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7 W/m·K 및 평균 표면온도 5°C 이상급 열전도성 콘크리트 기반 IoT 에너지하베스팅 열공급 융설 시스템 기술개발2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국토교통지역혁신기술개발 과제번호 22RITD-C161885-02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원자력 | 핵자료 기술 | None 적용분야 건설업
2순위 원자력 | None | None 실용화대상여부 실용화
3순위 보건·의료 | None | None 과제유형 개발
과제명 7 W/m·K 및 평균 표면온도 5°C 이상급 열전도성 콘크리트 기반 IoT 에너지하베스팅 열공급 융설 시스템 기술개발
주관연구기관 우리기술 주식회사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김홍기
소속 우리기술 주식회사 직위 이사
전화번호 041-855-1358 FAX 044-868-2984
총 연구기간 2021-04-01 ~ 2023-12-31
당해연도 연구기간 2022-01-01 ~ 2022-12-31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2차년도 600,000,000 14,400,000 129,600,000 144,000,000 744,00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 블랙아이스 발생으로 인한 도로?교통사고
● 2019년 12월 14일 상주-영천고속도로에서 블랙아이스 도로사고로 차량 20여대가 연쇄추돌 했으며, 7명이 숨지고 32명이 다쳤음.
● 2019년 11월 광주-원주 고속도로 옹양평 나들목 근처에서 블랙아이스가 원인으로 차량 20 여대가 연쇄 추돌하면서 인명피해와 교통혼잡으로 인해 사회적 비용이 발생되었음.
● 도로교통공단의 교통사고 분석시스템에 의하면 2014년부터 2018년도 까지 블랙아이스 및 도로결빙과 관련된 도로에서 발생한 사고는 6,578건으로 나타났으며 치사율은 1.9배 이상으로 높은 수치임.
● 동절기 도로에서 발생되는 위험요인은 기상적인 부분으로 기상의 변화에 따라 도로가 영향을 받으면서 교통사고를 통한 혼잡, 체증 등의 부작용과 다수의 인명피해를 일으키게 된다. 특히 어는 비와 블랙아이스는 동절기 교통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주목되고 있음.
● 어는 비(Freezing Rain)는 과냉각상태의 액체 강수가 지상으로 떨어지면서 지표면에 닿거나 물체에 부딪쳤을 때 유리면과 같은 투명한 모습으로 얼어붙는 현상인데 이는 블랙아이스처럼 도로 포장면에 반투명에 가까운 얇은 얼음 막이라는 의미 임.
● 겨울철 최저기온이 0℃ 이하면서 일교차가 9℃를 초과하는 일수와 결빙교통사고의 상관관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최근 5년간 이들 조건에 해당하는 날은 연 평균 51.5일에 달했음.
● 도로결빙에 의한 인명 및 재산피해는 꾸준하게 발생되고 있지만, 재설작업에 사용되는 염화물에 의한 차량부식, 콘크리트의 열화현상을 또 다른 도로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음.
● 현재 강원도 내 상습결빙구간 도로현황은 횡성군, 춘천시, 홍천군 등 도내 170개 도로에서 전체 299.86km 구간이 상습결빙구간으로 지정되어 있어, 강원도와 같은 산간지역이 다수 존재하는 지역에 상습결빙구간을 원천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이유임.
● 따라서 사후에 대응하는 예방이 아닌 선제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도로 융설 및 융빙에 대한 대책의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임.
○ 폭설 및 도로결빙(블랙아이스) 문제 해결을 위한 열전도성 콘크리트 개발 및 IoT기반 에너지하베스팅 열 공급시스템 구축
● 도로포장체로서의 기계적인 성질과 내구성 확보가 가능한 열전도성 콘크리트 개발과 여기에 적용하기 위한 열 공급체계에 적합한 재료 선정, 태양광을 활용한 IoT기반 Power Supply System을 통한 축전시스템 구축을 함으로써 친환경 에너지원인 태양전지를 이용한 축전시스템을 적용하여 일조량 및 기온에 따른 도로결빙환경 분석을 통해 도로결빙/블랙아이스 등의 지역 현안 문제 선제적 예방하는 기술 임.
● 어는비, 눈 등에 의해 도로결빙, 블랙아이스가 발생 되어 사고발생이 우려되는 지역으로, 가능한 분야는 도로포장, 철도, 인도, 골목길, 전력공급이 수월하지 않은 산간지역 등이 해당됨.
최종목표 7 W/m·K 및 평균 표면온도 5°C 이상급 열전도성 콘크리트 기반
IoT 에너지하베스팅 열공급 융설 시스템 기술개발

강원도 및 세종 지역 내의 현안문제인 도로결빙/블랙아이스 발생을 예방하며, 도로포장체로서의 기계적인 성질과 내구성 확보가 가능한 열전도성 콘크리트 개발과 여기에 적용하기 위한 열공급체계에 적합한 재료 선정과 태양광을 활용한 IoT기반 Power Supply System을 통한 축전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함.

⑴ 낮은 소모전력으로 표면온도 최소 5℃ 이상 유지가 가능한 도로 융설 및 융빙 성능을 확보
⑵ IoT 기반 Power Supply 및 Smart Control System 개발
⑶ 친환경 에너지원인 태양전지를 이용한 축전시스템 적용

일조량 및 기온에 따른 도로결빙 환경 분석을 통해서 도로결빙/블랙아이스 등으로 도로교통의 이용자의 사고발생을 방지하는 열전도성 소재 최적 배합기술 개발과 IoT기반 에너지공급시스템 개발을 통한 사업화를 목표로 함.
연구내용 및 범위 - 열전도성 및 발열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탄소소재 첨가 열전도성 콘크리트 최적 배합기술 개발
- 탄소 소재 기반 열전도성 콘크리트의 지적재산권 확보 및 사업화 기술 마련
- 지식재산권 확보를 통한 현장적용 시험 성과활용실적확보
- IoT 기반 Power Supply 및 Smart Control System 개발
- 통합 Smart Controller 응용프로그램 개발
- 지역내 상습결빙도로 선정 후 현장적용을 통한 사업화 효율성 분석
- 콘크리트 품질 가이드라인(안) 마련 및 공청회/만족도

최종 목표의 성격 및 설정근거
● Power Supply System은 태양패널의 설치 단위면적 당 배터리의 축전량을 인증 실험을 통해 시험성적서를 발행하여 설정근거를 확보할 계획임.
● 통합 Smart Controller 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의 TTA인증성적서를 발행하여 목표를 달성할 계획임.
● 열전도성 및 발열성능과 관련된 목표는 연전도도와 관련된 목표는 국가 공인인증기관을 통해 KS 규격에 맞게 성적서를 발행할 계획이며, 발열성능과 관련된 내용은 국내 및 국외 기준이 없기 때문에 국공립 연구소를 통해 연구보고서를 발행할 계획임.
● 내마모성, 압축강도, 휨강도, 동결융해, 마모저항성 등과 같은 내구성과 기계적인 특성은 국내 KS 기준과 국외 ASTM 기준에 맞게 실험을 통해 국가 공인인증기관을 통해 공인성적서를 발행하여 품질검증을 통해 정량적인 목표를 통해 사업화 단계에서 품질인증서류로 활용할 계획임.

일조량 및 기온에 따른 도로결빙 환경분석을 통해 태양광을 활용한 IoT기반 Power Supply System을 통한 축전시스템 개발
- 태양 패널의 단위면적당 시간당 배터리 축전량 100Wh/㎡ 이상
- 배터리 보온패키지 개발 (사용 온도 ?10℃~50℃)
- IoT 결빙 감지 센서 및 모니터링의 데이터 손실율 5% 이하

강원도 및 세종시 지역 내 도로결빙/블랙아이스 다발구간에 선제적 사고예방이 가능한 도로 융설 및 융빙 시스템 재료
- 열전도율 7 W/m·K 이상
- 압축강도 40MPa, 휨 강도 6MPa 이상
- 내마모성 10% 이하
- 중성화 10mm 미만
- 내산성 질량감소율 3% 미만
- 동결융해 저항성 90% 이상
- 발열성능 (발열온도 50℃이상)
- 현장시방배합표

제안기술의 현장에 적용하기 위하여 재료의 생산부터 제작, 설치 그리고 현장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전반적으로 도출하여 경제성 분석을 실시
- 현장배합 압축강도 40MPa, 휨 강도 6MPa 이상
- 현장배합 공기량 및 슬럼프 측정 (4~6%, 180mm 이상)
- 현장 발열 성능 시험 (표면온도 5℃ 이상)
- 시공원가계산서 산출
- 제품 생산 단가표
- 경제성 분석표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2차년도 - 주관연구개발기관(우리기술 주식회사) : IoT 기반 에너지 하베스팅 열공급 시스템 및 모니터링 설계
- 공동연구개발기관(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열전도성 콘크리트 품질성능검증
- 공동연구기관(동서건설): 열전도성 콘크리트 생산 및 현장시공 체계 구축
- 공동연구기관(한국도로협회): 결빙사고 분석 및 공청회
- 주관연구개발기관(우리기술 주식회사) :
● Power Supply System 구성 설계
● * -10℃이하, 25℃이상 에서 작동 가능한 태양전지 적용 및 여유전력(3일)유지가 가능한 축전시스템 설계 (단위면적당 배터리 축전량 90Wh/㎡ 이상) * 발열콘크리트 제어시스템 설계 * 3일 사용량 기준 배터리 설계(발열 콘크리트의 예상 소비 전력을 산정하여 배터리 축전량을 계획하였으며, 필요 발전량에 따라 태양광 패널 정격 출력 전압 조정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개발) * 태양열 및 외부전력 하이브리드 충전 시스템 설계 * 발열콘크리트 제어가 가능한 설계보고서 1건
* 국토교통부령 제706호 도로의 구조ㆍ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0조(차로)에 따르면 설계기준자동차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필요한 경우는 3미터로 규정하고 있으며, 설계속도 및 지역에 따라 도로는 최소 2.75미터~최대 3.5m를 적용 중임. 본 과제에서는 다양한 폭의 도로에 적용하기 위한 최소 기준인 단위면적(1m2)당 배터리 축전량에 대한 성과목표치를 설정하였으며, 블랙아이스 취약 시간(23시~07시) 기후조건 분석(강수/강우/온도 등)을 통하여 최적의 배터리 축전량 산정 및 성과목표치 달성할 계획임

- 공동연구개발기관(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 열전도도 최소 7 W/m·K 이상급 열전도성 콘크리트 개발 * 현재 한양대학교 콘크리트 연구실은 탄소소재인 흑연과 실리콘 카바이드를 기반으로 하는 아치형 강섬유 보강 열전도성 콘크리트를 개발하여 열전도율 7 W/m·K 급 열전도성 콘크리트 개발. * 개발된 열전도성 콘크리트에 외부환경 및 열화인자에 영향을 받는 도로포장재료로서 기계적 성질 및 내구성능 분석, 이를 통한 공인인증서류 구축

- 공동연구기관(동서건설):
● 열전도성 콘크리트 생산기술 및 설치/제작 기술 개발 * 개발되는 열전도성 콘크리트 사용형태에 따른 생산기술 정립 * 현장조건에 따라 적용방법을 고려한 열전도성 콘크리트 제작방법 도출 (프리케스트 기반의 패널형태 및 현장직접타설방법)

- 공동연구기관(한국도로협회):
● 지역별(강원, 세종) 도로 결빙구간 및 겨울철 사고다발 구간 등 사전조사
● 지자체(공공)/지역주민 참여 자문단 구성 * 연구개발 단계부터 지속적인 시민들과의 소통을 통해 다양한 시민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사업성을 강화하고 사업에 대한 시민의 관심과 만족도 향상 도모 * 자격조건, 주요활동, 인원, 추진일정 등
● 지역주민 대상 공청회ㆍ설명회 * 지역주민 공청회를 통한 지역의견수렴 및 지역적 특성을 감안한 대책기술 적용방안 마련 (지역주민 공청회 및 설명회를 통한 지역의견수렴 및 향후 연구방향 설정)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 친환경 발열콘크리트 복합재료 선정 및 개발
● 7 W/m·K 이상 열전도율을 가진 자기발열 시멘트 복합체의 개발, 폴리실리콘 슬러지 및 흑연의 경우 재료 자체가 가지고 있는 물리적 특성이 우수하여 열안정성이 우수하고 부식, 파괴 등이 발생하지 않아 복합체 내에서 물리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
● 에너지하베스팅을 통해 전력 공급이 가능한 발열체가 임베디드 된 도로 융설 콘크리트 개발, 기존의 열전도성 재료들은 발열성능 면에서는 우수하지만 시멘트복합체로 사용하게 되면 강도가 저하되거나, 내부의 공극을 발생시키게 된다. 반면 본 개발재료는 자기발열 성능은 비슷한 성능을 보이면서 시멘트 복합체 내부의 강도, 기계적인 성질 까지 향상시킬 수 있는 재료로서 도로포장 용 콘크리트로 적용하기에 매우 적합한 재료임.

○ IoT기반 Power Supply 및 Smart Control System 개발
● 친환경에너지로 태양광발전이 주목받고 있으며, 이를 제어할 수 있는 센서 네트워크 기반 환경인식 프로세스가 적용된 사례는 있지만, 도로결빙에 대한 유지관리를 위한 센서 네트워크가 적용된 사례는 없는 실정임.
● 친환경에너지(태양전지)를 이용한 축전시스템을 개발하고, 여유전력 유지가 가능하도록 총 소비전력에 대한 축전가능 설비를 구축하고, 일조량 및 기온에 따른 환경 분석을 통해 친환경 복합재료 발열콘크리트의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도로결빙 스마트 제어시스템개발로 능동형 도로관리시스템을 구축이 가능함.

○ 통합 Smart Controller 응용프로그램 개발(Hybrid Web)
● 기존 도로포장 유지관리는 실시간 현장파악과 응급조치의 기술이 결여되어 각각 기술에 과도한 비용이 투자되었으며, 태양광 및 풍력 발전 등의 친환경에너지를 활용한 시설물 유지관리기술이 부족하여, 경제적이고 지속가능한 운용이 어려웠음.
● 열전도 콘크리트 및 스마트 제어시스템의 사용성 분석을 통해 현장적용을 위한 고도화를 수행함으로써 기존의 도로?교통 유지관리기술의 단점을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적이고, 능동적인 도로결빙 스마트 제어시스템을 개발함.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 목표시장 정의
● 어는비, 눈 등에 의해 도로결빙, 블랙아이스가 발생 되어 사고발생이 우려되는 지역으로, 가능한 분야는 도로포장, 철도, 인도, 골목길, 전력공급이 수월하지 않은 산간지역 등이 해당됨.

○ 목표시장 규모 및 성장 가능성
● 우리나라 유지관리 시장측면에서 보면 2020년 예산안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노후SOC 유지보수와 재난대응 투자가 강화됐음. 먼저 기반시설 노후화에 대비해 유지보수 예산이 3조1,058억원에서 3조9,131억원으로 8,000억원 가까이 늘어났음.
● 특히 포트홀과 불량포장, 상습 결빙노면 정비를 2,501억원에서 3,080억원으로 확대하고 좁은도로 등 위험한 도로를 안전하게 개량하기로 했음.
● 또한 시설물을 안전하게 관리하고 장애시보다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4차 산업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유지관리'도 확대할 예정.
● 국토교통부는 올해 예산 2조 1359억원을 투입해 안전한 도로를 만들기 위한 도로보수 및 포장사업을 실시한다고 공고함.
● 도로 관리 예산은 최근 3년간 꾸준히 증가하여 올해 지난해 보다 약 3% 이상 증가된 예산을 배정함.
● 도로 재료로서 보수 및 포장 후 재료의 품질 등에 의한 하자로 인해 재 보수기간이 짧아지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어 경제적 손실 및 민원이 발생하고 있음.
● 따라서 본 사업화 연구를 통해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 등 도로결빙이 발생되는 구간에 적용 가능한 열전도 콘크리트 포장 및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을 개발하여, 정부의 시책에 부응하는 도로구조물의 재료로서 유지관리 편의성이 향상된 기술 도로구조물 재료로서 시장 점유율을 선점할 수 있음.
활용방안 ● 본 연구 과제의 결과물을 활용하면 어는비, 눈 등에 의해 발생되는 도로결빙, 블랙아이스로 인한 교통사고, 인명피해 등을 예방할 수 있음.
● 에너지 하베스팅을 통해 기존 융설 및 융빙 시스템의 단점인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고 보다 체계적인 유지관리로 추가적인 비용을 줄일 수 있음.
● 활용 가능한 분야는 도로포장, 철도, 인도, 골목길, 전력공급이 수월하지 않은 산간지역 등 다양하게 확장이 가능함.
● 프리캐스트 형식으로 패널 제작이 가능하여 현장 타설이 아닌 사전 공장제작을 통해 현장에서 공사기간을 줄임으로써 신속한 교통 개방이 가능하고, 기존 유지보수공법에 비해 시공성이 우수하며 외부환경 조건에 따른 영향을 크게 줄여 일률적인 포장품질 관리가 쉽고 전단면 보수가 가능해 포장수명을 늘릴 수 있음.
● 최종적으로 열전도 콘크리트 기술 및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을 개발하여 타 분야와의 융합연구로 지속적인 성장을 주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랙아이스 예방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관심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됨.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열전도성 콘크리트 에너지하베스팅 태양광 패널 융설융빙 블랙아이스
영문 Thermal Conductive Concrete Energy Harvesting Solar Panel Deicing Black Ice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