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국토교통분야 해외의존 핵심 품목 국내자립을 위한 기술 개발 기획1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국토교통연구기획사업 과제번호 21RDPP-C165385-01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건설 교통 | 달리 분류되지 않는 건설/교통 | 달리 분류되지 않는 건설/교통 적용분야 교통/정보통신/기타 기반시설
2순위 None | None | None 실용화대상여부 비실용화
3순위 None | None | None 과제유형 개발
과제명 국토교통분야 해외의존 핵심 품목 국내자립을 위한 기술 개발 기획
주관연구기관 사단법인 한국지식서비스연구원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한민우
소속 사단법인 한국지식서비스연구원 직위 원장
전화번호 031-347-7957 FAX 031-347-7969
총 연구기간 2021-09-01 ~ 2022-09-14
당해연도 연구기간 2021-09-15 ~ 2022-09-14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1차년도 200,000,000 0 0 0 200,00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 (품목·기술선정) 기 도출된 국토교통 8대 분야 49개 핵심 대외의존 품목·기술에 대한 단계별 추진방안 및 전략 수립
ㅇ 기 도출된 49개 핵심 대외의존 품목·기술에 대해 상세한 분석에 근거한 투자 우선순위 설정 및 단계별 로드맵 수립
- 연구개발투자우선순위 설정 시 투자 필요 품목·기술과 투자 불필요 품목·기술을 구분하고 연구개발투자 필요 품목·기술에 대해서는 우선순위 및 연구개발투자 전략 제시
□ (상세기획) 우선순위가 설정된 품목·기술에 대해 국산화를 위한 상세 기술개발 기획 수행
ㅇ 품목·기술별 기술자립 요구도 및 목표수준을 설정하고 설정된 목표달성을 위한 세부기술개발 계획 수립
ㅇ 수입대체효과, 일자리 창출효과 등 동 품목·기술에 대한 연구개발투자를 통해 발생하는 파급효과 등 경제성 분석 수행
최종목표 □ (최종목표) 본 기획연구는 국토교통분야 해외의존 핵심 품목 국내자립을 위한 기술개발 기획사업으로 해외의존 기술·품목을 대상으로 투자 우선순위분석을 통한 핵심 기술·품목을 도출하여 국내자립화 전략 수립 및 해외시장 진출 전략 도출을 목표로 추진

□ (사업대상) 국토교통분야 해외기술 의존현황 조사결과*를 기반으로 기술 확보가 시급한 품목·기술을 선별하여 상세기술개발 기획
* 국토교통분야 해외기술 의존현황 조사분석 및 대응전략,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KAIA), 2021
ㅇ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국토교통 8대 분야 49개 핵심 대외의존 품목·기술을 대상으로 핵심기술·품목 5~10개를 선정하여 상세기획 추진
연구내용 및 범위 □ (품목·기술선정) 기 도출된 국토교통 8대 분야 49개 핵심 해외의존 품목·기술에 대한 투자 우선순위분석을 통한 핵심 해외의존 품목·기술을 도출하고 그에 따른
단계별 추진방안 및 전략 수립
ㅇ 기 도출된 49개 핵심 해외의존 품목·기술에 대해 동향분석, 전문가 인터뷰, 기술수요조사 등 상세 분석에 근거한 투자 우선순위 도출 및 단계별 로드맵 수립
- 연구개발투자우선순위 설정 시 투자 필요 품목·기술과 투자 불필요 품목·기술을 구분하고 연구개발 투자 필요 품목·기술에 대해서는 우선순위 및 연구개발투자
전략 제시
ㅇ 국토교통 분야 해외의존에 대한 개념 및 범위, 대상을 정량·정성적으로 분석하여 설정
ㅇ 국내외 대내외 동향분석(정책, 기술, 산업, 시장)을 통해 해외 의존기술을 도출 및 분류
ㅇ 글로벌 가치사슬, 기술수준 및 경쟁력, 국내외 특허분석 등을 통해 R&D 측면에서 편익 및 파급효과가 큰 핵심기술 도출

□ (동향분석) 기존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국토교통 8대 분야 49개 중 핵심 대외의존 품목·기술에 대한 동향 및 전망분석
ㅇ 주요국 업종별 산업 현황, 통계자료, 문헌자료 등을 분석하여 국토교통분야에 대한 정책, 기술, 산업, 시장 등의 동향분석을 통한 품목·기술별 방향성 제시
- (정책 동향) 해외의존 품목·기술에 대한 정책동향 분석을 통해 사업추진 방향성 도출
- (산업/시장 동향) 국내외 시장규모 및 시장 전망분석, 국내외 산업체 현황 분석을 통한 국내 산업위상 정립
- (기술 동향) 해외의존 품목·기술에 대한 기술개발 동향분석을 통해 사업추진 방향성 도출
- (특허 동향) 주요 선진국의 논문분석을 통한 신기술개발 트렌드 분석 및 관련 기술에 대한 특허분석을 실시하여 시사점 및 핵심기술 도출

□ (상세기획) 우선순위가 설정된 품목·기술에 대한 국산화를 추진하기 위해 상세기술개발 기획 수행
ㅇ 핵심 기술·품목을 대상으로 국내자립화를 위한 기술개발 기획을 기반으로 비전과 목표 및 세부과제 목표 달성을 위한 추진전략 제시
ㅇ 품목·기술별 기술자립 요구도 및 목표수준을 설정하고 설정된 목표달성을 위한 세부기술개발 계획 수립
ㅇ 의존도가 심각한 품목 및 서비스 등에 대해 핵심기술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각 유형에 따른 기술자립화를 위한 전략목표 및 핵심과제 도출
ㅇ 국내자립화 및 해외시장진출에 부합하는 국토교통분야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술수준제고 및 활용방안 등 성과창출을 극대화하기 위한 핵심품목별 목표설정

□ (사전타당성) 본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사전타당성 검증 추진
ㅇ 수입대체효과, 일자리 창출 효과 등 품목·기술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를 통해 발생하는 파급효과 등 사전 타당성(정책적, 기술적, 경제성) 분석 및 기대효과 분석
수행
- (정책적 타당성) 국가정책 관점에서 다루는 분석 항목 및 계량화의 제약으로 인해 경제적 타당성 분석으로 수행할 수 없는 측면의 타당성 분석 수행
- (기술적 타당성) 일반적인 연구개발사업에 적용되는 기본평가항목과 필요에 따라 사업 특수성을 반영하여 적용하는 특수평가항목을 고려한 타당성 분석 수행
- (경제적 타당성) 동 사업의을 통해 최종 성과물이 국민경제 전체에 예상되는 편익과 비용을 추정한 비용편익분석(Cost-benifit Analysis) 추진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1차년도 ㅇ 국토교통분야 해외기술 의존현황 조사결과*를 기반으로 기술 확보가 시급한 품목·기술을 선별하여 상세 기술개발 기획
-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국토교통 8대 분야 49개 핵심 대외의존 품목·기술을 대상으로 상세기획
* 해외기술 의존현황 및 대응전략 수립('20.7~'21.7,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참조
□ (품목·기술선정) 기 도출된 국토교통 8대 분야 49개 핵심 해외의존 품목·기술에 대한 투자 우선순위분석을 통한 핵심 해외의존 품목·기술을 도출하고 그에 따른
단계별 추진방안 및 전략 수립
ㅇ 기 도출된 49개 핵심 해외의존 품목·기술에 대해 동향분석, 전문가 인터뷰, 기술수요조사 등 상세 분석에 근거한 투자 우선순위 도출 및 단계별 로드맵 수립
- 연구개발투자우선순위 설정 시 투자 필요 품목·기술과 투자 불필요 품목·기술을 구분하고 연구개발 투자 필요 품목·기술에 대해서는 우선순위 및 연구개발투자
전략 제시
ㅇ 국토교통 분야 해외의존에 대한 개념 및 범위, 대상을 정량·정성적으로 분석하여 설정
ㅇ 국내외 대내외 동향분석(정책, 기술, 산업, 시장)을 통해 해외 의존기술을 도출 및 분류
ㅇ 글로벌 가치사슬, 기술수준 및 경쟁력, 국내외 특허분석 등을 통해 R&D 측면에서 편익 및 파급효과가 큰 핵심기술 도출

□ (동향분석) 기존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국토교통 8대 분야 49개 중 핵심 대외의존 품목·기술에 대한 동향 및 전망분석
ㅇ 주요국 업종별 산업 현황, 통계자료, 문헌자료 등을 분석하여 국토교통분야에 대한 정책, 기술, 산업, 시장 등의 동향분석을 통한 품목·기술별 방향성 제시
- (정책 동향) 해외의존 품목·기술에 대한 정책동향 분석을 통해 사업추진 방향성 도출
- (산업/시장 동향) 국내외 시장규모 및 시장 전망분석, 국내외 산업체 현황 분석을 통한 국내 산업위상 정립
- (기술 동향) 해외의존 품목·기술에 대한 기술개발 동향분석을 통해 사업추진 방향성 도출
- (특허 동향) 주요 선진국의 논문분석을 통한 신기술개발 트렌드 분석 및 관련 기술에 대한 특허분석을 실시하여 시사점 및 핵심기술 도출

□ (상세기획) 우선순위가 설정된 품목·기술에 대한 국산화를 추진하기 위해 상세기술개발 기획 수행
ㅇ 핵심 기술·품목을 대상으로 국내자립화를 위한 기술개발 기획을 기반으로 비전과 목표 및 세부과제 목표 달성을 위한 추진전략 제시
ㅇ 품목·기술별 기술자립 요구도 및 목표수준을 설정하고 설정된 목표달성을 위한 세부기술개발 계획 수립
ㅇ 의존도가 심각한 품목 및 서비스 등에 대해 핵심기술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각 유형에 따른 기술자립화를 위한 전략목표 및 핵심과제 도출
ㅇ 국내자립화 및 해외시장진출에 부합하는 국토교통분야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술수준제고 및 활용방안 등 성과창출을 극대화하기 위한 핵심품목별 목표설정

□ (사전타당성) 본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사전타당성 검증 추진
ㅇ 수입대체효과, 일자리 창출 효과 등 품목·기술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를 통해 발생하는 파급효과 등 사전 타당성(정책적, 기술적, 경제성) 분석 및 기대효과 분석
수행
- (정책적 타당성) 국가정책 관점에서 다루는 분석 항목 및 계량화의 제약으로 인해 경제적 타당성 분석으로 수행할 수 없는 측면의 타당성 분석 수행
- (기술적 타당성) 일반적인 연구개발사업에 적용되는 기본평가항목과 필요에 따라 사업 특수성을 반영하여 적용하는 특수평가항목을 고려한 타당성 분석 수행
- (경제적 타당성) 동 사업의을 통해 최종 성과물이 국민경제 전체에 예상되는 편익과 비용을 추정한 비용편익분석(Cost-benifit Analysis) 추진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ㅇ 기술적 측면
- 해외국토교통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수준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가 가능
- 해외 기술협력 및 글로벌 R&D 네트워크 구축으로 선진기업 및 수요국 기술니즈에 부합한 전주기적 사업수행 역량 확보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ㅇ 경제적 측면
- 국내시장 한계 극복과 해외시장 수주·수익성 향상으로 국토교통 산업의 지속성장 달성 및 부가가치 창출, 국내 연관산업의 동반성장 파급효과 기대
ㅇ 사회적 측면
- 국내 국토교통 산업의 성장 한계를 극복하고 신성장 동력으로 발전을 위한 교투보 마련이 가능하며 그에 따른 고용창출 효과 기대 가능
ㅇ 정책적 측면
- 해외의존 기술·품목에 대한 국토교통 산업을 해외 시장으로 견인함으로써 국토교통 산업성장 전략 전환에 기여 가능
- 대·중소기업 해외시장 동반진출 생태계 조성 기여 및 기업역량강화 도모 가능
활용방안 ㅇ 국토교토 미래대응을 위한 R&D 중장기 전략 수립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
- 사업 추진시 예상되는 소요예산 추정치를 제시하여 안정된 예산의 효율적인 편성 가이드 가능
ㅇ 해외 실증대상 및 지역을 선정하고 승인을 확보하기 위해 정부지원 정책 활용
- 정부 네트워크를 통해 전략프로젝트별 현지 실증을 추진하여 Track Record를 확보하고 현지 사업 수행 경험을 축적하여 향후 사업 수주에 도움 가능
- 현지조건 뿐만 아니라 정부 지원정책, 투자환경, 해외업체와의 경쟁력, 인허가 규제사항, 운송, 현지협력 파트너 선정, 경제성 분석 등 실제 사업 수행을 위한
다양한 조건들을 고려하여 실증 대상 국가와 지역을 선정하여 추진 가능
ㅇ 부처의 국토교통 분야 해외시장 개척지원사업을 활용하여 신시장 개척 및 신규 프로젝트 발굴 추진 가능
- 해외국토교통 협회에 해외 유망프로젝트에 대한 사업모델 검토 및 타당성 조사, 현지수주 교섭, 발주처 초청 비용 지원 신청 가능
- 부처의 국토교통해외산업정보시스템 구축과 서비스 연동을 통한 신규 프로젝트 발굴 가능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국토교통 국내자립화 기술확보전략 성과창출 해외진출
영문 Land Transport Domestic independence Technology Acquisition Strategy Performance generation Overseas expansion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