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년도 |
1. 열화상카메라와 일반카메라를 접목한 듀얼카메라 개선 2. 듀얼카메라 이용 돌발상황 검지시스템 구축, 차량 영상검지기 복합구축 3. 돌발상황 검지, 차량영상검지기 복합 운영자 프로그램 개발 4. 실시간 감시 SW 개발 5. 객체 검출 및 추적 알고리즘을 개발
|
1. 악천후에서의 영상 확보 (출원된 특허의 상용화) 2. 고장으로 인한 정지 차량, 도로에 낙하물, 횡단하는 동물, 역주행 등의 돌발 상황을 감지 개선 3. AI를 이용한 돌발상황 검지 알고리즘 업그레이드 4. 현장에 설치된 듀얼카메라 실시간 검지 모니터링 소프트웨어 개발 5. 가우시안 혼합 모델(Gaussian Mixture Model) 구현 6. 옵티컬 플로우(Optical Flow) 판단방법 루카스-카나데(Lucas-Kanade)기능 구현 7. 딥러닝 분류 모듈 기능 추가
|
연구성과 |
기술적 기대성과 |
1) 향후 국내 시장에 예상되는 듀얼 카메라 기술적 방어 및 수입 대체 효과 - 국내 최초, 돌발상황 감지시스템에 듀얼 카메라를 사용. 2) 듀얼 카메라에 의한 성능 혁신성으로 인한 고신뢰성, 고효율성 제공 기대 - 영상 데이터 제공을 통한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데이터 제공 - 열화상 카메라를 통한 안개 및 악천후 상황에서도 영상의 품질 유지 가능 - 현장 장비 축소로 인한 저 전력화 - 그린에너지 대응 저전력화 및 방진 방수 설계에 적합한 구조 3) 기술의 응용/확장성으로 기술의 시너지 확대화 및 스마트 ITS 환경 제공 - 실시간 영상처리가 가능 - 정지영상 처리에서 벗어나 동영상 처리와 정지영상 처리를 동시에 처리 - ITS 구축에 활용되는 여러 응용 분야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수행되는 통합처리계를 만듬 - ITS를 넘어 보안(security)과 지능형 CCTV 영역까지 커버하는 최적 구조 제공 - Smart highway 구축 시, 지능형 차량용 영상처리에 사용할 수 있는 Smart camera 모듈
|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
<경제적 측면> - 소형, 경량화 및 현장 장비 최소화로 인한 원가의 혁신적 개선 및 설치 환경의 Clean화 - 본 개발품은 레이더를 이용한 돌발상황 감지시스템에 비해 듀얼카메라 1식만 현장에 설치함에 따라 타사 제품과 아래와 같은 개선 효과가 있음. - 본 개발품의 기존 타사 제품 대비 개선 효과 (무게, 부피 : 1/10 수준, 소모 전력 : 1/8 수준, 배선[카메라<->제어기] 삭제, 기기 발열 수준 : 1/8 수준)<산업적 측면> 우수한 영상 성능 및 통합 기능 제공으로 인접 지역에 유사 기능의 ITS 장비의 중복 설치 배제 및 균등한 공간 재배치, 그리고 효율적인 시스템의 운영 및 관리가 가능하여 더 효율적인 ITS 설치 환경을 제공.<기술개발 완료 후 단독으로 제품화 및 핵심기술의 주변 기술에의 파급효과> - 1단계. 듀얼 카메라의 상품성의 극대화 예상되어 독립된 상품으로 판매 - 2단계. 돌발상황 감지시스템이 ITS 시스템 구축의 중심 엔진으로 사용되어 고도화된 시스템 구축 실현 - 3단계. Smart Highway의 구축에서 운행 차량 내 영상처리 엔진으로 활용되는 구성이 가능한데 이와 같은 다양한 응용으로 확대 발전할 것으로 기대함. 우수한 영상 성능 및 통합 기능 제공으로 인접 지역에 유사 기능의 ITS 장비의 중복 설치 배제 및 균등한 공간 재배치, 그리고 효율적인 시스템의 운영 및 관리가 가능하여 더 효율적인 ITS 설치 환경을 제공한다.
|
활용방안 |
○ 판로 개척 및 확보에 활용 - 테스트 배드 시스템 구축을 위한 실증 설비 확보 (현재 서울시 실증 사업 과제 접수 진행중) - 국내 도로 인프라 구축시 설비 요구사항 반영할수 있음 - 제품에 대한 성능인증을 기반으로 공공기관 우선 구매 자격 확보가 가능 - 교통 분야 및 C-ITS 분야의 교통안전 확보를 위한 지능형 교통사업에 적용 ○ 사회적 문제 해결 - 사회적 비용 (혼잡비, 물류비, 환경비 등) 감소 : 주요 도로의 소통정보 등 기존 일부 제한된 지역에서 수집되던 교통정보가 국도 및 도시 내 도로의 교차로 등 CCTV가 설치 되어 있는 전국 모든 도로의 교통정보를 수집?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 이용자의 교통 혼잡비용, 물류비용, 환경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 교통환경 개선으로 교통안전 확보, 인명피해 등 경제적 손실 감소 : 지능형 ITS 기능의 도입(역주행 감지, 무단횡단자 감지 등)으로 교통안전 정보제공, 교통사고 예방 시스템 구축으로 교통사고 사망자 수 감소 및 국가 예산 손실 감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