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IoT 기반 건설현장 미세먼지 예측?관리 통합 플랫폼 개발2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국토교통기술촉진연구사업 과제번호 20CTAP-C152276-02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건설 교통 | 시설물 설계 해석기술 | 설계 정보화기술 적용분야 건설업
2순위 건설 교통 | 건설시공 재료 | 생애주기가치평가 실용화대상여부 비실용화
3순위 None | None | None 과제유형 응용
과제명 IoT 기반 건설현장 미세먼지 예측?관리 통합 플랫폼 개발
주관연구기관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태성호
소속 한양대학교안산캠퍼스 직위 교수
전화번호 02-2220-0114 FAX 031-436-8146
총 연구기간 2019-04-19 ~ 2021-12-31
당해연도 연구기간 2020-01-01 ~ 2020-12-31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2차년도 130,000,000 4,350,000 39,150,000 43,500,000 173,50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 건설공사 현장에서 발생하는 비산먼지의 발생량은 23,472톤으로, 전체 PM10의 발생비율에서 20%를 차지함. 이와 같은 주요배출 산업인 건설산업을 대상으로 정부에서는 미세먼지 집중 저감을 실시하고 있으나, 건설현장 미세먼지 관리는 정량적 측정단속규제 없이, 단편적인 현장관리 수준으
로 국한되어 현장관리가 소홀한 상태임.

■ 미국 EPA 계산치 방법을 통한 건설현장 예측기법이 존재하나, 건설현장 계측치와의 오차가 크며 즉각적으로 건설현장 미세먼지가 다량 발생하였을 때, 이를 대응 할 수 있는 건설현장 미세먼지 평가기법 및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은 부재한 실정임.

■ 본 연구는 건설현장 유형별 현장 측정을 통한 미세먼지 평가기술과 건설현장의 미세먼지 노출에 따른 미세먼지 계측 모듈 및 계측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건설현장에 걸친 미세먼지를 평가 및 관리가 가능한 IoT 기반 건설현장 미세먼지 예측?관리 통합 플랫폼을 개발하는 연구임.
최종목표 본 연구개발은 건설현장 유형별 현장 측정을 통한 미세먼지 평가기술과 건설현장의 미세먼지 노출에 따른 미세먼지 계측 모듈 및 계측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건설현장 미세먼지를 평가 및 관리가 가능한 IoT 기반 건설현장 미세먼지 예측? 관리 통합 플랫폼 개발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의 연구목표에 대한 주요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공사유형별 미세먼지 배출계수 및 저감관리 가이드라인 개발
건설현장 미세먼지 배출량 계측을 통한 공사유형별 미세먼지 배출계수 개발과 건
설현장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연구를 수행함.
① 건설현장 유형별 미세먼지 배출계수 개발
② 건설현장 미세먼지 오염원 분류표 작성
③ 건설현장 미세먼지 저감관리 가이드라인 개발
2) IoT 기반 건설현장 미세먼지 계측 기술 개발
건설현장 미세먼지 모니터링을 위해 PM10 및 PM2.5 계측이 가능한 IoT 기반 미
세먼지 모니터링 계측 기기 개발 연구를 수행함.
① PM10, PM2.5 및 미세먼지 2차 발생원 모니터링 계측 모듈 개발
② IoT 기반 건설현장 미세먼지 모니터링 계측 기기 개발
③ 미세먼지 측정 사업업역 중장기 활성화 체계
3) 건설현장 미세먼지 IoT 통합 플랫폼 개발
건설현장 미세먼지 측정 통합관리 시스템 개발 및 건설현장 관련 미세먼지 관리
제도개선 연구를 수행함.
① IoT 센서 적용 미세먼지 모니터링 플랫폼 구축
② 건설현장 미세먼지 IoT 통합 플랫폼 구축
③ 건설현장 미세먼지 측정 및 통합관리 시범사업 수행
연구내용 및 범위 본 연구개발 과제는 IoT 기반 건설현장 미세먼지 예측?관리 평가 및 관리 기술에 관한 사회이슈 해결형 연구로서, 미세먼지 분석대상을 비산먼지와 비산먼지(PM10)를 보다 위해성이 높은 초미세먼지(PM2.5) 및 미세먼지 2차 발생원(SOx, NOx)으로 확장하며, 건설현장 미세먼지 평가기술 및 계측기술을 통합한 예측?관리 통합 플렛폼 개발과 이를 통한 시범사업 적용 및 사업화 모델 개발을 연구개발 범위로 함.

■ 공사유형별 미세먼지 배출계수 및 저감관리 가이드라인 개발
건설현장 미세먼지 배출량 계측을 통한 공사유형별 미세먼지 배출계수 개발
과 건설현장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연구를 수행함.
① 건설현장 유형별 미세먼지 배출계수 개발
② 건설현장 미세먼지 오염원 분류표 작성
③ 건설현장 미세먼지 저감관리 가이드라인 개발

■ IoT 기반 건설현장 미세먼지 계측 기술 개발
건설현장 미세먼지 모니터링을 위해 PM10 및 PM2.5 계측이 가능한 IoT 기반
미세먼지 모니터링 계측 기기 개발 연구를 수행함.
① PM10, PM2.5 및 미세먼지 2차 발생원 모니터링 계측 모듈 개발
② IoT 기반 건설현장 미세먼지 모니터링 계측 기기 개발
③ 미세먼지 측정 사업업역 중장기 활성화 체계

■ 건설현장 미세먼지 IoT 통합 플랫폼 개발
건설현장 미세먼지 측정 통합관리 시스템 개발 및 건설현장 관련 미세먼지
관리 제도개선 연구를 수행함.
① IoT 센서 적용 미세먼지 모니터링 플랫폼 구축
② 건설현장 미세먼지 IoT 통합 플랫폼 구축
③ 건설현장 미세먼지 측정 및 통합관리 시범사업 수행

본 연구는 최종 목표인 공사유형 별 미세먼지 배출계수 및 IoT 기반 미세먼지 계측기술 기반의 건설현장 미세먼지 IoT 통합 플랫폼 개발을 위해 연차별 연구개발 목표를
[1차년도] 건설현장 미세먼지 예측 및 관리 기술 정립
■ 공사유형별 미세먼지 배출 특성 조사를 위한 기존문헌 고찰
■ 공사유형별 미세먼지 배출 특성 조사를 위한 현장 측정
■ 설계 단계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체크리스트 개발
■ 미세먼지 측정 계측평가 방법 분석
■ 미세먼지 발생원 계측 모듈 개발
■ 미세먼지 관리사업 모델 수립 및 요소 분석
■ 미세먼지 관리 평가 플랫폼 개발

[2차년도] 건설현장 미세먼지 예측 및 관리 기술 개발 및 성능평가
■ 건설현장 미세먼지 배출계수 분석
■ 공사유형별 미세먼지 배출 특성 조사를 위한 현장 측정
■ 시공 단계 미세먼지저감을 위한 가이드 개발
■ IoT 기반 건설현장 미세먼지 모니터링 계측 기기 개발
■ 사업화를 위한 시장여건 분석 및 사업화전략 수립
■ 건설현장 미세먼지 IoT 통합 플랫폼 개발

[3차년도] 건설현장 미세먼지 예측 및 관리 기술 검증 및 현장적용로 수립하고 각 세부과제별로 주요 연구내용을 구성함.
■ 건설현장 미세먼지 배출계수 개발
■ 건설현장 미세먼지 오염원 분류표 작성
■ 건설현장에서의 미세먼지 관리 기술개발
■ IoT 기반 건설현장 미세먼지 모니터링 계측 기기 현장적용 검증
■ 사업화를 위한 시장여건 분석 및 사업화전략 수립
■ 건설현장 미세먼지 측정 및 통합관리 시범사업
■ 건설현장 미세먼지 IoT 통합 플랫폼 사용자 매뉴얼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2차년도 ■ 본 연구과제의 2차년도 개발 목표는 본 연구과제의 최종 목표인 “건설현장 미세먼지 예측 및 관리 기술 개발” 개발을 위한 “건설현장 미세먼지 예측 및 관리 기술 개발 및 성능평가” 연구이며, 연구과제 수행을 통해 기술개발 성숙도를 TRL 5단계에서 7단계 수준까지 향상시킬 예정임.
■ 세부 연구목표 :
- 공사유형별 미세먼지 배출계수 및 가이드라인 개발
- IoT 기반 건설현장 미세먼지 계측 기술 개발
- 건설현장 미세먼지 IoT 통합 플랫폼 개발
■ 공사유형별 미세먼지 배출 특성 조사를 위한 현장 측정
- 공사유형별 미세먼지 발생원 측정
? 건설현장 발생원 미세먼지 배출농도 측정
? 건설기계장비 미세먼지 배출계수 분석
■ 건설현장 미세먼지 배출농도 측량 분석
- 건설현장 미세먼지 배출농도 측량 분석
? 건설현장 미세먼지 배출농도 특성 분석
? 건설현장 미세먼지 배출농도 발생원별 분석
? 건설현장 미세먼지 배출농도 주변 대기환경 분석
■ 시공 단계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가이드 개발
- 공사현장 미세먼지 예측 및 평가를 위한 기준 개발
? 공사특성 및 규모별 분진 및 미세먼지 관리를 위한 절차 제안
- 공사현장 분진 및 미세먼지 저감 가이드(안) 개발
? 관리 일정 및 주기, 관리대상, 수준별 대응방안 등 검토
■ IoT 기반 건설현장 미세먼지 모니터링 계측 기기 개발
- IOT 센서 모듈 개발 (센서부 + 마이컴부 + 통신부)
? 센서부 : 온습도/미세먼지/CO2 기타 환경센서를 계측하여
? 마이컴부 : 센서에서 측정된 값을 메모리 및 연산
? 통신부 : 외부와 연결할수 있도록 Serial Communication UART
- IoT 멀티센서 통합플랫폼 개발 지원
? 무선게이트웨이 설계 및 IoT 통합플랫폼 연계방안 구축
? Web&APP 소프트웨어 개발
■ 사업화를 위한 시장여건 분석 및 사업화전략 수립
- 사업을 위한 기술 및 인력 보유 수준 검토
? 평가방법론, 현장측정기술 및 장비, 전문 인력의 수준에 대한 검토
?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범위, 절차 및 수준 등에 대한 여건 분석
- 기존 서비스와 연계방안 및 사업다각화 전략 수립
? 환경영향평가 등 기존 사업 병행 전략의 타당성 검토
■ 건설현장 미세먼지 IoT 통합 플랫폼 개발
- 클라우드 기반 미세먼지 통합관리 Platform 구성
? 건설 현장별 적용에 따른 각 지점별 소형 Gateway Device의 Network 구성
? 실시간으로 지점 환경, 설비 데이터 EMS 웹서버 전송
- 미세먼지 관리 평가 플랫폼 미들웨어 개발
? IoT 기반 미세먼지 관리 평가 플렛폼 미들웨어 개발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 공사 유형별 건설현장 측정을 통한 한국형 미세먼지 배출계수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국외 배출계수에 의한 미세먼지 배출량 계산보다 정량적 미세먼지 평가 가능
■ 설계초기단계부터 건설현장의 설계안에 대한 미세먼지 발생량 용이하게 평가하고 이에 대한 관리가 가능함에따라 달성 가능성이 높은 미세먼지 저감방안 모색과 대안설계 가능
■ 건축 전반에 대한 미세먼지 등 환경성평가 및 녹색건축 인증 지원 컨설팅을 기술자립과 기술이전 저변확대 및 관련 산업 육성 추진가능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 건설현장 초기단계에서 이해관계자간의 지속가능성 목표 수립과 의사결정 지원을 통해 경제적으로 합리적인 공동주택의 계획과 설계 유도 가능
■ 턴키 및 재건축의 입찰 또는 사업초기단계에서 미세먼지 평가기술을 활용한 지속가능성의 사전평가를 통해 사업수주의 전략적 역량 강화 가능
■ 건축자재 및 건축설비의 단위당 미세먼지 발생량 예측 및 저감 관리 기술 개발에 따라 건설 산업 전반의 미세먼지 발생량 저감 유도 가능
■ 건설현장 미세먼지 예측이 가능함에 따라 건축사업 초기단계에서 국가 미세먼지 저감 목표 및 정책 방향에 부합하는 미세먼지 저감관리 가능.
■ 한국형 미세먼지 영향평가 방법론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건설현장 전생애 관점에서의 미세먼지 저감 매뉴얼 및 관련 사업화 모델 개발함으로써 미세먼지 저감형 평가 관련 정책 개발과 운영과정의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
활용방안 [활용계획] 건설현장의 미세먼지를 저감관리하기 위해 정량적인 예측평가기법을 구축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예측평가기법 및 건설현장에서의 미세먼지
저감 가이드라인을 통하여 미세먼지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시설의 설치 및 필요한 조치에 관한 기준반영에 효과적으로 활용.
[기대효과] 건물 및 공사의 전과정에서 미세먼지 예측평가 원천기술 확보 및 건설현장 미세먼지 관리 대응 및 측정 사업 모델 체계화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미세먼지 건설현장 IoT 통합 플랫폼 예측관리
영문 Particulate matter Construction project Internet of things Integrated platform Assessment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서식1] 최종보고서_본보고서.pdf   다운로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