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2030 에너지 환경 변화 대응 건축, 도시 에너지 최적화 기술 개발1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국토교통연구기획사업 과제번호 18RDPP-C150606-01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건설 교통 | 국토정책 계획 | 도시계획 적용분야 환경
2순위 건설 교통 | 건설 환경설비 기술 | 건축 도시환경 시스템 정보화기술 실용화대상여부 비실용화
3순위 건설 교통 | 국토공간개발기술 | 지능형 생태도시 과제유형 기초
과제명 2030 에너지 환경 변화 대응 건축, 도시 에너지 최적화 기술 개발
주관연구기관 호서대학교산학협력단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이건원
소속 호서대학교산학협력단 직위 조교수
전화번호 041-540-5721 FAX 041-540-5728
총 연구기간 2018-12-11 ~ 2019-08-10
당해연도 연구기간 2018-12-11 ~ 2019-08-10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1차년도 96,000,000 0 0 0 96,00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 2030 에너지 환경변화에 대응한 건물 및 도시 에너지의 최적화 기술개발 추진을 위한 비져닝, 핵심 연구분야 설정, 기술개발 계획 수립
- 에너지 환경 관련 글로벌 트렌드와 건물?도시관련 대내외 정책?시장?기술 동향 분석을 기반으로 미래 건물에너지관련 기술적 니즈를 파악
- 파악된 니즈를 바탕으로 후속기획이 필요한 기술개발 영역을 도출하고 기술개발사업의 전략적 지향점 설정
- 기술개발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전략, 최적 추진체계(안)을 마련
- 중점기술영역 및 과제 수준에서 기존 국토부 R&D사업과 연계된 기술개발로드맵을 수립
최종목표 2015년 산업통상자원부 외 관계부처가 발표한 '2030 에너지 신산업 확산 전략' 에서 언급하고 있는 2030 에너지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건물 및 도시 에너지의 최적화 기술 개발을 위한 사업 추진 타당성 검토 및 사업 추진체계 수립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first,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implementing the project which is to develop building/city energy optimization technology responding to the energy environment to be realized by 2030 and second, to establish an implementing system of the project.
연구내용 및 범위 연구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①건물/도시 에너지와 관련된 글로벌 트렌드 분석 및 2030 에너지 환경변화 분석을 통해 미래 건축물에너지 이슈를 도출하고자 함. 또한, 온실가스 감축 및 에너지 효율화를 위한 기술적 니즈 및 전략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함. ②미래 이슈와 니즈에 기반하여 연구 프로젝트의 목적, 개념, 범위를 설정하고자 함. ③이슈 해결 및 기술 실현을 통해 미래 건물에너지 시장의 모습을 제시하고자 함. ④프로젝트를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미래 비전을 제시하고, 중점분야를 설정하고, 목표를 제시하고 함. ⑤사업목표에 부합하는 추진방법, 연구개발 기간, 예산, 성과목표 관리체계 등을 제시하고 함. ⑥반드시 연구가 필요한 중점분야를 동향조사, 기술역량 분석, 기술요소 분석, 성능요구조건 분석, 기술난이도 분석, 파급효과 분석 등을 통해 도출하고자 함. 또한, 주요 기술별 기술성숙도(Technology Readiness Level)를 제시하고자 함. ⑦국내외 인력 및 연구 인프라 등의 역량을 분석하고, 기회·위협요인 분석, 투자우선 순위 설정, 관련 부처 간 역할분담 방법 등을 제시하고 함. ⑧중점분야 ? 핵심과제 ? 핵심기술 간 단계적 기술개발방향 및 단계별 성과 간 연계도(기술·성과지도)를 제시하고 함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goals, issues of future building energy will be derived by analyzing global trends related to building/city energy and through the analysis of 2030 energy environment change. In addition, technical needs and strategic alternatives for greenhouse gas reduction and energy efficiency will be proposed. Second, the purpose, concept, and scope of this research project will be set up based on future issues and needs. Third, a shape of the future building energy market will be suggested through solving issues and realizing technology. Fourth, the future vision to achieve through the project will be presented along with setting up the focus areas and presenting the goals. Fifth, implementing methods, a period of research and development, budget, and a performance target management system which are all in accordance with the project goal will be presented. Sixth, the key areas that need to be studied will be derived through trend research, technology capability analysis, technology factor analysis, performance requirement analysis, technical difficulty analysis, and ripple effect analysis. In addition, the Technology Readiness Level for each major technology will be presented. Seventh, the capability of domestic and foreign human resources and research infrastructure will be analyzed, and an analysis of opportunities and threats, a setting of investment priorities, and methods of sharing roles among related departments will be presented. Eighth, a direction of step-by-step technology development between the focus areas, core tasks, and core technology will be presented along with a map of technology and performance which shows a link between performances of different phases.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1차년도 2015년 산업통상자원부 외 관계부처가 발표한 '2030 에너지 신산업 확산 전략' 에서 언급하고 있는 2030 에너지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건물 및 도시 에너지의 최적화 기술 개발을 위한 사업 추진 타당성 검토 및 사업 추진체계 수립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first,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implementing the project which is to develop building/city energy optimization technology responding to the energy environment to be realized by 2030 and second, to establish an implementing system of the project.
연구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①건물/도시 에너지와 관련된 글로벌 트렌드 분석 및 2030 에너지 환경변화 분석을 통해 미래 건축물에너지 이슈를 도출하고자 함. 또한, 온실가스 감축 및 에너지 효율화를 위한 기술적 니즈 및 전략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함. ②미래 이슈와 니즈에 기반하여 연구 프로젝트의 목적, 개념, 범위를 설정하고자 함. ③이슈 해결 및 기술 실현을 통해 미래 건물에너지 시장의 모습을 제시하고자 함. ④프로젝트를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미래 비전을 제시하고, 중점분야를 설정하고, 목표를 제시하고 함. ⑤사업목표에 부합하는 추진방법, 연구개발 기간, 예산, 성과목표 관리체계 등을 제시하고 함. ⑥반드시 연구가 필요한 중점분야를 동향조사, 기술역량 분석, 기술요소 분석, 성능요구조건 분석, 기술난이도 분석, 파급효과 분석 등을 통해 도출하고자 함. 또한, 주요 기술별 기술성숙도(Technology Readiness Level)를 제시하고자 함. ⑦국내외 인력 및 연구 인프라 등의 역량을 분석하고, 기회·위협요인 분석, 투자우선 순위 설정, 관련 부처 간 역할분담 방법 등을 제시하고 함. ⑧중점분야 ? 핵심과제 ? 핵심기술 간 단계적 기술개발방향 및 단계별 성과 간 연계도(기술·성과지도)를 제시하고 함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goals, issues of future building energy will be derived by analyzing global trends related to building/city energy and through the analysis of 2030 energy environment change. In addition, technical needs and strategic alternatives for greenhouse gas reduction and energy efficiency will be proposed. Second, the purpose, concept, and scope of this research project will be set up based on future issues and needs. Third, a shape of the future building energy market will be suggested through solving issues and realizing technology. Fourth, the future vision to achieve through the project will be presented along with setting up the focus areas and presenting the goals. Fifth, implementing methods, a period of research and development, budget, and a performance target management system which are all in accordance with the project goal will be presented. Sixth, the key areas that need to be studied will be derived through trend research, technology capability analysis, technology factor analysis, performance requirement analysis, technical difficulty analysis, and ripple effect analysis. In addition, the Technology Readiness Level for each major technology will be presented. Seventh, the capability of domestic and foreign human resources and research infrastructure will be analyzed, and an analysis of opportunities and threats, a setting of investment priorities, and methods of sharing roles among related departments will be presented. Eighth, a direction of step-by-step technology development between the focus areas, core tasks, and core technology will be presented along with a map of technology and performance which shows a link between performances of different phases.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 신재생에너지 설계·시공 기술, 유형별 최적화 운영/관리 시스템, 도시 통합운영관리 시스템 등의 보급 및 확산
- 한국형 제로에너지 도시 모형을 수출상품화 하여 해외 저에너지 도시 개발 및 사업관리 차원의 기술 및 정책 전파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
- 4차산업혁명에 부응하여 관련 산업 고도화 및 4차산업혁명 기술 및 산업의 인큐베이터로서의 도시 역할 가능할 것으로 기대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 환경과 에너지시스템의 통합적인 관리에 따른 국내의 다양한 유형의 도시별 이슈 해결 가능
- 국내 스마트시티 기술에 대한 인식개선 및 국내 관련 기술의 해외진출을 위한 비즈니스모델 제시
- 제로에너지 도시 기획/설계/유지관리를 위한 국내 실정에 맞는 독자적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개발로 해외기술 도입비용 절감 가능
- 국민 체감형, 부처별 협업 모델 개발에 따른 관련 연구환경 및 조성 성과 확산 가능
- 한국형 대표 저에너지 도시 실증을 통한 국제 홍보 및 관련 국제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
활용방안 - 본 최종성과물을 개발함으로써 도시관리와 환경, 에너지 분야를 아우르는 융복합적, 선도적 지구단위 에너지관리 기술력 확보를 통한 시장경쟁력 확보가 기대됨.
- 스마트한 도시조성 및 관리 기술의 통합화로 인한 에너지 위기 대응력 및 신기후체제의 대응력 제고가 가능하다고 사료됨.
- 도시 관리 및 도시 미기후 관리를 융복합한 기존과 다른 새로운 시장 및 일자리 창출이 가능하다고 판단됨.
- 통합적 도시관리 분야로서 관련 분야의 학술적 기여가 가능하며, 본 개발 기술 외의 도시의 미기후, 에너지, 탄소 흡수·배출 관리 기술 등을 패키지화하여 모델 도시의 개발 가능하다고 사료됨.
- 도시 빅데이터인 UPIS자료와 건축물 빅데이터인 세움터 자료의 발전방향에 대한 제안이 가능하며, BIM과 GIS의 연계방향은 물론, 이를 통한 환경을 고려한 도시설계의 발전방향의 제안이 가능하다고 기대됨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에너지 관리 건축/도시 에너지 최적화 2030 에너지 트렌드 온실가스 흡수/배출관리 커뮤니티 관리
영문 Energy Management Building/City Energy Optimization Energy Trend in 2030 Carbon Absorption & Emission Management Community Management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수정최종보고서3.pdf   다운로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