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하수 슬러지를 이용한 친환경 건설재료의 제조 및 활용 기술 개발1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건설기술연구사업 과제번호 03CCTI-C041232-01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None | None | None 적용분야 -
2순위 None | None | None 실용화대상여부 -
3순위 None | None | None 과제유형 -
과제명 하수 슬러지를 이용한 친환경 건설재료의 제조 및 활용 기술 개발
주관연구기관 전북대학교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소양섭
소속 전북대학교 직위 교수
기관 대표번호 063-270-2289 FAX 063-270-2421
총 연구기간 2003-12-30 ~ 2005-12-29
당해연도 연구기간 2003-12-30 ~ 2004-12-29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1차년도 229,000,000 15,000,000 70,640,000 85,640,000 314,64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
최종목표 ○하수 슬러지의 유효처리와 동시에 부산물로 발생되는 경량골재를 고부가성 경량 건설 및 환경 재료로 활용하기위한 기술개발
연구내용 및 범위 -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1차년도 ○하수 슬러지를 이용한 초경량골재의 제조조건 확립 및 품질성능 파악 ○슬러지의 최적 전초리 방식 도출
○사용용도에 따른 적정 배합비 도출
○슬러지 성사에 따른 골재 성형 조건 확립
○슬러지 성상에 따른 소성 조건 확립
○로터리 킬른 운전 및 시제품 제작
○제조된 제품의 품질시험 및 환경 안정성 시험
○개발제품의 활용도 제시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하수 슬러지의 완전 처분과 재자원화 동시 실현 효과
○중금속 등 유해 물질의 소결 고정화 용융화 동시 달성으로 환경무해화 실현
○난분해성 유해성분을 함유한 폐기물의 안정화 고형화 무해화 기술로 활용
○자원 에너지 절약형 순환형 친환경 건설산업 체계 구축을 통한 원가절감, 수입 대체효과, 도심 생태계 복원효과 기대
○여러 제조조건 확립에 따른 품질의 다양화로 인해 친환경적 건설재료에 대한 규종 및 개발 촉진을 위한 기술정보 제공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선진국의 소각처리 시설설비의 기술수입 상태로부터 국산화 기술자립 및 연란 내수 수백억원 규모의 수입대체 효과 얻음
○ 폐기물의 자원화 및 고부가가치로 국가 경쟁력 향상에 기여
○산업적으로 중소기업형 특화기술로 활용할 수 있으며, 또환경분야의 틈새시장공략이 가능하여 단시간내 시장우위 확보가능
○국개 가용 천연골재자원의 부족현상이 발생하고 있는데, 부족분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 될수 있음
활용방안 ○중앙 지방 정부의슬러지 처리기술 관련 기술개발 촉진 및 활성화에 활용
○기타 유사폐기물의 1단계공정으로 감량화 안정화 및 제품화 달성
○슬허지의 재활용 촉진 및 고부가 가성 친환경 건선자래로 활용
○슬러지 처리 관련 구정의제도화에 기술자료로서 제시
○하수슬러지 처리 기술 독점사용허락/설계, 시공, 운전기술 제반 기술 이전
○슬러지 재활용 플랜트 설비 구축을 위한 기반기술로 활용
○제지, 염색, 폐수 슬러지 배출 산업체 및 슬러지 위탁처리업체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하수 슬러지 재활용 초령량골재 - -
영문 sewage sludge recycling super light-weight aggregate - -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0757_하수슬러지를 이용한 친환경 건설재료의 제조 및 활용기술개발.pdf   다운로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