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년도 |
GTR(Ground Tyre Rubber)을 이용한 고내구성 저소음 비배수성 아스팔트 바인더 성능 개선 및 친환경 아스팔트 혼합물 성능평가
|
? GTR 종류 및 입자에 따른 PG 등급 영향 평가- 고무가루 생산 방법이 바인더 성능 및 작업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 - 고무가루 입자 크기가 바인더 성능 및 작업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 고내구성 저소음 비배수성 아스팔트 바인더 성능개선- PG 82-22 고무아스팔트 바인더 개발을 위해 고무가루 입도 및 함량 결정- PG 등급 평가 및 시험 시공을 위한 배합비 결정? 고내구성 저소음 비배수성 아스팔트 혼합물 성능 평가- 소성변형 및 수분취약성 특성 평가- 실내공용성 평가? 친환경 아스팔트 혼합물 성능평가? 복층 저소음비배수성 아스팔트 포장의 비스니스모델 수립- 복층 저소음비배수성아스팔트 포장의 가치, 수익모델, 사업하부구조 등 검토
|
연구성과 |
기술적 기대성과 |
○ 기술적 측면- 박층 포장과 순환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복층으로 시공함으로써 적용범위를 일반 아스팔트 포장 시장까지 확대 가능
|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
○ 경제적 측면- 개질 아스팔트 대비 저렴한 가격으로 공사비 절감 가능- 고내구성 포장기술로 균열, 포트홀 등의 도로포장의 손상을 감소시켜 도로의 유지관리 비용 감소가 가능하고 도로포장 수명이 연장되어 보수(절삭 및 재포장) 비용 절감 가능○ 환경적 측면- 순환골재를 사용하여 도로포장폐기물의 재활용률을 증가- 순환골재는 천연골재를 대체하므로 순환골재의 사용량만큼의 골재채취로 인한 자연환경 훼손 감소- 폐기물의 매립물량 감소로 인한 매립지 수명 연장- 건설폐기물 매립으로 인한 환경오염 방지- 순환골재를 사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는 개질 아스팔트 대비 20~30 도 낮은 온도에서 생산되므로 이산화탄소 발생량 등 오염물질 발생 감소○ 장기 공용성 측면 - 일반 밀입도 아스팔트의 내구연한을 10년으로 보고 있으나 실제로는 균열, 포트홀 등의 손상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5년 이내에 절삭 및 재포장 하는 경우가 많으나, 신청 기술은 고내구성 바인더를 적용하여 포장면의 변형과 골재의 탈리를 예방하여 일반 밀입도 아스팔트 대비 장기 공용성 우수
|
활용방안 |
○ 기존 개질 아스팔트 대비 저렴한 가격으로 일반 밀입도 포장의 대체재로 활용 - 기존 일반 밀입도 포장 대비하여 내구성이 향상된 제품으로 포장의 손상(박리, 포트홀 등)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구간에 시공 시, 포장 손상으로 인한 교통사고 위험 감소 등 운전자의 안전성 증대 가능 - 소음저감이 가능하고 평탄성이 우수하여 운전자의 쾌적한 주행 가능- 현재 순환골재는 공공기관에서 발주하는 대규모 도로공사(1km 이상 신설ㆍ확장, 포장면적 9,000㎡ 이상)에 의무사용하도록 규정되어 있으나, 전국 96,455km에 달하는 포장도로(2019년, 통계청)의 보수(절삭 및 재포장)에 적용 시, 의무사용량에 비하여 상당한 양의 도로포장폐기물의 재활용 가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