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내용 및 범위 |
· 개발 내용(1) : 토질주상도 모델링을 위한 지질 예측 분석알고리즘을 비교분석하여 정확한 지층 정보를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 토질에 대한 주상도를 모델링하기 위해서는 지층에 대한 예측이 필요하며, 공간통계와 기계학습을 비교분석하여 적합한 알고리즘을 찾아 적용하고자 함. - 지층 예측 모델은 회귀 분석이 가능한 알고리즘을 대상으로 하며 공간 통계에 대표적인 Kriging과 기계학습에 MLP(Multi Layer Perceptron), SVR(Support Vector Regression), Random Forest, Bagging을 비교분석함.· 개발 내용(2) : 2D 설계도면 방식을 자동화하여 데이터 추출 시 휴먼에러를 줄이고 시간을 단측하여 전체 시스템에 도입· 개발 내용(3) : PBD 3D 모델의 경량화 작업을 통하여 WebGL 기반 지도위에 타설 데이터를 보여주는 처리 속도 향상 - 우선 PBD를 표현할 기초 모델을 생성하고, 시각화할 영역에 대한 공간 인덱스를 생성 - 여기서 공간 인덱스는 Geohash를 이용하여 구획을 나누는데, Geohash는 위치 정보를 가지고 문자와 숫자로 인코딩하여 원하는 Grid 범위로 나누어 인덱스 생성 가능. 나누어진 Grid 구획을 기준으로 정중앙을 좌표의 원점으로 가지어 PBD의 위치 데이터를 절대 좌표로 바꿀 수 있도록 함 - 좌표 원점을 기준으로 PBD의 X, Y, 실입 데이터를 통해서 PBD의 3D 모델을 즉시 생성하여 배치함 - 배치한 인덱스 단위의 PBD 모델은 하나의 3D 모델로 생성되고, OGC(Open Geospatial Consortium)에서 채택한 대용량 데이터의 시각화 기법인 3D Tiles를 사용하여 표출함)· 개발 내용(4) : OCR 데이터 추출시 사용하던 딥러닝 모델 성능 향상을 위하여 데이터 추출 데이터와 오류 수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 데이터터를 생성 하고 학습데이터를 기반으로 LSTM 모델 재학습을 통하여 OCR 텍스트 추출의 정확도를 향상· 개발 내용(5) : 연약지반 개량공사의 품질관리 및 비대면 현장관리를 위한 3차원 디지털모델을 이용한 시공관리 시스템 구축 서비스는 그림24. 운영시스템 서비스 흐름도와 같이 구성하며 전체적인 데이터 처리는 서버에서 처리하고, 데이터 처리 및 클라이언트 요청에 대한 서버의 응답속도 성능 향상· 개발 내용(6) : 비대면 영상 송출을 위하여 원본 영상의 크기를 줄이기 위하여 영상 압축 기술을 이용한 인코더 개발, RTMP(Real Time Messaging Protocal)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방송 송출(스트리밍서비스)서버를 개발하여 안정적인 송출을 지원 하는 CDN(Content Delivery Network) 서버 구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