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Off-Site Construction 기반 공동주택 생산시스템 혁신기술 개발1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국토교통연구기획사업 과제번호 18RDPP-C150524-01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건설 교통 | 건설시공 재료 | 건설시공관리기술 적용분야 건설업
2순위 기계 | 생산기반기술 | 생산관리기술 실용화대상여부 실용화
3순위 건설 교통 | 건설시공 재료 | 시공 자동화기술 과제유형 개발
과제명 Off-Site Construction 기반 공동주택 생산시스템 혁신기술 개발
주관연구기관 (사)대한건축학회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안병욱
소속 (사)대한건축학회 직위 부소장
전화번호 02-525-1843 FAX 02-525-1845
총 연구기간 2018-12-01 ~ 2019-11-30
당해연도 연구기간 2018-12-01 ~ 2019-11-30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1차년도 143,000,000 0 0 0 143,00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연구배경 1] 건설산업 경쟁력 저하
● 국내 건설산업의 세계 경쟁력은 9위 수준으로 건축시공 분야(세계 7위)의 경쟁력은 높으나 설계 및 엔지니어링(13위) 경쟁력은 낮은 편임. 최근의 국제 경쟁 심화, 신규 기술인력 유입 부족, 기능인력 저숙련화, 고임금 및 근로시간 단축 등의 산업환경 악화로 인해 경쟁력이 더욱 하락하고 있음.
● 특히 국내 주거 및 단지 건축분야는 최고기술 보유국 대비 82.1%로 성장기에서 성숙기로 변화하고 있으며, 최근 공동주택의 소음진동, 실내공기질, 결로, 누수 등 생활밀착형 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개발이 수행되고 있음. 반면 주거 및 단지 건축분야의 최고기술 보유국인 일본은 Off-Site Construction(이하 OSC) 기반 주택 시공기술을 개발하고, 다양한 형태의 모듈형 주택을 상품화하는 등 주거건축 분야 기술개발을 활발하게 추진 중임.

[연구배경 2] 건설 기능인력 수급의 불균형 심화
● 국내 건설현장 기능 인력의 수급 문제는 크게 공급(quantity)의 부족과 기능 수준(quality)의 저하라고 볼 수 있음. 이는 건설현장에 젊고 새로운 인력이 유입되지 않음으로써 발생한 것으로써 결국 기능 인력이 고령화되고 숙련공의 부족으로 인한 기능력 저하 문제가 발생되고 있음.
● 또한 국내 건설산업의 노동생산성은 선진국 대비 50% 수준으로 개도국과의 기술격차가 좁혀질 경우 급격한 입지위축이 우려됨.

[연구배경 3] 공동주택 품질저하 및 품질 균일성 확보 미비
● 고용노동부 장관이 고시한 건설공사 노무비율에서도 일반 건설공사는 총 공사금액의 100분의 27에 해당하는 금액이며, 하도급 건설공사는 하도급 금액의 100분의 30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명시되어 있어 건설업에서 노무에 대한 의존도가 높음. 이는 건설이 표준화 된 생산체계를 갖추어지지 않은 산업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되며, 이에 따라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안정적인 인력의 공급이 필수적임.
● 국민 주거복지와 직결되는 공동주택 품질관련 하자분쟁 발생빈도는 2015년 4,381건, 2016년 4,042건, 2017년 4,227건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공동주택 하자 관련 민원의 주요 내용은 기능불량(20.7%), 결로(13.8%), 소음(9.7%), 균열(9.3%), 들뜸 및 탈락(8.4%), 오염 및 변색(7.4%) 등으로 건설품질과 관련된 원인들이 대다수였음. 조사된 통계는 아파트 하자 신고 접수 건수로 한정된 수치여서, 실제 공동주택의 품질하자 발생건수는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됨. 이에 따라 공동주택 품질하자의 복합적인 원인 분석, 통합적 관리, 솔루션 공급을 통한 균일한 품질 확보가 필요함.

[연구배경 4]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품질 저하 및 안전관리 공백 우려
● 2018년 7월 이후부터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이 300인 이상 기업과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기업 규모에 따라 단계적으로 시행됨. 근로시간 단축으로 인해 관리자 근무 시간 감소와 숙련공 확보의 어려움 및 잦은 인원 교대로 인한 품질 저하 및 안전관리의 공백이 우려되고 있는 상황임. 특히 근로시간 단축으로 인한 인건비 상승에 따른 현장 미경험자 및 외국인 근로자 유입 증가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음.
[연구배경 5] 건설 수주 감소세 심화
● 우리나라의 높은 공동주택 보급률과 지속적인 공동주택 수요 전망에 따라 공동주택에서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공공적, 사회적 중요성이 커지고 있음. 하지만, 2015년부터 이어진 건설업 호황국면이 마무리되어 건설수주의 감소세는 점차 심화될 것으로 전망됨.

[연구의 필요성]
● 건설 부문의 수요 감소는 경제 전체에 직·간접적으로 미치는 파급효과가 산업 가운데서도 상당히 크며, 고용에 있어서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수 있음. 따라서 국가 차원에서 건설산업 경쟁력 향상, 기능인력 확보, 건축 생산품질의 혁신적 향상, 지속가능성 확보 등의 당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건설 프로세스, 기술, 데이터, 인프라, 제도 등 전반을 아우르는 건축 생산시스템 혁신에 대한 투자와 기술 개발이 시급히 요구됨.
● 국가 차원에서 OSC 기반 공동주택 생산시스템 혁신 기술을 개발·선도하여, 건설산업 경쟁력 저하, 기능인력 부족 및 저숙련화를 방지하고, 주거품질, 국민 주거 복지를 향상시켜, 건설산업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해야 함.
최종목표 ● 본 기획연구의 목표는 「Off-Site Construction 기반 공동주택 생산시스템 혁신기술 개발」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 정책적/기술적/실용적 타당성에 입각한 연구개발 상세계획을 수립하는 것임
● 기획연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참여연구기관의 중점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음

[주관연구기관 중점 연구목표]
● 공동주택 생산시스템 전 과정에 걸쳐 품질과 효율 향상 및 사용자 만족도 향상과 관련한 공동주택 건설관리 현황분석 및 개선과제와 해결방안 도출
● OSC 공동주택 표준기술, OSC기반 자동화 생산기술, 스마트 현장조립 및 관리기술, 그리고 OSC 플랫폼 등 Off-site Construction기반 공동주택 생산시스템 요소기술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관련 요소기술 분야의 현황 분석, 공동주택 건설관리 분야에서 제시되는 요구사항의 기술적 실현가능성 분석, 그리고 요구사항의 구현방안 제시
● Off-site Construction 기반 공동주택 생산시스템 혁신기술 개발방안 수립 및 적용가능 기술의 풀(pool) 구성
● 기술가치평가, 사업화 가능성 점검을 통한 개발대상 기술과제 도출 및 상세계획 수립

[협동연구기관 중점 연구목표]
● 공동주택 생신시스템 적용을 위한 정책 및 제도적 개선안(업역, 발주 및 계약 등) 수립
● 미래지향적 공동주택 생산 환경을 고려한 공동주택 생산 혁신 및 보급 플랫폼 기술정의
● OSC기반 생산시스템 관련 기술 확산을 위한 전문가 양성 및 교육 플랫폼 기술정의
● 연구개발 결과의 단계별 적용 및 테스트베드 시행을 고려한 연구개발 상세계획 수립

[실증사업 관련 협력기관 중점 연구목표]
● 공동주택 생산시스템 품질향상을 위한 주요 하자분석 및 요소기술 활용을 통한 대응방안 도출
● 미래지향적 공동주택 생산시스템 환경을 고려한 공동주택 설계-시공-사용 시나리오 정립
● 다양한 유형의 공동주택별 Off-site Construction기반 공동주택 생산시스템 시나리오 정립
● 연구개발 결과의 단계별 적용 및 테스트베드 시행을 고려한 연구개발 상세계획 수립

[기존 기획연구와의 차별성]

1. 기획연구 수행 방법 측면의 차별성
● 선제적 대응전략 수립 : 사회·산업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공동주택 생산시스템 혁신 방안 벤치마킹 및 검토
● 성능중심 기술개발 : 개방형 아이디어 공모를 통한 수요기술 확보 방법 제시
● 실증적 성과달성 : 연구개발 결과를 단계별로 검증할 수 있는 방법 제시
● 지속적 성과확산 : OSC 기반 공동주택 생산시스템을 적용 및 확산할 수 있는 기술적, 정책적, 제도적 방안 유도

2. 기획연구 수행 조직 측면의 차별성
● 수요조사, 기술수준분석, 연구기획, 테스트베드 계획 등의 기획연구 과정에 연구결과의 실제 적용이 가능한 한국토지주택공사(LH), 서울주택도시공사(SH)가 참여
● OSC 기반 공동주택 생산과정의 성과목표와 기술개발의 성능확보를 위해 건축의 모든 분야가 참여하는 대한건축학회 및 관련 대학 연구진과 한국건설기술연구원으로 연구진을 구성
● 효과적 생산시스템 혁신 및 실용적 제반 기술 개발을 OSC관련 최고 수준 기업(현대건설, 대우건설, 한화건설, KCC건설, 현대산업개발, 삼표피앤씨, 한성PC, 까뮤, 연우구조, 센구조, 나우설비, 한일MEC, 포스에이씨 등)과의 연구 협업
연구내용 및 범위 [연구 내용 및 범위]

● 본 기획연구 수행의 범위는 다음과 같음.
① 시장, 기술 정책 등 동향 분석
② 수요조사 및 우선순위분석을 통한 핵심기술 과제도출
③ 정책적/기술적/실용적 기술개발을 위한 로드맵 작성
④ 기술 실용화를 위한 세부계획 및 실용화 방안과 연구 발주를 위한 RFP작성

● 본 기획연구 대상의 범위는 다음과 같음.
① 공동주택 : 건축법 시행령 [별표 1]에 따른 공동주택
② Off-Site Construction (OSC) : 건축물의 부지가 아닌 공장 등의 장소에서 계획, 생산, 조립된 건축물 부재를 현장으로 운반하여 설치 및 시공 하는 방식으로 최종 목적물을 생산하는 건축방식
③ 생산시스템 : 기획, 설계, 시공, 유지보수 등의 건설생산 전 과정에 걸친 생산주체의 진입, 퇴출, 업무범위와 생산주체 간의 결합방식. 본 연구에서는 off-site construction 기반 공동주택 생산시스템 및 이에 수반되는 정책 및 제도, 기술표준, 생산효율화 기술개발에 중점을 둠.

● 본 기획연구 내용의 범위는 다음과 같음.
① OSC 기반 건축생산시스템 관련 기술?시장?정책?산업 등 동향?환경 분석
● OSC 기반 생산, 조립 및 운반 관리 기술 정의 및 범위 세분화
● 국내?외 시장, 정책, 기술, 환경 및 특허 동향 분석
② OSC 기반 미래형 공동주택 프로토타입 개발
● 에너지 효율, 소음, 구조안정성, 공기질, 리모델링 용이성 등 OSC 기반 공동주택 생산시스템이 최종적으로 구현하고자 하는 미래형 공동주택 프로토타입 제시
● 미래형 공동주택 프로토타입 구현을 위한 핵심기술 도출
③ OSC 기반 공동주택 생산시스템 핵심 요소 기술 선정
● OSC 기반 공동주택 생산성 제고를 위한 생산 기술
● 스마트 시공 장비, 시공 시뮬레이션화 기술 등을 활용한 현장 조립 기술
● OSC 기반 공동주택의 품질개선 및 검증 기술
● OSC 기반 공동주택의 최적 현장 관리 기술
● OSC 기반 공동주택 확산 방안
● 그 외 OSC 기반 공동주택 관련 필요 기술
④ OSC 기반 공동주택 생산시스템 구축사업 추진을 위한 연구개발 방향 설정 및 구체적 추진전략 제시
● 비전?목표?핵심전략 도출 및 관련 기술개발 전략?로드맵 작성
● 연구개발 목표, 전략, 중점 추진분야 및 연구과제 도출
● 연구과제별 규모, 기간, 체계 및 추진방식 구체화
⑤ OSC 기반 공동주택 생산시스템 사업 추진을 위한 법?제도 개선안 제시
● 국가전략적 중요성, 상위계획 관련성, 기존사업 연계 등 정책적 타당성 검토
● 정책적?기술적?경제적(사업성 및 사회 파급력 등) 파급효과 분석
● OSC 관련 주요국(싱가폴, 중국 등) 제도 분석
● 연구개발의 적정성, 유사사업의 중복성 등 기술적 검토


[연구 추진체계]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에서는 기획연구사업의 체계적인 수행을 위해 건설교통기술연구개발사업 기획매뉴얼를 제정하고 관련 규정을 따르도록 하고 있음
● 이에 본 연구는 관련 규정을 준수하여 ① 국내외 동향 조사, ② 기술수요조사 및 과제 도출, ③ 우선순위 결정 및 로드맵 작성, ④ 세부실행계획 및 실용화 방안 수립의 단계로 추진계획을 구성함
● 본 기획연구는 다학제간(multi-disciplinary) 융합 기술개발 연구이므로 자문단구성을 건설 분야 전문기관, PC생산 전문기관, 스마트팩토리 전문기관, 첨단 ICT 전문기관, 해외연구기관으로 구성하였음
● 특히 건설 분야는 OSC 기반 공동주택 생산 전범위(OSC 공동주택 표준모델ㆍ자동화 생산기술ㆍ스마트 현장조립ㆍOSC 플랫폼)가 기획연구의 범위에 해당하므로 프로세스 각 단계별 맞춤형 자문단을 구성함.
● 그 외,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기술가치 평가 및 사업화 가능성 분석을 위해, 전문기관/기업을 자문단에 포함시킴.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1차년도 ● 본 기획연구의 목표는 「Off-Site Construction 기반 공동주택 생산시스템 혁신기술 개발」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 정책적/기술적/실용적 타당성에 입각한 연구개발 상세계획을 수립하는 것임
● 기획연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참여연구기관의 중점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음

[주관연구기관 중점 연구목표]
● 공동주택 생산시스템 전 과정에 걸쳐 품질과 효율 향상 및 사용자 만족도 향상과 관련한 공동주택 건설관리 현황분석 및 개선과제와 해결방안 도출
● OSC 공동주택 표준기술, OSC기반 자동화 생산기술, 스마트 현장조립 및 관리기술, 그리고 OSC 플랫폼 등 Off-site Construction기반 공동주택 생산시스템 요소기술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관련 요소기술 분야의 현황 분석, 공동주택 건설관리 분야에서 제시되는 요구사항의 기술적 실현가능성 분석, 그리고 요구사항의 구현방안 제시
● Off-site Construction 기반 공동주택 생산시스템 혁신기술 개발방안 수립 및 적용가능 기술의 풀(pool) 구성
● 기술가치평가, 사업화 가능성 점검을 통한 개발대상 기술과제 도출 및 상세계획 수립

[협동연구기관 중점 연구목표]
● 공동주택 생신시스템 적용을 위한 정책 및 제도적 개선안(업역, 발주 및 계약 등) 수립
● 미래지향적 공동주택 생산 환경을 고려한 공동주택 생산 혁신 및 보급 플랫폼 기술정의
● OSC기반 생산시스템 관련 기술 확산을 위한 전문가 양성 및 교육 플랫폼 기술정의
● 연구개발 결과의 단계별 적용 및 테스트베드 시행을 고려한 연구개발 상세계획 수립

[실증사업 관련 협력기관 중점 연구목표]
● 공동주택 생산시스템 품질향상을 위한 주요 하자분석 및 요소기술 활용을 통한 대응방안 도출
● 미래지향적 공동주택 생산시스템 환경을 고려한 공동주택 설계-시공-사용 시나리오 정립
● 다양한 유형의 공동주택별 Off-site Construction기반 공동주택 생산시스템 시나리오 정립
● 연구개발 결과의 단계별 적용 및 테스트베드 시행을 고려한 연구개발 상세계획 수립

[기존 기획연구와의 차별성]

1. 기획연구 수행 방법 측면의 차별성
● 선제적 대응전략 수립 : 사회·산업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공동주택 생산시스템 혁신 방안 벤치마킹 및 검토
● 성능중심 기술개발 : 개방형 아이디어 공모를 통한 수요기술 확보 방법 제시
● 실증적 성과달성 : 연구개발 결과를 단계별로 검증할 수 있는 방법 제시
● 지속적 성과확산 : OSC 기반 공동주택 생산시스템을 적용 및 확산할 수 있는 기술적, 정책적, 제도적 방안 유도

2. 기획연구 수행 조직 측면의 차별성
● 수요조사, 기술수준분석, 연구기획, 테스트베드 계획 등의 기획연구 과정에 연구결과의 실제 적용이 가능한 한국토지주택공사(LH), 서울주택도시공사(SH)가 참여
● OSC 기반 공동주택 생산과정의 성과목표와 기술개발의 성능확보를 위해 건축의 모든 분야가 참여하는 대한건축학회 및 관련 대학 연구진과 한국건설기술연구원으로 연구진을 구성
● 효과적 생산시스템 혁신 및 실용적 제반 기술 개발을 OSC관련 최고 수준 기업(현대건설, 대우건설, 한화건설, KCC건설, 현대산업개발, 삼표피앤씨, 한성PC, 까뮤, 연우구조, 센구조, 나우설비, 한일MEC, 포스에이씨 등)과의 연구 협업
[1단계] 국내외 동향 조사
● (시장동향 분석) 국내 공동주택 분야 특징 및 동향, 건설 생산성 및 품질 이슈, 첨단 건설기술 동향, OSC를 포함한 ICT 기술 동향 등을 다각도로 살펴봄으로써 심층적 사전분석 실시함. 국제기구 및 국내외 거시경제/건설 전문기관에서 발간하는 각종 데이터와 보고서 및 연구자료 분석을 통해 관련 시장동향 파악함.
● (기술동향 분석) 학계에서 연구?개발되고 있는 기술과 업계에서 실제 활용되고 있는 첨단기술의 조사를 통해 학계-업계 간 균형 잡힌 기술동향 분석 수행함. 학술논문 및 주요학회의 연구결과 분석, 건설교통 온라인 DB 활용, 정보분석시스템 Landscope를 활용한 동향 분석, 국내외 핵심건축기술의 적용사례 분석 등으로 수행함.
● (특허동향 분석) 국내외 특허전문 검색 DB(NDSL)를 활용한 최근 5년간(필요시 10년간) 관련 특허 자료(OSC 및 모듈러 키워드와 Building 키워드의 조합을 통한 특허검색)를 수집하여 Landscope 등을 이용하여 분석할 예정임. 특허동향의 조사범위 설정 및 분석은 건설교통기술연구개발사업 기획 매뉴얼(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2009)에 제시된 내용을 기반으로 수행할 예정임.
● (정책동향 분석) 국내 정책 동향 분석은 관련계획 및 제도, 정부 차원의 추진 전략 등의 항목을 대상으로 관련 문헌 및 관계 기관과의 인터뷰, 기존 자료 분석 등을 통해 수행함. 국외 정책 동향은 관련 문헌 및 자료조사, 기존 논문, 관련 보고서 등에 제시된 OSC 및 ICT 등 관련 조사 수행, 해외 전문가 네트워크를 활용함.

[2단계] 기술수요조사 및 과제 도출
● (기술수요조사) 객관적이고 포괄적인 기술 분석을 위해서는 설문조사 방식의 기술수요조사가 필요함. 기술수요조사는 주요 연구기관 및 대학, 산업체 등의 각 핵심 분야별 전문가를 대상으로 수행하며, 본 기획연구를 위해 협약을 체결한 공공기관, 전문단체 및 전문기업을 수요조사 창구로 활용하며, 동시에 기술도출을 위한 전문가로 활용할 계획임.
● (비전 및 추진전략) 국내외 동향분석 결과 기술수요조사 결과 등과 이를 통해 도출된 시사점을 반영하여 공동주택 건설관리 선진화를 위한 기술개발 기획연구의 비전 및 추진전략을 설정할 계획임. 연구의 비전 및 추진전략은 외부환경(기회요인, 위협요인)과 내부환경(강점요인, 약점요인)의 변화를 고려하여 전략을 도출할 수 있는 SWOT 분석 등을 통해 설정할 예정임.
● (과제 도출) 연구과제 도출은 주요과제(안)을 선정하고, 중복성 검토를 통해 최종과제를 도출할 계획임. 주요과제(안)은 품질기능전개기법(QFD)을 이용하여 과제의 평가 및 선정기준을 제시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공동주택 건설관리 선진화를 위한 핵심기술과 정책/경제/사회/기술적 요구사항의 상관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3단계] 우선순위 결정 및 로드맵 작성
● (우선순위 결정) 과제 추진기준은 시급성, 실현가능성, 파급효과, 정책연계성 등을 평가항목으로 설정하며, 평가항목에 근거하여 각 항목의 가중치를 설정함 (평가항목은 추후 변경 가능함). 각 주요과제의 우선순위 도출에 필요한 평가값은 관련 전문가(기획연구를 위해 협력 MOU를 체결한 다양한 공공기관, 전문단체, 전문기업 등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할 예정이며, 각 평가항목의 가중치와 평가값을 고려하여 최종 합계를 도출함
● (로드맵 및 과제카드 작성) 기술개발 시나리오에 따른 기술로드맵 작성은 주요과제와 관련한 세부기술들의 현 수준을 파악하고, 이를 확보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 것임. 3~4년 내에 기술 개발이 가능한 기술들에 대해서는 테스트 및 연구과제 종료 후 실질적인 실용화가 가능하도록 로드맵을 작성함.
● (사전 타당성 검토) 본 연구의 사전 타당성 검토는 정책적, 기술적, 실용적 측면에서 수행할 예정임.

[4단계] 세부실행계획 및 실용화 방안 수립
● (세부실행계획) 세부실행계획은 앞서 수립한 로드맵을 바탕으로 수립되며, 확실한 성과도출을 위하여, 우선 ①성과목표를 설정하고, 성과목표 달성을 위한 ②인력투입 및 예산 배분계획을 수립함
● (실용화 방안) 본 기획연구에서는 “Off-site Construction 기반 공동주택 생산시스템 혁신기술 개발”을 위한 기술의 검증 및 실용화를 위한 테스트베드 운영 등 다양한 성과 활용방안을 제시할 예정임
● (RFP 작성) RFP 작성단계는 기획연구의 최종단계로, RFP의 세부내용 뿐 아니라 사업단(혹은 연구단)의 구성 및 자격 등 연구단 선정을 위한 평가기준(안)이 같이 제시되어야 함. 본 기획연구에서는 보다 우수한 연구 수행능력과 합리적 수행체계를 갖춘 과제 수행기관 선정에 기여할 수 있도록 과제성격에 적합한 평가항목(안)을 제시할 계획이며, 세부적인 사항은 전문기관과의 협의를 통해 선정함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 본 연구의 수행에 따라 예상되는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음.

[실용화 측면]
● 공장생산부재(Prefabricated Component) 구조물의 특성상 접합부위의 누수, 진동, 소음 등의 문제로 인해 지금까지는 고층형 공동주택에 OSC 기반의 생산시스템을 도입하는데 한계가 존재했음.
● 본 프로젝트는 고성능 접합재료 및 고방수 성능재료를 활용하여 공장생산부재 접합부의 정밀 시공 및 현장 설치?시공 기술에 대한 화재안전성, 누수, 소음 등의 주거성능이 확보된 PC 표준 모듈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고자 하며, 이는 국내 공동주택의 OSC 생산시스템 기술 저변을 확대하고 관련 기술의 상용화를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됨.

[과학기술 진흥 측면]
● AR/VR, 스마트 센서를 활용하여 현장 관리방식뿐만 아니라 공장생산-운송-현장설치에 이르는 생산프로세스 전반의 기술 및 관리방식을 지능화, 고도화함으로써 건설 시공 및 관리기술, 건설 정보화 기술, 건설 자동화 기술 등의 발전에 혁신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됨.
● 특히, 현장 시공 중심의 기존 건설 프로세스를 공장 생산 및 현장 설치 프로세스로 전환할 수 있는 실질적인 대안을 제시하고, 실증사업을 수행함으로써 향후 건설 생산체계를 혁신적으로 개선하는 의미 있는 시도가 될 것으로 기대함.

[학문적 성과 측면]
● CIM, BIM, AR/VR, 모바일 디바이스, 센서 등과 같은 컴퓨팅, ICT기술을 도입하여 건설현장과 생산공장의 품질, 공정, 원가관리를 자동화함으로써 건설 ICT 융?복합 기술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음.
●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하는 생산공장 및 현장의 모니터링?제어 기술, 자동화 시뮬레이션 및 O2O 데이터 기반 분석 시스템 등은 건설 ICT 제반 기술의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타 연구로의 파급효과가 높을 것으로 기대됨.

[인재양성 측면]
● 시공기술 위주의 기술개발이 아닌 Off-site와 On-site를 연계하고 각 단계별 프로세스 및 관리 방식을 지능화?최적화하는 연구를 통해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융합?통섭형’ 인재를 양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음.
● 특히, OSC 생산프로세스에서 양산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가치 있는 정보들을 생산하는 과정을 통해 4차 산업혁명에 걸맞는 소프트 스킬을 갖춘 융합형 인재를 양성할 수 있음.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산업발전 측면]
● OSC 기반의 생산시스템으로의 전환을 통해 현장 시공 중심의 건설 프로젝트에서 문제가 되었던 Non-Value Added 프로세스 및 자원 낭비요소를 최소화시키고, 현장 작업 중 발생하는 불필요한 온실가스, 미세먼지, 소음 등을 저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 또한 우수 기술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최근 건설산업이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고, 다기능공 중심의 현장 설치 방식이 보편화됨에 따라 기능인력의 고령화, 저숙련화 등으로 인한 기존의 품질저하 및 안전사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
● OSC 기반 공동주택 생산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건설 분야의 신시장 창출과 함께 중·장기적 OSC 공동주택 품질 향상 계획 수립으로 국가 예산 및 자원의 적절한 배분이 가능함. 또한, 신 유망분야 기술 확보 및 신산업 육성을 통한 새로운 일자리 창출 및 건설노동시장의 고령화 및 인력부족 현상을 대비한 기술 중심 노동력 배출이 기대됨.

[사회적, 제도 개선 측면]
● OSC 기반의 생산시스템에서는 공장생산 업체의 역량 및 품질관리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짐에 따라 기존의 시공사 중심의 건설산업 제도 및 구조적 문제가 갖고 있던 병폐와 하도급업체와의 수직적 구조를 해소하는 긍정적 변화가 일 것으로 기대함.
● OSC 기반의 공동주택 생산시스템의 정착 및 확산을 위한 법적, 제도적 장치와 생산공장 인증제도가 마련될 경우 국내 공동주택의 OSC 생산체계 보급이 확대되고, 나아가 관련 전?후방 산업의 내수진작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함.
● OSC 기반 공동주택 생산시스템 혁신을 통해 효율적인 공동주택 공급과 주거복지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또한 OSC 기반 건설 생산체계의 확산은 안전한 작업환경 조성 및 현장시공 단순화로 이어지며, 궁극적으로 건설 안전사고 절감과 온실가스, 미세먼지, 폐기물 저감 등 지속가능성 향상이 기대됨.
활용방안 1) 공동주택 건설 경쟁력 강화를 통한 주거건축 수출

● 건설산업에 있어 진보된 기술의 추구는 건설 기업의 필수적인 경쟁전략임. 또한, 급변하는 세계 건설시장에서 발주자들은 신기술, 신공법 등을 활용한 건설 생산성 향상 및 공기단축, 원가절감, 시공 품질의 향상을 위한 시공자의 다양한 변화를 요구하고 있음.
● 건설산업에서 구조물의 공장제작 및 시스템 시공은 이미 오래 전부터 안전성, 생산성, 품질, 작업환경의 향상과 미래의 숙련공 부족에 대한 하나의 명백한 해답으로써 거론되어져 왔음. 그러나 다양한 산업 분야에 걸쳐 모듈화 및 시스템제조기술의 개발 및 응용기술이 해마다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현실에 비추어 볼 때, 건설산업에 있어 구조물의 공장제작 및 시스템 시공기술의 발전은 현재까지도 매우 낙후되어 있는 실정임.
● 선진 외국의 경우, 장기적 안목에서 미래건설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1980년대 초반부터 막대한 R&D 투자를 통하여 대학연구소와 업체를 중심으로 구조물의 공장제작 및 시스템 시공 활용기술 개발을 추진함으로써 시공현장의 지능화 실현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음.
● 미국과 유럽 대학연구소 중심의 BIM 기반의 프리캐스트콘크리트 모델링 시스템 개발(PCSC)은 이러한 연구 노력에 대한 좋은 예라고 할 수 있음. 특히, 일본에서는 빌딩건설에 대한 공장제작 기술이 이미 상용화에 성공했을 뿐만 아니라 그 우수성이 입증되어 일본 내외의 고층빌딩 시공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음.
● 가상/증강현실, 빅데이터, 인공지능, Computer-Integrated Manufacturing(CIM), Design for Manufacture, Logistics, and Assembly(DMLA), Wireless Sensor Network(WSN) 등이 OSC기반 건설자동화의 핵심기술로 적용이 가능함.
● 현재 4차 산업혁명의 주요 기술인 IoT, VR/AR, 인공지능 기술발전 속도가 매우 빠르므로 이를 건설 상품에 성공적으로 적용하려는 노력이 건설산업의 국제 경쟁력 제고의 성패를 좌우할 것임.
● 세계 스마트홈 시장 규모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므로, 국내건설의 특성상 공동주택 생산기술과 첨단기술을 접목하는 것은 성공가능성과 상품성이 모두 높아 주거편의성, 방범, 노년층 친화, 에너지 절감 등의 효과를 갖춘 “스마트 공동주택” 해외시장 수출에기여할 수 있음.


2) 자동화 시스템 도입으로 인한 생산성 증대

● 기능 인력에 의하여 수행되던 작업 프로세스가 장비의 도입으로 인해 시스템화 됨으로써 작업수행에 필요한 인력을 대폭 감소 또는 무인화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작업 생산성의향상과 비용 절감의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음.
● 공장제작 및 시스템적인 시공으로 인해 건설인력의 수요가 상당히 줄어들 것이며, 많은 작업이 더 적은 인원으로 수행 가능하게 될 것임. 지능형 시공현장의 실현을 통해 현재 문제시 되고 있는 기능 인력 수급의 불균형 현상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전형적인 3D 산업으로 인식되어온 건설산업에 있어, 시스템 시공기술 개발을 통한 지능형 시공현장의 실현은 건설현장 작업 여건(work environment)의 혁신적인 개선을 통하여 향후 젊은 기술 인력의 건설 현장 유입을 유도하는 계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임.
● 위험한 작업환경 내에서의 작업을 첨단장비로 대체함으로써 안전성 확보가 가능할 것이며 이는 건설공사 재해율의 급격한 감소를 가져올 수 있을 것임.
● 노무자의 숙련도에 따라 작업 품질에 많은 편차를 보이는 재래식 공법에 비해 시스템화를 통한 첨단 장비를 활용할 경우 해당 작업을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전반적인 작업 품질의 향상을 가져올 것이며 국민주거 복지와 직결되는 공동주택 품질향상이 가능함.
● 첨단 융합 및 복합 기술이 요구되는 건설자동화 장비 개발의 경우, 막대한 사업 예산과 건축, 토목, 기계, 전기, 전자 등 유관 분야 전문가 간의 협업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므로 최근 건설교통부 R&D 예산의 증가추세는 중장기적 안목에서 건설자동화 장비의 실용화 및 국제 경쟁력 확보를 통한 건설산업의 새로운 Market Sector를 창출해 낼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첨단시공장비는 주로 노동 집약적인 작업 및 단순 반복적인 작업, 숙련공의 확보가 어려운 작업, 위험한 작업, 중량의 자재 취급 등 육체적으로 힘든 작업에 적합하므로 이러한 작업들을 자동화할 경우 건설 생산성 향상을 통한 대외 경쟁력 강화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을 것임.
● 센서시스템, 로보틱스, 자동제어 등 다양한 첨단기술과 융합이 가능한 OSC는 기술중심의 건설산업으로 나아가기 위한 전환점이 될 것임.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공업화건축 공동주택 생산시스템 건설관리 주거성능
영문 Offsite Construction Apartment Housing Production System Construction Management Housing Performance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Off-Site Construction 기반 공동주택 생산시스템 혁신기술 개발.pdf   다운로드 최종보고서(표지)-Off-Site Construction 기반 공동주택 생산시스템 혁신기술 개발.pdf   다운로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