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개발개요 |
○ (소규모 건축물 품질확보방안) 소규모 건축물에서 발생하는 하자 DB 구축 및 개선안 도출○ (국내기후 최적 외피 구성) 조별 국내 기후 적합 벽체 구성(안) 도출○ (설계기준 및 설계상세도) 소규모 건축물 전체 부위를 대상으로 한 설계기준, 상세도, 해설서 개발○ (시공기준 및 시공예시도) 현장 실무자를 위한 기공기준 해설서 및 부위별 시공예시도 개발○ (리모델링 기준 및 설계상세도) 노후 건축물의 리모델링 단계별/ 부위별 설계기준, 상세도, 해설서 개발○ (WEB 기반의 노후건축물 성능분석 서비스) 노후 소규모 건축물의 에너지진단 및 리모델링 의사결정 지원프로그램 개발○ (건축물 가치평가 프로세스) 고효율/고품질/저에너지 등 건축물 성능/품질에 따른 가치평가 프로세스 및 인증제도 개선(안) 도출○ (소규모 건축물 설계 지원 도구) 소규모 건축물 에너지 평가 및 설비 설계지원 프로그램 개발○ (통합 설비시스템) 히트펌프 기반의 냉/난방, 급탕, 제습, 환기 통합설비시스템 설계 및 시작품 제작○ (데시칸드 제습환기장치) 하절기 제습부하 절감이 가능한 데시칸트 기술적용 환기장치 개발○ (설비 통합시스템) Plug-In 방식의 설비시스템 통합 및 ICT를 활용한 최적제어 기술○ (연구개발성과의 실증) 신축/리모델링 건축물의 소비에너지 최적화 실증 및 운영
|
최종목표 |
○ 본 연구는 국내 건축물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나 제도적으로 사각지대에 놓여 있고, 기술과 자본의 부족으로 그 품질확보가 어려운 국내 소규모건축과 관련하여, 신축건축물 및 노후건축물을 대상으로 설계, 시공, 설비, 자재, 제도 등 근본적인 기술에 대하여 현황을 분석하고, 시장밀착형 기술개발을 통해 지속가능한 소규모 건축물의 품질을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소규모 건축물 실무자(설계/시공/설비/리모델링)를 위한 설계지원도구와 노후건축물 리모델링의 단계별(단열/기밀/창호/설비 등) 의사결정 지원 도구를 개발하여, 성능기반의 신축/리모델링 시장을 개척하는 것을 목표로 함 ○ 소규모 건축물 시장의 체질 개선을 위한 제도적인 개선방안을 도출하고, 고품질/고효율, 저에너지 건축물의 가치평가 시장의 개설을 위한 평가 프로세스와 방법론을 개발함 ○ 소규모 건축물 내 시스템에어컨, 보일러, 환기장치 등 개별적으로 설치되고 있는 기존 설비 방식의 운용 효율 개선 및 에너지 절감을 위해 하나로 통합된 히트펌프 기반의 냉?난방, 급탕, 제습, 환기 통합설비시스템을 개발함○ 건축, 설비 분야의 기술기준 개발과 더불어 열원이 모두 분리되어 있는 소규모 건축물 제습환기 통합설비를 구축함과 동시에 국내기후 최적화/ 개별 설비의 통합제어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소규모 건축물 에너지 소비를 최적화 하고자 함○ 본 연구는 소규모 건축물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를 아우르며, 하자발생을 억제하고 에너지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한 설계, 시공, 설비 기술 성과물을 개발하고 실증을 연계하여 검증, 보완 과정을 거치며, 이때 파생되는 모든 정보는 WEB 게시, 보급서, KS부합화, 제도연계 등을 통한 시장안착을 목표로 함
|
연구내용 및 범위 |
○ 소규모 건축물 품질확보 방안 도출(하자개선방안) - 소규모 하자사례 수집 및 원인분석○ 국내기후 최적 외피 구성(안) 도출 - 열습기거동 시뮬레이션을 위한 국내 기후데이터 분석 및 Hygrothermic 기상데이터 작성 - 국내 기후 최적외피 평가를 위한 대한민국 실내환경모델 개발 - 외피의 습기하자 발생 위험도에 따른 지역별 등급 도출 ○ 소규모 건축물 국내 자재 물성 측정 및 DB 구축 - 소규모 건축물 건축자재 수집 및 물성 시험방안 마련 - 종별 해외시험기준 조사 및 물성측정 (외장재, 내장재, 방수, 도장 등 8종, 총 100종 내외) - KS 대체 여부 검토 및 부합화 (기본물성, 열, 습열 물성)○ 해외 설계/ 시공 기준 항목별 조사 및 분석- 일반사항, 방재, 방화, 기초, 외피, 마감, 건물에너지, 신재생에너지 해외 설계기준 조사 및 분석 - 해외 설계기준 분석을 통한 소규모 건축물 설계기준의 방향 설정○ 국내 기후를 고려한 설계기준 적합성 분석 - 일반사항, 방재, 방화, 기초, 외피, 마감, 건물에너지, 신재생에너지 등○ 소규모 건축물 설계/ 시공 가이드라인 작성 및 실증 - 소규모 건축물 실무자를 위한 가이드라인 작성 (도해/ 상세도 기반, 신축 실증 건축물 2채)○ 기존 소규모 노후 건축물 실측 및 분류 항목별 DB 구축 ○ 소규모 노후 건축물 리모델링 공법별 성능개선 방안 도출 및 설계/ 시공 가이드라인 작성 - 국내외 리모델링 정책체계, 기술수준, 리모델링 전/ 후 성능 분석 - 건축유형, 기후대, 공법별 리모델링 표준 건물 구축○ 건축물 리모델링 주요 부위 및 기술 체계 정립 ○ WEB 기반 소규모 건축물 성능 진단 및 리모델링 의사결정 지원프로그램 개발○ 국내외 소규모 건축물 리모델링 사례 및 기준분석○ 소규모 건축물 인증제도 구축 및 제도 확산 방안 도출 - 신축/리모델링 관련 각종 인증제도와 소규모 건축물 적용 가능한 항목 도출 - 저에너지, 고효율, 고품질 등 특수건축물의 부동산 가치반영을 위한 이론적 개념 정립○ 국내, 외 건축물 성능 관련 주요 제도 및 부동산 가치와 연계한 연구사례 조사○ 국내 부하계산 프로그램 조사, 부하계산용 항목 도출 및 환경조건(용도프로필/기후) 작성 - 국내에서 제작/사용되고 있는 부하계산 프로그램(RTS-SAREK)을 조사하고 부하계산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내용 분석 - 건축물에너지절약설계기준, ISO 52016, DIN V 18599 등 검토○ 냉?난방, 급탕, 제습, 환기 통합설비의 요구성능분석 및 통합설비적용방안 마련 - 열환경, 습기환경, 공기환경(미세먼지) 적정조건 검토 및 복사냉난방, 급탕, 환기 적용조건 및 요구성능 분석 - 히트펌프의 통합설비 요구성능 도출 및 국외 설비의 국내 적용 문제점 분석: 설계기초자료확보○ 소규모 건축물 적용 통합설비 제어 및 설계 기준 제시○ 히트펌프 기반 Plug-in 적용 가능 용도별 모듈 분석, 시스템 설계 및 제작 - 냉난방/급탕/환기/제습 모듈 조사 및 모듈 최적 조합 선정 (보일러, GHP, GSHP, 환기 등) - 기존 설비시스템 대비 COP 개선 지수 분석○ 소규모 건축물을 위한 데시칸트 제습형 환기장치, Plug-In 설비 통합시스템 설계 및 제작 - 하절기 제습부하 절감을 위한 데시칸트 제습 모듈이 적용된 환기장치 개발 - 시스템에어컨, 보일러, 제습환기장치, 신재생에너지, 기타설비 등 개별 설비시스템 통합 최적화 - 기상상태에 따른 잠열부하특성 분석 및 시스템 운용 방안도출 ○ 통합 설비의 실증을 통한 최적화 - 모니터링 결과를 기반으로 한 모듈별 최적 구동 방안 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