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개발개요 |
○ 연구개발 배경- 2019년 4월 출범한 대도시권 광역교통위원회는 ‘도로 위 지하철’로 불리는 첨단 간선급행시스템(S-BRT)을 도입하여, 시민이 편리한 출퇴근 광역교통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함- 현재 운영되고 있는 BRT는 중앙버스전용차로 수준에 그치고 있으며, 이는 전용차로의 불연속성, 일반 차량과 동일한 수준의 신호 교차로 대개, 정류장 처리용량 한계로 인한 병목현상으로 신속성, 정시성 저해- 이러한 기존 BRT 운영 문제를 해소하고, 시민체감형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대도시권 광역교통위원회는 ‘S-BRT 표준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시범사업 대상지를 선정하여 추진 예정○ 연구개발 필요성- S-BRT는 도시철도 시스템의 장점을 버스에 도입하는 방식으로, 전용 도로, 첨단 정류장 등 전용 시설과 운영 시스템을 활용하여 빠른 속도와 편리성으로 지하철 수준의 버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최고급형 BRT를 의미함- 급행기준 평균 운행속도 35km/h(일반 25km/h), 운행 스케줄 기준 출·도착이 2분 이내 가능한 정시성 확보, 이용객 편의성 등을 목표 서비스 수준으로 정하고 있음- 기존에 안정적으로 구축된 C-ITS와 같은 첨단 도로 인프라와 연계하여, 실시간 차량운행정보, 신호체계 연동정보, 정차대 점유 여부를 파악하고,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 중인 교통정보센터와 연계, S-BRT 시스템 통합운영관리를 통해 신속성, 정시성 및 승객 편리성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 S-BRT 도입 목표에 부합하는 운영 효율화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며, S-BRT 운영 및 모델 정립을 통한 관계 부처, 기관 등 역할 및 협업 체계에 대한 거버넌스 가이드라인, 관련 기술, 구체적인 시설 및 안전 설계 기준 등 마련이 필요함- S-BRT 운영으로 시민에게 편리한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S-BRT 운영 모델 제시와 안전성 확보 기술 개발 필요함
|
최종목표 |
편리하고 빠른 지하철 수준의 버스 서비스 제공을 위한 Super BRT의 정시성, 신속성, 쾌적성, 안전성 향상 기술 개발 및 실증운영* 실증운영: 일반 BRT 혼용 구간 2Km 이상, 정류장 3개소 이상, S-BRT 우선신호 적용된 교차로 또는 횡단보도 5개 이상 (4지 교차로 2개 이상), BRT 차량 2대 이상 (선정된 실증대상 지자체 협약에 따라 변경)* 기타 운영환경 ‘고급 간선급행버스체계(S-BRT) 표준가이드라인’ 권고안 만족① S-BRT 우선신호 제어기술 및 통합신호 운영전략 개발 - S-BRT 정시성, 신속성 확보를 위한 우선신호 제어기술 개발 - S-BRT 정시성, 신속성 확보를 위한 C-ITS 연계 우선신호 운영을 위한 현장시스템 기술 개발 - S-BRT 우선신호 운영을 위한 통합신호 운영전략 수립② S-BRT 운영 지원 기술 개발 - S-BRT 정시성, 신속성 제고를 위한 운영 기술 개발 - S-BRT 차량 안전성 제고를 위한 운영지원 기술 개발③ S-BRT 인프라 설계 기술 개발 - S-BRT 인프라 안전시설 설계 기준(안) 개발 - S-BRT 차로 및 정류장 설계 기준(안) 개발④ S-BRT 실증운영 및 평가 - 지속가능한 S-BRT 운영을 위한 운영센터 기술 개발 - S-BRT 실증운영 및 평가
|
연구내용 및 범위 |
□ S-BRT 우선 신호기술 및 통합운영전략 개발 1) S-BRT 정시성, 신속성 확보를 위한 C-ITS 연계 우선신호 운영 등 기술개발- S-BRT 우선신호 운영 관리를 위한 통합정보수집 및 시스템 설계 기술 - S-BRT 우선신호 구현을 위한 현시체계 및 교차로 신호운영 최적화 기술- C-ITS와 연계한 S-BRT 차량 운영·제어/서비스 인터페이스 설계 및 장치 기술 개발 - S-BRT 운영과 연계한 신호, 규격(통신망포함) 등 검토 및 개정(안) 마련2) S-BRT 신호 및 교통정보 통합 운영 전략 수립- 전용구간(S-BRT 전용구간), 혼용구간(S-BRT+BRT 구간), 일반구간 (S-BRT와 일반 교통류 혼용구간)의 신호 및 교통정보 운영전략 수립 - 노선 교통정보수집 및 제공, 신호·운행관리체계, C-ITS연계, 서비스 시스템간 데이터 및 정보교환 체계 등 정립 □ S-BRT 운영 지원 기술 개발 1) S-BRT 정시성, 신속성 제고를 위한 운영 기술 개발- S-BRT 정시성 확보를 위한 적정용량 산정 및 배차간격 제어 기술 - 효율적인 정보제공, 정차대 실시간 배정 등 S-BRT 정차 운영 기술- S-BRT 정시성 확보를 위한 요금징수 적용 방안 연구 2) S-BRT 차량 안전성 제고를 위한 운영지원 기술 개발 - S-BRT 운전자 주행 기술 및 사고 저감 지원 기술- S-BRT 차내 승객 및 승하차 승객 안전 지원 기술- 대용량 승객 수송 차량 설계/개조 기술□ S-BRT 인프라 설계 기술 개발 1) S-BRT 인프라 안전시설 설계 기준(안) 개발 - 일반 차로와 버스전용차로(주행구간), 일반 BRT와 S-BRT 분리(정류장 내 추월구간)를 위한 방호시설 설계 및 시작품 제작 - S-BRT 횡단 보행자 안전시설 설계 및 시작품 제작 - 실차량 중량과 주행속도를 고려한 안전시설물 시뮬레이션 분석 - S-BRT 안전시설 기준(안) 개살2) S-BRT 차로 및 정류장 설계 기준(안) 개발 S-BRT 평면선형 및 횡단선형 전용차로 설계 요소 도출- S-BRT 우선신호를 고려한 S-BRT 교차로 설계 요소 도출 - S-BRT 정차대 처리 용량 증대 및 환승 운영(지상, 지하) 방식을 고려한 정류장 용량 분석 방법론 및 정류장 설계 요소 도출- 안전성, 쾌적성, 편의성 및 운영 효율화를 위한 S-BRT 차로 설계기준 (안), 정류장 표준모델 (안) 개발 □ S-BRT 실증운영 및 평가 1) 지속가능한 S-BRT 운영을 위한 운영센터 기술 개발- 실시간 정보제공 기능을 갖춘 S-BRT 관제 센터 설계 및 운영 기술- 신호, 운영관리 등 전문인력 확보 및 운영 매뉴얼을 포함한 통합 운영 시스템(센터) 연계- 실증운영을 통한 운영센터 고도화 방안 도출2) S-BRT 실증운영 및 평가 - S-BRT 실증운영을 위한 관련 기관 역할 제시 및 협의체 구성- S-BRT 실증운영 효과평가 (경제성 분석 포함) 및 개선- 교통 시뮬레이션 기반 S-BRT 운영 시나리오 - S-BRT 운영 효과 평가 지표 개발 (정시성, 신속성, 쾌적성, 안전성 등을 고려한 MOE 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