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년도 |
자기 치유 성능 향상 기술, 제조 공정 최적화 및 치유 소재 시작품 제조를 통한 치유 소재의 실용화 기술 개발
|
1단계 연구성과인 유·무기 혼합재, 박테리아, 고상 및 마이크로 캡슐을 기반으로 신규기술인 자기치유형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 염화물고정용 이중층수산화물(LDH), 슬라임 형성 호염 박테리아의 제조기술을 확보하고자 함.1차년도의 연구개발성과로 유·무기 혼합재, 스마트 폴리머, 생체광물형성 박테리아, 고상 및 마이크로캡슐을 사용한 실험실 수준의 시작품을 제작할 예정임.
|
연구성과 |
기술적 기대성과 |
자기치유 콘크리트와 관련한 응용 기술 및 생산 기술 국산화로 해외기술 의존도 해소 및 해외 건설시장 수주 경쟁력 강화가 가능함. 현재 국내의 자기치유 콘크리트 기술의 성숙도 및 수준은 추격위치이지만, ‘자기치유형 친환경 콘크리트 기술 개발 2단계’를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선도적 위치로 향상될 수 있음. 또한, 미래 건설시장을 수도할 수 있는 자기치유 콘크리트 핵심원천기술 및 실용화기술 선점으로 첨단 기술보유국으로 국제적 인지도 제고가 가능하며, 자기치유 성능평가 방법 및 성능 기준 표준화를 통해 국내·외 자기치유 건설자재 시장 선도가 가능함. 자기치유 콘크리트 개발을 통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혁신적 내구성능 향상 기술의 확보를 통해 유지보수가 어려운 초장대 해상교량, 해저터널, 방사능폐기물, 해상풍력발전소 콘크리트 구조물 등 사회기반 시설물의 유지관리 비용의 절감이 가능함.
|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
축적된 국가 기반시설 및 대형 구조물의 향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사회 인프라 유지비용의 획기적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현재 대한민국은 선진국 진입으로 사회 기반시설에 대한 유지관리 비용의 증가가 예상되며, 자기치유 콘크리트를 도입하여 기존 시설물의 사용기간 연장 및 유지비용의 절감이 가능함.또한, 국내의 자기치유 콘크리트 기술로 인하여 건설 신소재 개발기술 확보를 통해 전문성이 필요한 자기치유 관련 전문인력 양성 및 취업증대 효과가 가능하며, 국내 콘크리트 재료관련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이 용이함.
|
활용방안 |
자기치유 콘크리트는 지하시설물, 수리구조물, 원전구조물 등 유지보수가 힘든 콘크리트 구조물에 활용이 가능하며, 도로 및 교량 등 유지보수가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사회기반 시설물에 활용이 가능함. 또한, 오폐수처리장 및 하수암거 등 각종 화학성분에 의해 성능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고내구성이 요구되는 콘크리트 시설물에 적용할 수 있음. 자기치유 콘크리트는 신규 구조물과 PC제품 제작 및 운반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초기 균열 관리에 적합하여 균열의 제어 및 관리가 가능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