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개발개요 |
연구개발과제명 : 모듈화 기반 미활용 재생연료 6MWth급 삼중열병합발전 플랜트 해외실증 및 사업모델 개발실증 후보지 : (1안) 떠이닌시(호치민 북서쪽) TTCS 사탕수수 가공공장(민간) : (2안) 선라성 마이선현(하노이 북서쪽) 산업단지 (지자체) : (3안) 저럼현(하노이 동쪽) 스마트 농수산물유통센터(해외투자법인)미활용 재생연료 : (1안) 바가스 : (2안) MSW, 옥수수 부산물, 왕겨, 카사바 : (3안) 과채류부산물, 옥수수부산물설비규모 : 바이오드라잉(전처리) 140톤/일 : 반탄화로 100톤/일 : 연소보일러 45톤/일 : 바이오차 LHV 4,800kcal/kg : 에너지 생산량 약 6.74MWth(전기,스팀,냉수)총 사업비 : 280억원(정부 233억원, 민간 47억원)연구기간2021.4 ~ 2025.12 (4년 9개월)
|
최종목표 |
베트남의 특성과 수요에 기반한 맞춤형 미활용 재생연료 플랜트 건설과 운영비 절감, 원격 모니터링 및 유지관리를 위한 스마트 통합운영관리시스템, 그리고 해외 현지에서의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한 사업화지원 솔루션을 패키지화한 한국형 전주기 실증 플랫폼 구축1단계□ 미활용 재생연료 6MWth급 삼중열병합발전 플랜트 인허가 취득, 핵심설비 모듈화 설계, 제작 및 현지 시공□ 미활용 재생연료 플랜트 스마트 통합운영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축□ 실증부지 대상 타당성검토, CDM 사업모델 제안 및 베트남 중앙/지방정부 등 관계자 네트워크 구축2 단계□ 미활용 재생연료 6MWth급 삼중열병합발전 모듈러 플랜트 시운전, 설비개선 및 연속운전을 통한 운전 최적화□ 빅데이터 기반 미활용 재생연료 플랜트 운영데이터 수집, 분석 및 예측을 통한 지능형 운전 가이던스 시스템 구축□ 해외 CDM 등록, 모니터링, 주요국별 사업모델 개발 및 한국형 미활용 재생연료 플랜트 전주기 실증 플랫폼 구축
|
연구내용 및 범위 |
□ 모듈화 기반 한국형 미활용 재생연료 플랜트 라이선스 확보 및 통합실증 ○ 현지 미활용 재생연료 바이오드라잉(Bio-drying) 및 반탄화(Torrefaction) 기술 개발 - 현지 미활용 재생연료 건조에너지 800kcal/kg의 저비용 바이오드라잉 설비 설계·제작 기술 - 현지 미활용 재생연료 4,800kcal/kg의 고품질 바이오차 제조 반탄화 설비 설계·제작 기술 - 반탄화 배가스(타르, 가연성가스)의 열원용 재사용 및 성형제(Binder) 활용 기술 ○ 고품질 바이오차 활용 내부식성 삼중에너지 생산 기술 개발 - 재생연료 탈회분 및 연료첨가제 주입을 통한 연소보일러 부식방지 기술 - 한국형 바이오차 연소보일러의 부식 및 대기오염물질 발생 제어 기술 - 한국형 바이오차 연소로의 전산유동해석(CFD)을 통한 최적 설계 기술 - 바이오차 연소보일러 대기오염방지시설 최적 설계 기술 - 바이오차 연소보일러 모듈 제작 및 최적 운영 기술 - 스팀생산 및 수요처 공급 부하변동에 따른 증기터빈 최적 운영 기술 - 수요처 니즈에 부합하는 전기-스팀-냉수 삼중에너지 최적 생산 기술 ○ 미활용 재생연료 6MWth급 삼중열병합발전 플랜트 통합설계, 제작 및 운영 기술 개발 - 미활용 재생연료 플랜트 모듈화 통합설계 기술 - 미활용 재생연료 플랜트 악취제거 설비 최적설계 및 운영 기술 - 미활용 재생연료 모듈러 플랜트 통합구축 및 운전 최적화 기술 - 미활용 재생연료 플랜트 건설비 절감, 공사기간 준수를 위한 전주기 건설관리 기술□ 지능형 운전 가이던스 및 실시간 성능진단 스마트 통합운영관리 시스템 개발 ○ 지능정보기술 기반 미활용 재생연료 플랜트 실시간 성능진단 및 스마트 통합운영관리 시스템 구축 - 미활용 재생연료 플랜트 스마트 통합운영관리 시스템 설계, 구축, 분석 및 운영 기술 - 미활용 재생연료 플랜트 스마트 통합운영관리시스템 표준 모델 개발 ○ 미활용 재생연료 플랜트 연계 스마트 에너지관리 기술 - IoT 기반 미활용 재생연료 플랜트 생애주기관리 및 에너지 최적화 기술 - 미활용 재생연료 플랜트 에너지 생산 최적화를 위한 수요처 에너지관리 기술 ○ 미활용 재생연료 모듈러 플랜트 디지털 트윈 개발 - 미활용 재생연료 플랜트 디지털 트윈 가시화 3D 모델 개발 - 미활용 재생연료 플랜트 디지털 트윈 시뮬레이션 모델 개발 - 미활용 재생연료 플랜트 디지털 트윈구축 및 HMI(Human Machine Interface) 연계 등 운영 기술□ 현지 수요기반 지속가능한 사업모델 및 사업화지원 솔루션 개발 ○ 현지 사업화 지원 및 국제협력 체계 구축 연구 - 현지 정책, 법·제도, 인·허가, 도시계획, 시장수요 등 정보 수집 및 제공 기술 - 미활용 재생연료 공급, 실증설비 부지 및 유틸리티 등 지원 - 현지 맞춤형 양방향(한-베) 전문인력 양성, 기술교류 등 국제협력 ○ 현지 맞춤형 미활용 재생연료 삼중열병합발전 플랜트 해외 CDM 사업 모델 개발 - 현지 미활용 재생연료 활용 삼중열병합발전 플랜트 온실가스 저감 모델 - 동남아시아 주요국 특화 및 확산 모델에 대한 온실가스 저감 모델 ○ 동남아시아 주요국 재생연료 플랜트 특화 및 확산 모델 개발 - 동남아시아 국가별 바이오매스 재생연료 플랜트 특화 모델 개발 - 동남아시아 국가별 바이오매스 재생연료 플랜트 보급 및 맞춤형 모델 개발 - 동남아시아 국가별 바이오매스 재생연료 플랜트 타당성 분석 모델 개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