 개선의 근거자료로 활용 가능- 기계식주차장의 자동화 기술 적용으로 물류공장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활용이 가능한 응용기술로 작용- 정부에서 2020년 까지 전기자동차 충전소를 위해 약 200억 이상 투자를 하고 있으며 주차공간 활용이 용이하여 기계식주차장 설치대수는 점점 증가하는 추세임- 국내 기술력 확보로 수입대체효과를 누릴 수 있으며 충전기술, 주차설비내의 자동충전기능등 융합된 수입의존률을 감소시킨 주요 기술 국산화 가능당 제품이 5년간 중국시장에 EV충전과 기계식 주차장시장을 확대해 간다고 봤을 때 5년 누적 3,612백만원의 직간접적인 사회적인 비용절감효과를 가진다고 예상됨.[충전기 + 주차기 51,600대 * 70,000(5년 누적)=3,612 백만원]- 4차 산업혁명에 맞는 산업계의 일자리 창출이 전기/전자/IT/기계의 융합기술로 전문 인력의 고용비중 확대 및 고용 성장률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됨.- 신기술 개발 및 적용으로 R&D(연구개발) 개발인력에 대한 직접적인 수요 창출 효과와 새로운 일자리 제공으로 신규고용창출 가능 ○ 기계식주차장 전용 어댑터를 개발 적용함으로 전기차와 기계식주차장 간 통신 인터페이스의 차별화를 통한 전기충전 자동화 기술 적용 - 기계식주차장 승입면에서 운전자가 전기차 인렛에 커넥터를 꽂고 이동하면 주차장치가 자동으로 충전공간으로 이송하여 충전소요시간, 완료시간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완료된 차량은 주차공간으로 별도 이송하고 충전이 필요한 전기차를 교대로 순차 배열하며 충전이 가능한 시스템임 - 사람의 개입 없이 충전 효율 극대화 가능 ○ 기존 연구개발을 통해 6m의 충전케이블 20m이상 연장하여 적용한 테스트 완료 - 기계식주차장의 전원공급장치의 어댑터는 케이블의 발열을 방지하기 위해 공랭식으로 테스트 완료 ○ 200kW급 전력량으로 동시 4대의 충전이 30분 이내에 완료되며 공인인증기관을 통한 최대출력 효율 검증 완료기존 충전 인프라사업화 대상 기술 충전인프라야외에 설치되어 눈/비에 노출됨실내 설치로 눈/비 노출 차단외곽 지역 설치로 관리의 어려움도심지역 중심에 관리 수월함(24h A/S)충전장소(노면)확보로 부지 매입비 증가00m 노면 확보로 부지매입비 감소케이블 이동 시 손상 가능고정 케이블로 손상 없음1대의 충전기의 충전 중일 경우 대기시간 필요대기시간 없이 자동화 충전충전 완료 시간을 충전기 모니터를 통해 확인사용자 앱으로 전송하여 충전완료시간 확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