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년도 |
○ 고정밀 공간데이터 압축률 40%○ 공간정보연계 관광데이터 종류 5개○ 시각지원 브라우저 2개○ 대용량 공간 콘텐츠 시각화 속도 35fps○ 시범 콘텐츠/서비스 3종
|
○ 공간정보 연계 기반 관광 디지털 트윈 기술 개발 - 관광지 및 이용자 데이터 획득 및 연동 기술 - 공간정보 기반의 관광 행태 데이터 획득 및 정합 기술 - 실감형 관광 콘텐츠 생성을 위한 공간정보 처리 및 변환 기술 개발○ 관광 디지털 트윈 기반 실감형 관광 콘텐츠 생성 및 편집 기술 - 공간정보 기반의 실감형 관광 콘텐츠 생성 및 편집 기술○ 공간정보 기반 실감형 관광 제작 및 체험 테스트베드 구축 - 실감형 관광 사전 체험 및 안전관리 모니터링 기술
|
연구성과 |
기술적 기대성과 |
○ 공간정보 기반 실감형 콘텐츠 분야 기술 경쟁력 및 기술 선도 - 공간정보에 대한 품질 고도화로 공간정보 기반 실감형 콘텐츠 경쟁력 확보 - 공간정보를 활용한 다양한 공간 문화콘텐츠 연계 분야의 기술 선도○ 공간정보의 활용으로 실감형 콘텐츠 제작 시간 및 비용 절감 - 공간정보를 활용한 실감형 콘텐츠 제작 시간 및 비용절감으로 콘텐츠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 기반 확보 - 국가 공간정보의 타산업 연계 활용에 따른 이종산업 융합 촉진 및 시너지 발생
|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
○ 공간정보 기반 스마트 관광 및 가이드 품질 향상 - 공간정보와 사용자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스마트관광 서비스 구축으로 관광과 가이드 서비스 향상 - 공간정보와 지역문화자원을 융합하여 관광 상품의 다양화와 품질 향상○ 문화관광 산업 융성, 국가 이미지 제고 및 관광 등 관련 산업 활성화 - 국가 공간정보를 활용한 다양한 실감형 콘텐츠화에 따른 관광, 체험, 영상, 게임 등 콘텐츠 관련 산업 활성화 - 국가 공간정보의 활용에 따른 국가 이미지 제고, 관광 등 관련 산업과 동반 성장에 따른 부가가치 창출
|
활용방안 |
○ 공간정보 기반 관광 콘텐츠 디지털 트윈 및 저작 기술은 VR/AR 기반의 실감형 관광콘텐츠 뿐만 아니라 체험형 학습과 같은 교육, 정신 의학, 심리 치료 분야와 영화, 게임 등의 문화콘텐츠를 비롯하여 실 환경 구축이 필요한 연구 개발 분야로 적용 및 활용 가능- (공공) 지자체 관광정보 서비스 및 KTO등의 관광관련 공공기관- (민간) 스마트관광분야 서비스 업체 및 개방형 정보를 이용하는 스타트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