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고수압 초장대 해저터널 기술자립을 위한 핵심요소 기술개발5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건설기술연구사업 과제번호 17SCIP-B066321-05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건설 교통 | 국토공간개발기술 | 해저공간 적용분야 건설업
2순위 건설 교통 | 시설물 설계 해석기술 | 지반구조 터널 실용화대상여부 실용화
3순위 건설 교통 | 시설물 안전 유지관리 기술 | 시설물 소방안전관리기술 과제유형 개발
과제명 고수압 초장대 해저터널 기술자립을 위한 핵심요소 기술개발
주관연구기관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이인모
소속 고려대학교 직위 교수
기관 대표번호 02-3290-4997 FAX 02-928-9109
총 연구기간 2013-06-01 ~ 2018-05-31
당해연도 연구기간 2017-06-01 ~ 2018-03-31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5차년도 5,666,000,000 233,200,000 1,735,900,000 1,969,100,000 7,635,10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글로벌 시대를 맞이하여 교통네트워크 허브 구축을 위한 [해저터널 기술개발]은 대륙간 또는 국가 간을 연결하는 접근성 확보에 매우 필요하며, 고수압 조건에서 해저터널 기술을 확보하고 통합 방재 및 운영 기술을 확보하여 다목적 하이브리드 해상 인프라 구축을 위한 필수불가결한 핵심 기술임.
-국내 자립형 해저터널 건설기술 확보를 위하여 수압조건으로 현재까지 국내에서 수행한 최대 10bar 보다 상향치를 제시하였고, 통상 20bar를 초과하는 수압이 작용하는 조건은 경제성이 낮다는 판단 하에 수압조건은 20bar로 적용함. 또한 국외 해저터널(계획중, 시공중, 시공완료) 연장은 50km 이상인 조건이 매우 드물기 때문에 호남-제주 해저터널의 연장을 고려검토하여 연장조건은 50km를 적용함.
최종목표 -본 과제의 최종목표는 국내 기술이 전무한 대륙간, 도서간, 연육간을 연결하는 해저지반 지하에 건설되는 초장대(연장 50km 이상) 고수압(수압 20bar 이상)을 받는 해저터널 건설에 필요한 지질조사, 설계 및 시공, 방재 및 유지관리 등을 망라하는 핵심 설계 및 시공요소에 대한 국내 기술을 확보하는 것임.
-이를 위하여 구체적으로는 ① 고심도 고수압 조건을 반영할 수 있는 초장대 해저터널 계획을 위한 최적 지질·지반조사 기술 확보, ② 미흡한 국내 해저터널 건설 기술 수준(선진국 대비 40∼70% 수준)을 개선할 수 있는 해저터널 설계·시공을 위한 핵심 요소 기술 개발, ③ 내진 설계 기술, 굴진면 안정화 기술, 고수압하 세그먼트 이음부 방수기술 개발을 통한 해저터널 설계·시공 시 안정성 평가 기술 개발, ④ 공기압 제어 기술 확보, 화재 진압 및 내화 시스템 개발, 고정압 축류팬 개발을 통한 해저터널의 화재 및 유지관리 기술을 목표로 설정함..
연구내용 및 범위 -본 연구의 최종목표는 초장대(연장 50km 이상) 고수압(수압 20bar 이상)을 받는 해저터널 건설을 대상으로 하여, 1) 초장대 해저터널 계획을 위한 최적 지질·지반조사 기술 개발, 2) 해저터널 설계·시공을 위한 핵심 요소 기술 개발, 3) 해저터널 설계·시공 시 안정성 평가 기술 개발, 4) 초장대 해저터널의 화재 및 유지관리 기술 개발로 총 4가지 연구 과제로 나뉘며 해저터널의 조사-설계-시공 전 단계를 아우르는 실용화 기술 개발임.

-글로벌 시대를 맞이하여 교통네트워크 허브 구축을 위한 [해저터널 건설 기술 자립화]는 대륙간 또는 국가간을 연결하는 접근성 확보에 매우 필요하며, 고수압 조건에서 해저터널 기술을 확보하고 통합 방재 및 운영 기술을 확보하여 다목적 하이브리드 해상 인프라 구축을 위한 필수불가결한 핵심 기술임.

-본 연구과제에서는 해저터널 건설에 있어서 특화된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며, 호남-제주 해저터널 등, 국내에서 현재 시공 중이거나 계획 중인 해저터널을 대상으로 하고자 함.

-국내 자립형 해저터널 건설기술 확보를 위하여 수압조건으로 현재까지 국내에서 수행한 최대 10bar 보다 상향치를 제시하였고, 통상 20bar를 초과하는 수압이 작용하는 조건은 경제성이 낮다는 판단 하에 수압조건은 최대 20bar로 적용함. 또한 국외 해저터널(계획중, 시공중, 시공완료) 연장은 50km 이상인 조건이 매우 드물기 때문에 호남-제주 해저터널의 연장을 고려?검토하여 연장조건은 50km를 적용함.

-따라서, [해저터널 건설 기술 자립화] 기술의 정의는 대륙간, 도서간, 연육간을 연결하는 해저지반 지하에 건설되는 초장대(연장 50km 이상) 고수압(수압 20bar 이상)을 받는 해저터널 건설에 필요한 지질조사, 설계 및 시공, 방재 및 유지관리 등을 망라하는 핵심 설계 및 시공요소에 대한 국내 기술 확보를 의미함. 이를 위하여 구체적으로는 ① 고심도 고수압 조건을 반영할 수 있는 초장대 해저터널 계획을 위한 최적 지질·지반조사 기술 확보, ② 미흡한 국내 해저터널 건설 기술 수준(선진국 대비 40∼70% 수준)을 개선할 수 있는 해저터널 설계·시공을 위한 핵심 요소 기술 개발, ③ 내진 설계 기술, 굴진면 안정화 기술, 세그먼트 이음부 방수 기술 개발을 통한 해저터널 설계·시공 시 안정성 평가 기술 개발, ④ 공기압 제어 기술 확보, 화재 진압 및 내화 시스템 개발, 고정압 축류팬 개발을 통한 해저터널의 화재 및 유지관리 기술을 목표로 설정함.

-본 과제는 20bar 고수압 조건에서도 세그먼트 조립으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계화시공(Shield TBM)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며 일부 굴착 및 발파(NATM)공법에 대한 연구도 진행함. 또한 50km 이상의 초장대 해저터널은 환기 및 방재기술을 고려할 때 기획연구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철도터널로 계획하는 것이 불가피하므로 철도터널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의 초점을 맞추었음.


[제1세부과제] 초장대 해저터널 계획을 위한 최적 지질지반조사 기술 개발
제1요소기술 : 인공섬을 고려한 가상 해저터널 설계 기술 개발
제2요소기술 : 대심도 해저지반 및 지질정보 해석 기법 개발
제3요소기술 : 초장대 해저터널 설계 정수 도출을 위한 평가 기술 개발

[제2세부과제] 해저터널 설계·시공을 위한 핵심 요소 기술 개발
제1요소기술 : 해저터널 자동화 설계·시공 및 리스크 평가 기술 개발
제2요소기술 : 고수압 조건의 해저터널 시공 중 차수 및 보강 기술과 버력처리 기술 개발
제3요소기술 : 유입수 제어 및 관리방안 개발
제4요소기술 : 내염해성 해저터널 지보재 개발

[제3세부과제] 해저터널 설계·시공 시 안정성 평가 기술 개발
제1요소기술 : 고수압 해저터널의 안정성 해석 및 내진 설계 기술 개발
제2요소기술 : TBM 시공을 위한 고수압 굴진면 안정화 기술 개발
제3요소기술 : 고수압하에서 세그먼트 이음부 방수 기술

[제4세부과제] 초장대 해저터널의 화재 및 유지관리 기술 개발
제1요소기술 : 인공섬 최소화를 위한 30km급 환기 및 공기압 제어기술
제2요소기술 : 100MW급 화재 대응 시스템 및 내화시스템 개발
제3요소기술 : 해저터널 대피환경 확보를 위한 연기확산 방지기술 개발
제4요소기술 : 고수압 초장대 해저터널IT기반 실시간 유지관리 기술 개발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5차년도 [1세부] 초장대 해저터널 계획을 위한 최적 지질/지반조사 기술 적용성 평가 및 지반 특성 정량화 제시
[2세부] 해저터널 설계/시공을 위한 핵심 요소 기술 개발 및 현장 적용성 검토
[3세부] 해저터널 설계/시공 시 안정성 평가 기술 개발 및 적용성 검토
[4세부] 초장대 해저터널의 화재 및 유지관리 기술 성능 평가
[1세부]
- 해저터널 설계
- 대심도 해저 3차원 정보 시스템 개발
- 대심도 해저 정밀 지구물리 탐사 해석기법 고도화 2단계 및 프로그램 개발
- 고수압 지반 특성의 설계 정수화
- 해저 지반의 수리특성 조사기법 개발
- 해저지반 암반분류법의 현장 적용 및 문제점 분석

[2세부]
- 막장전방 예측 종합시스템 구축
- 설계/시공/리스크 관리를 위한 올인원(All-in-One) 통합 관리 시스템 구축
- 해저터널의 설계 및 시공 단계에서의 리스크 관리를 위한 BIM 통합시스템 구축
- 통신네트워크 요소기술 개발 완료 및 올인원 시스템 연동기술 개발
- 공정관리 시나리오 최적화
- 고수압 조건의 All-in-one 그라우팅 시스템 실용화 제품 개발
- 진동 그라우팅 주입 이론식 연구
- Pilot 규모의 실내 챔버시험 및 현장 실증시험 모사
- 급속 동결공법 현장 실증시험을 통한 설계 요소 검증
- 버력처리 시공 procedure 제시
- 스마트터널 유입수 제어 및 관리시스템 구축
- 유입수 종류별 차폐설비시스템 검증 및 보완
- 중대형 토조 실험을 통한 압전필름 배수재 시스템 구축 및 적용
- 고성능 내염해성 SFRC 세그먼트 부재 개발
- 세그먼트 실물제작 및 Test
- 숏크리트에 대한 보완실험 및 현장 적용성 재검토
- 시공장비에 대한 보완실험 및 현장 적용성 재검토
- 영향인자 및 성능평가 요소 개발

[3세부]
- ANN-BIM 연계 로직 구축, ANN-BIM 연계, 안정해석 엔진 구축
- 해저터널의 내진설계를 위한 BIM 통합시스템 구축
- 실험적 연구를 통한 막장압 및 뒷채움압 산정 연구
- 현장조건에 근접한 수치해석 개선방안 제안
- 기계 데이터를 이용한 해저 TBM 터널 막장압 관리 및 지반거동 예측시스템 개발
- 해석 모델을 계산할 수 있는 설계용 코드(프로그램) 개발
- 개발된 지수재의 생산기술 개발

[4세부]
- 모형실험을 통한 환기시스템의 실제가동시 운전 적합성 검증연구
- 실제 크기 댐퍼 제작
- 해저터널용 공기압 해석모델 검증 및 정확성/신뢰성 향상 연구
- 해수를 이용한 화재진압 시스템 개발
- 해저터널 내화구조요소 표준시험법 개발
- 성능개선형 세그먼트 시스템의 실용화 방안 구축
- 제연 시스템 및 국소 급배기 시스템 모형실험을 통한 최적화
- 피난대피소 축소모형실험 및 성능검증
- 2차 상사모델의 시제품 제작, 성능평가 및 설계보완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 초장대 고수압 해저터널 설계·시공 및 운영기술 전무한 가운데, 본 연구 과제를 통해서 각각의 주요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세계 최고의 해저터널 관련 핵심요소 기술을 확보할 수 있음.
- 국내 해저터널 건설 기술 수준은 선진국 대비 40~70% 수준으로 기술수준이 다소 미흡하며, 계획 중인 한-중, 한-일, 호남-제주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는 기술력이 부족하여 해외 선진기술 도입을 추진해야 하는 상황임을 고려하였을 때, 본 과제의 초장대 고수압 해저터널의 조사, 설계 및 시공, 유지관리에 이르는 기술은 현재 국내 해저터널 건설 기술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 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해저터널은 시점과 종점을 나누어 공사할 수 없다는 점 때문에 장대터널로 시공을 하여야함.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대터널에서 요구되는 요소 기술과 환기 및 방재에 관련된 기술을 확보함에 따라 터널 시공에서부터 유지관리에 이르기까지 초장대 해저터널에서 요구되는 기술을 확보할 수 있음.
- 해저터널은 고심도에서 시공을 해야 한다는 점 및 시공 후 터널의 안정성이 어떤 터널보다 중요하다는 점에서 터널의 시공 및 유지관리 측면에서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하고, 본 과제는 설계 및 시공, 그리고 유지관리 단계별로 요구되는 요소기술을 선정하여 연구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서 고심도 해저터널의 안정성 기술을 확보할 수 있음.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 국가 간의 물류수송 해저터널이 아닌 일본의 세이칸 터널과 같은 교통터널로써의 해저터널 건설시장은 국내에서 현재 장대교량으로 연결되고 있는 도서지역간의 교통체계를 해저터널로 대체하여, 연 2개소 정도 발주된다고 보았을 때, 2015년 약 6,000억 원 정도의 시장이 형성될 것임. 시공경험과 장대교량에 대비한 효용성이 입증될수록 5년을 주기로 1.5배의 시장 성장이 이루어져, 10년 후에는 9,000억, 15년 후에는 약 1조 3천억 원 이상의 국내 해저터널 건설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판단됨.
- 국가 간의 해저터널, 특히 한일해저터널에 대해서 허재완 등(허재완, 한일 해저터널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중앙대, 1999)은 경제성 분석을 통하여 한일해저터널 건설사업은 건설투자비(일본이 제시한 A, B, C노선 건설시 약 60조원에서 200조원의 비용 소요)에 대해 약 2배 정도의 사회적 순편익을 창출할 수 있으며, 한국 경제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 효과가 약 54조원에 달하고 그 중 건설업의 시장 창출 효과는 약 16조원으로 발표하였음.
- 국토해양부에서 발표한, 제 4차 국토종합수정계획 (2011-2020)에 따르면, 한반도가 중국과 유라시아 철도망을 연결하는 허브역할을 수행하도록 계획하고 있음. 북한과의 안정적인 협력체계 구축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중국과의 해저터널 건설은 시급한 실정임에도 불구하고, 구체적인 핵심기술의 개발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핵심 요소 기술의 연구가 수행될 경우, 안정적인 철도망을 구축하여 한반도를 경제, 산업적 중심 기점으로의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도록 함.
- 한반도는 환태평양 연안에 위치하고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는 지리적 이점 때문에 과거로부터 꾸준히 해양과 대륙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해 왔으며 향후도 무한한 잠재력을 가진 경제시장과 인접하여 주변 국가를 연결해주는 허브역할이 가능함.
- 최근 한중, 한일 해저터널과 같은 메가 프로젝트가 구체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해저터널 건설기술에 대한 끊임없는 관심과 개발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며 이를 통해 21기 동북아 물류 유통의 중심국가로 자리매김할 수 있음.
- 초장대 해저터널의 건설로 도서와 도서, 도서와 내륙 및 국가와 국가의 연결이 가능해지므로, 이를 통한 활발한 인적, 물적 이동을 초래하고 사회 문화적인 교류가 증대되어 지역, 사회 및 국가의 발전에 이바지할 것으로 예상됨.
- 2009년 이후 조직, 운영되고 있는 ‘녹색 성장 위원회’의 주요 추진 전략 중 하나인 ‘저탄소 배출형 녹색 교통수단으로 전환’의 일환으로, 철도의 운송비율 증진이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음. 본 연구를 통해 해저터널 건설에 필요한 핵심 기술이 개발될 경우, 위의 추진전략 실행에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또한, 본 연구 성과의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해저터널 관련기술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확대를 기대할 수 있음.
활용방안 - 한반도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대륙 및 국가 또는 도시 간을 연결하는 해저터널 공사가 필수적이며, 본 과제를 통해 개발된 기술은 가상프로젝트 및 현장적용을 통해 검토한 후 실제 해저터널 현장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따라서 세계적인 해저터널 시공 추세에서 초장대 고심도 해저터널 관련 기술을 선도할 수 있음.
- 본 과제는 1) 초장대 해저터널 계획을 위한 최적 지질·지반조사 기술 개발, 2) 해저터널 설계·시공을 위한 핵심 요소 기술 개발, 3) 해저터널 설계·시공 시 안정성 평가 기술 개발, 4) 초장대 해저터널의 화재 및 유지관리 기술 개발로 총 4가지 연구 과제로 나뉘며, 각각의 연구는 초장대 및 고수압 해저지반 지하에 건설되는 해저터널 건설 및 운영에 활용될 것으로 판단됨.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해저터널 지질·지반조사 터널 리스크 차수 공법 화재 및 유지관리
영문 Subsea tunnel Geological and geotechnical investigation Tunnelling risk Leakage prevention method Fire and maintenance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해저터널연구단]최종보고서보완본(총괄)_업로딩.pdf   다운로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