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능동형 하천정보 운영을 통한 다차원 하천관리 체계 구축 및 활용기술 개발2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물관리연구사업 과제번호 17AWMP-B121100-02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건설 교통 | 수공시스템기술 | 달리 분류되지 않는 수공시스템기술 적용분야 교통/정보통신/기타 기반시설
2순위 건설 교통 | 수공시스템기술 | 수자원 통합관리기술 실용화대상여부 실용화
3순위 건설 교통 | 수공시스템기술 | 수리 수문 조사 해석기술 과제유형 개발
과제명 능동형 하천정보 운영을 통한 다차원 하천관리 체계 구축 및 활용기술 개발
주관연구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여홍구
소속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직위 연구위원
기관 대표번호 031-910-0114 FAX -
총 연구기간 2016-09-15 ~ 2021-09-14
당해연도 연구기간 2017-04-01 ~ 2017-12-31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2차년도 635,000,000 12,033,400 108,300,600 120,334,000 755,334,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1세부]

- 기후변화 등의 환경 변화와 다양한 하천사업 및 유지관리 방향의 변화로 새로운 하천환경 평가 패러다임과 관리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으나 하천환경·친수에 대한 정보가 미미하여 향후 고도화된 하천관리를 위해 하천환경 및 친수에 대한 정보 구축 및 진단기술 개발이 필요

- 정량화 DB를 이용한 하천공간기반 환경·친수평가 및 치수 효과/단위구역 설정·평가 기술 개발
· 하천환경사업 의사결정 지원체계 개발
· 치수단위구역 설정 기법 제안 및 치수사업 우선순위 결정 기법 조사(이론적 연구단계)
· 하천친수평가기술개발
· GIS/GS 기술을 이용한 하천환경 조사 및 분석

- 하천이용확대를 위한 친수정보 생산기술 개발

[2세부]
- 본 연구는 하천 시설 및 공간정보의 통합관리를 위한 시스템을 개발하는 연구이며 하천 시설 및 공간정보에 대한 현행화 방안 및 법제도 개선안 제시를 통해 생애주기관리기술을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함

- 저비용·이동형 하천공간 측정 기술을 개발을 통해 하천공간 구축의 경제성을 향상시키고 고해상도 공간정보를 구축하고자 함

- 기존의 하천공간정보 시스템은 1,2차원 기반의 정보로 본 연구를 통해 3차원 GIS 기반 다차원 하천정보 제공 기술을 개발하여 사용자 맞춤형 친수정보 제공 가능

- 하천공간정보와 VR(Virtual Reality)/AR(Augmented Reality) 등의 복합현실(MR: Mixed Reality) 기술을 융합한 다차원 하천공간정보 서비스 개발 및 활용연구 수행

[3세부]
- 국가기본공간정보 표준 프레임과 연계한 다차원 하천공간정보의 표준 개발
- 하천시설 운영관리 정보통합을 위한 표준 정보프레임워크 및 기술정보표준규격 개발
- 다차원 하천공간정보 표준 기반의 통합하천 DB구축 및 DB관리/운영 기술 개발
-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 개발을 통한 다차원 하천공간정보의 활용, 공유 체계 도입
최종목표 [1세부]
능동형 하천정보 운영을 기반으로 치수/환경성 등 하천기능의 균형과 조화를 위한 전국단위 통합 하천관리체계 구축 및 활용 기술 개발
- 치수안전도 및 하천환경/친수 평가기술 개발

[2세부]
○ 하천시설 생애주기 관리기술개발
○ 저비용 이동형 3차원 기반 하천시설정보 구축 기술 개발
○ 실시간 하천관리 모니터링을 위한 3차원 기반 수요자 맞춤형 하천정보 제공 기술 개발
○ 하천시설 정보프레임워크 및 기술정보표준규격 개발
○ AR/VR 등 복합현실 기술 동향 분석과 하천관리분야 적용성 연구 수행

[3세부]
다차원 하천공간정보 관리체계 선진화 기술 개발
연구내용 및 범위 [1세부]
- 하천사업 치수효과 평가 및 투자 우선순위 평가기술 개발
· 치수단위기반 치수 사업평가 시스템 고도화 및 실용화방안 수립
- 홍수 위험지역 기반 치수단위구역 설정 및 평가기술 개발
· 치수위험도 통합평가 모형 개발
- 국가하천·지방하천 대상 정량화된 DB를 활용한 하천환경 및 친수평가기술 개발
· 하천환경 진단 예측 플랫폼 구축
· 하천환경/친수 평가 지침/기준화 제시 중장기 운영계획 수립
- Bayesian Network 기반 치수위험도 평가 모형 개발
- 하천 친수공간에서의 수질적 인자뿐만 아니라 수리적인 인자를 포함한 친수활동 지수개발을 통해 수면과 육역의 친수공간에서의 다양한 기능을 고려한 하천친수 평가기술을 개발
- 하천 친수공간 이용지표 개발을 위한 친수정보 구축체계 제안
- 사용자 중심 하천 친수공간 정보 제공 Framework 개발(빅데이터기반 친수공간 이력 및 선호도 확인방법 구축)

[2세부]
○ 하천시설 생애주기 관리기술개발
- 하천시설 관리업무지원 모듈 개발
- 생애주기별 하천시설평가기술 개발
- 하천공간정보 관리 법제도 개선안 제시
○ 저비용 이동형 3차원 기반 하천시설정보 구축 기술 개발
- 3차원 하천시설정보구축 기술 개발
- 하천시설정보 구축 센서 및 플랫폼 최적화 기술개발
- 하천시설정보 구축 시스템의 표준화, 최적화, 안정화
○ 실시간 하천관리 모니터링을 위한 3차원 기반 수요자 맞춤형 하천정보 제공 기술 개발
- 클라우드 연계형 사용자 맞춤형 다차원 하천 및 친수정보 표출 시스템(STREAM:Suitable 3D for River Eastablishing Application Management) 개발
○ 하천시설 정보프레임워크 및 기술정보표준규격 개발
- 하천시설 운영관리 정보통합을 위한 표준 정보프레임워크 개발
- 하천시설 운영관리 정보통합을 위한 기술정보표준규격 개발
- 하천시설 운영관리 정보통합 콘텐츠 시범구축 및 가이드라인 개발
- 하천시설 기술정보 구축기술 TEST-BED 및 평가 반영
○ AR/VR 등 복합현실 기술 동향 분석과 하천관리분야 적용성 연구 수행
- AR/VR 등 복합현실기술 동향 연구
· 최신 트랜드 및 정보분석을 통한 기술동향 파악
·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복합현실(MR) 등의 활용가능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분석
- 하천관리분야 복합현실(MR) 적용성 연구
· 하천공간정보와 가상·증강·복합현실 기술 융합방안 연구
· 수요자 맞춤형 하천공간정보 시각화를 위한 콘텐츠, 플랫폼, 디바이스 연구

[3세부]
○ 다차원 하천공간정보 관리체계 선진화 기술 개발
- 다차원 하천공간정보 표준 개발
· 다차원 하천공간정보 표준화 및 DB구축 전략 수립
· 다차원 하천공간정보 관리 및 운영을 위한 제도적 개선 방안 제시
· 통합 하천공간정보 활용 방안 제시
- 다차원 하천공간정보 통합시스템 구현 기술 개발
· 다차원 하천공간정보 통합시스템 서비스 방안 수립
· 하천 공간정보 서비스를 위한 Open API 및 관리 기술 개발
· 3차원 하천시설관리를 위한 BIM 정보 활용 기술 개발
· 공간정보 표준 인터페이스 개발
· 하천 공간정보 서비스를 위한 Open API 기술 개발
- 다차원 하천공간정보 통합 DB운영 기술 개발
· 국가차원의 다차원 하천공간정보 관리를 위한 통합 방안 수립
· 하천정보 생성주기를 고려한 DB관리 체계 수립
· 통합 하천정보 활용성 증대 방안 제시
· IT환경 및 기후변화에 탄력적 대응 가능한 통합 DB 확장성 확보방안 제시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2차년도 1세부
- 하천환경 평가를 위한 주요인자 DB 구축 체계 및 하천평가기술 정립
- 치수단위구역 설정 및 치수사업 평가 기반기술 개발
- 치수위험도 평가모형 개발
- 하천 친수공간 이용지표 및 사용자 중심 친수기능 확보 기술 개발
2세부
- 하천관리업무지원시스템 통합 및 연계
- 하천공간정보 구축 센서 및 플랫폼 최적화 기술 개발
- 하천관리 모니터링을 위한 사용자 맞춤형 친수정보 시범 서비스(STREAM)의 시스템 기반 구축 및 모듈 개발
- MR기반 하천공간정보 시각화 파일럿 구축 및 적용시나리오 도출
3세부
- 다차원 하천공간정보 표준(안) 개발 및 확장
- 하천시설 운영관리 정보통합을 위한 표준 정보프레임워크 개발
- 다차원 하천공간정보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 설계 및 기반 기술 개발
- 다차원 하천공간정보 DB 구축 표준절차 확립
1세부
- 하천환경 평가를 위한 DB 구축 체계 정립 및 주요인자 DB 구축 방안 수립
· GIS/RS 기술 및 첨단센서를 이용한 하천환경 인자조사 및 적용성 평가
- 전국 DB 기반 하천평가기술 정립
· 하천환경 평가를 위한 인자 및 지표 추출기술 개발
· 정량화된 하천평가 인자 시스템 구축
- 하천친수평가 인자 및 지표 추출 기술 개발
- 치수사업 경제적 효과 평가를 위한 MD-FDA 개선 및 CDMS 개념 설계
· 기존 MD-FDA(다차원홍수피해산정법) 문제점 분석
· 국내 실정을 고려한 MD-FDA 개선 기술 개발
· 개선 MD-FDA를 위한 CDMS
- 치수사업 투자우선순위 평가 및 효율적 예산배분을 위한 기초연구
· 치수지표 기반 투자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활용지표 조사 및 정의
· 다양한 공간단위를 고려한 치수지표 분석 및 평가(1)
· 치수지표 지원 시스템 구축을 위한 DB 구축 및 프로토타입 설계
· 치수지표 개발에 필요한 시공간 자료 수집 및 구축
· 지자체별 치수사업 예산 배분을 위한 배경분석 및 의사결정 구조 검토
- 전국 범위 치수단위구역 개념 정립 및 작성
· 관계 정부부처 주요 치수계획에서의 관리구역 단위 조사
· 전국범위 치수단위구역 작성(.shp)(권역별)
- 빅데이터 및 Bayesian Network Learning 기반의 치수위험도 평가 모형 개발
· 강우, 홍수, 피해 등의 원인관계를 고려한 Network 알고리즘 개발
· 빅데이터를 고려한 확률모형 구축 및 Learning 알고리즘 개발
- 하천 친수공간 이용지표 개발을 위한 친수정보 구축체계 제안
2세부
- 하천관리업무 지원시스템 통합 및 연계
? 시스템 체계도 및 기존 및 타 시스템과 연계방안 도출
? 하천관리업무 항목구성
? 제공가능 자료 수준 및 형태 조사
- 하천시설관리대장 및 이력관리 전산화방안 수립
- 생애주기별 요구자료 조사 및 제공방안 수립
- 개별 센서 성능개선 기술 개발 및 데이터 구축에 있어 대상물에 대한 특성 및 센서 유형에 따른 오차요소 분석
- 센서 융합 모듈 제작 및 통합시스템 안정화 기술 개발
- 개별 센서 성능 극대화를 통한 융합 플랫폼 최적화
- Suitable 3D GIS 융합형 하천정보 제공 기술 핵심 알고리즘 개발
? 고해상도 데이터 GIS 매칭 및 자료 가공 알고리즘 개발
? 3D 융합기술 알고리즘 개발
? 3차원 그래픽스 기반 표출 모듈 개발
? 하천정보 3차원 시각화 기법 개발
- 사용자 맞춤형 하천정보 제공 서비스(STREAM) 상세 기능 설계
? 시스템 아키텍쳐 설계
? 수요자 Needs별 Flexible UI 시스템 설계 및 비주얼 모델링
? 인터페이스 설계 및 Framework 표준화 방안 적용
? Suitable 3D 기술 기반 서비스 시스템 구성 (안) 설계
- 시각화 파일럿 구축 및 핵심기술 설계
? 연구목표를 위한 사전 시각화 파일럿 모델 및 시스템 구축 및 주요 핵심모듈 및 기능설계
- 하천 VR 핵심기술 개발
? 360도 파노라마 이미지, 동영상 스트림 기술을 융합한 시각화 핵심기술 연구
? 사전 파일럿 구축을 위한 하천공간정보 가상현실 시각화 기술 연구
? HMD(Head Mounted Display) 가상현실 디바이스를 이용한 시각화 및 활용방안 연구
- 하천 AR 핵심기술 개발
? 하천공간정보 시각화를 위한 증강현실 시각화 핵심기술 구현연구
? 사전 파일럿 구축을 위한 모바일형 증강현실 디바이스를 이용한 시각화 및 활용방안 연구
- 하천 MR 핵심기술 개발
? 하천공간정보 시각화를 위한 복합현실 시각화 핵심 기술 구현연구
? 사전 파일럿 구축을 위한 복합현실 디바이스를 이용한 시각화 및 활용방안 연구
- 적용 시나리오 도출
3세부
- 다차원 하천공간정보 표준(안) 개발
? 하천 및 유역정보 기반의 하천공간정보 표준(안) 설계 및 DB 스키마 개발 (프로토타입)
- 다차원 하천공간정보 표준(안) 확장
? 온톨로지 및 시멘틱 웹 검색 표준안 설계
? 하천공간정보 수집 및 표준(안) 반영 방안 구축
- 시계열 하천공간정보 표준 설계 방안 구축
? 국내 시계열 하천공간정보 포맷 및 표준안 설계 및 현형 기술적/학술적 한계 분석
? 시계열 현장관측자료(하천 지형 등) 도입 방안 구축
- 다차원 하천공간정보 관리방안 수립 (위탁)
? 기존 하천공간정보 관리 현황 검토 및 문제 분석
- 하천시설정보의 통합적 표준 정보프레임워크 구성체계 개발
. 하천시설 정보프레임워크 일반사항 및 업무표준 정의/업무절차/수행관리 정의/작성기준 및 기술정보규격 정의
- 하천시설 유지운영 기술정보표준규격 개발
. 하천기본정보(네트워크/공간정보)와 하천공사정보(조사계획) 기술정보규격 개발
- 다차원 하천공간정보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 프레임워크 설계
- 표준절차 확립 위한 DB 시범 구축
? 시범구축 대상지역 범위 선정
? 데이터 유형별(공간, 속성, 파일 등) DB 저장 구조 설계
- 다차원 하천공간정보 DB구축 표준절차 확립 및 표준화 모듈 개발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1세부]
- 하천치수사업 효과 평가 및 투자우선순위 평가시스템 개발
· 하천 치수사업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을 통해 향후 효율적인 치수사업의 도입 가능
· 투자우선순위를 통한 지역별 하천사업 중요도 평가 가능
- 전국범위 치수단위구역 설정
· 전국범위로 통일된 재내지 홍수피해구역을 통일화 시킬수 있는 관리기술 확보
- 기술선도국 수준의 치수위험도 평가기준 수립방안 제시
- 하천 전체 친수공간(육역 및 수역)에서의 다양한 인자를 고려한 하천친수 평가기술을 개발하여 국내 친수활용 빈도를 극대화 하고, 개발된 하천친수 평가기술은 유관기관에서 활용 가능
- 기존 하천 관련 정보시스템을 연계 통합한 정보관리체계를 구축함으로써 관련 자료들의 표준화, 중복성 제거, 일관성 유지 효과
- 전국단위 하천관련 자료를 효율적으로 유지?관리함으로써 국가 하천종합대책 마련을 위한 기반 조성 및 지자체 하천관련 업무 효율화 증대

[2세부]
- 하천관리업무지원 시스템은 돌발적인 상황발생에 대한 리스크 요인을 최소화하고 유지보수비용의 절감, 사업기간 단축, 생애주기별 다양한 보수보강기술을 제공하여 효율적인 맞춤형 관리 유도가능
- 생애주기별 하천시설 평가기법을 통해 하천성능에 대한 정량적인 기준을 제시하여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관리기술 개발
- 하천 및 기반시설물 정보 표출/가시화가 가능한 3차원 그래픽스 활용기술 체계 확보
- 3차원 공간영상정보처리 및 융합 기술 확보를 통한 하천공간 정보 제공체계 고도화
- 사용자 별 맞춤형 하천환경 정보제공을 통한 하천 정보관리 체계 고도화 및 분석 기술 확보
- 3차원 하천 지형정보 기반 관리 체계 확보 및 하천지현 변화 양상 가시화를 통한 의사결정 지원
- 가상세계와 현실의 연결고리를 강화한 복합현실 기술을 이용한 하천공간정보 활용기술을 통한 하천공간정보 시각화 기술의 혁신 선도
- 2D기반의 기존의 하천공간정보를 3차원기반의 수요자 맞춤형 하천정보를 제공기술을 통해 보다 직관적이고 풍부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활용 기술 증대
- 가상·증강·복합현실 기술과 멀티디바이스 연동을 통한 HMD(Head Mount Display), 모바일기기, 웨어러블 장비를 연계한 복합현실 시각화 기술 증대
- 3차원 하상공간 정보 구축 기술
· 물 속의 지형을 3차원으로 측량하여 정확한 하상공간정보 구축 기술 확보
- 하천의 수리해석을 위한 지형정보 제공
· 3차원 하상공간정보를 구현함으로서 수리해석에 필요한 정확한 지형자료 제공 가능

[3세부]
- 사용자 증가 및 갑작스런 트래픽에 대한 시스템 요구량 증감에 따른 자동 확장, 축소 가능
- 다수의 사용자가 자원을 나누어 사용하므로 인프라의 집중화로 인한 비용절감, 최대용량 증가, 시스템 효율성 향상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1세부]
○ 경제적?산업적 측면
- 투자우선순위평가시스템
· 하천사업의 우선순위 평가로 인한 하찬사업 투자비용 적절성 확보
· 연간 약 1조 2천억원에 달하는 기상재해 피해 복구비용 절감 가능
· 치수사업의 적절성 평가로 인한 과잉 투자 방지
- 확률론적 인명 및 재산 위험도 평가에 따른 경제학적 편익 추정방안 제시
- 친수공간의 효과적인 활용 및 운영관리를 위한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하천관리 주체의 재정적, 인적부담 저감
○ 사회적 측면
- 하천방재분야 치수사업관련 사후관리 모니터링 등 확률론적 관점에서 다양한 인자를 효과적으로 고려한 객관적 합리적 평가 방안 제시
- 친수활동지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하천친수공간에서의 친수활동 증대로 인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2세부]
○ 경제적?산업적 측면
- 하천관리 업무지원시스템을 통해 행정업무 시간을 단축시키고, 업무와 연계된 정보의 공유 및 전달체계의 효율화로 시간 및 비용 절약 가능
- 현재 대부분의 하천관리 시스템은 국가하천을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지방하천을 관리하는 지자체는 개별적으로 시스템을 구축하는 실정이므로 전국단위의 하천관리가 가능한 시스템의 도입으로 인해 지자체별로 소요되었던 하천관리 시스템 인프라 구축 바용을 절감할 수 있음
- 하천관리에 대한 선진기술 보유로 해외수주 경쟁력을 확보하여 세계시장 진출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가능
- 하천정보 표출/가시화를 통한 유관 기관 간 업무 연계 및 공유, 대국 및 하천정보 서비스 가능
- 하천공간정보 및 수자원 DB연계를 통한 하천정보 관련 시스템 관리 및 행정 일원화 가능
- 3차원 하천 정보 및 친수환경 컨텐츠 연계를 통한 대국민 하천환경 이용 서비스 확보
- 가상·증강현실이 가능한 디바이스의 확산, 증강현실 앱 및 서비스의 증가, 사용자 니즈 등에 힘입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가상화장비 등의 최첨단 정보통신장비의 급속한 보급과 시장 확대 기대
- 가상·증강현실의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만을 강화한 복합현실기술을 하천공간정보 분야에 접목한 활용연구 선행사례 제시
- 복합현실 시각화 기술을 통해 의사결정을 신속·정확하게 지원할 수 있는 공공서비스 산업 활성화 기대
- 하상공간 측량 비용 절감
· 기존 하상측량에 사용되던 R2V2 보트(최대 속도 : 2.5 m/s)보다 빠른 z 보트(최대 속도 : 4 m/s)의 사용으로 측량 시간 단축
· 공간을 3차원으로 스캔하여 측선을 따라 선의 형태로 측량해오던 방법에 비하여 대상 공간의 정보를 빠르게 생성
· 자동항법 기술 활용으로 현장 인력 절감
- 안전사고로 인한 인명피해 저감
· 측정 장비의 무게로 인하여 유인 보트를 활용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인명 피해 방지

○ 사회적 측면
- 하천관리업무지원 시스템을 통해 하천의 효율적인 관리로 자원의 낭비를 막고 SOC 투자비용의 절감효과를 통해 건설산업의 신성장동력 창출 가능
- 통합 관리/표출 기술 개발을 통한 국제사회에서의 하천/수자원 분야 국가 위상 향상
- 친수, 재해, 물이용 레저, 문화 등 국민 생활에 밀접한 하천정보 제공을 통한 국민 삶의 질 향상
- 하천 및 시설물 위험 예경보, 재난 대비 지도, 재해관리 정보 등의 제공을 위한 기반 확보
- 스마트폰을 필두로 하여 가상·증간현실에 대한 대중의 관심도가 지속적으로 증대
- 과거 게임, 테마파크 등의 놀이문화와 시뮬레이션 분야에서 제조,건설, 국방, 교육, 경영, 문화 및 의료분야에 이르기까지 전범위에 활용사례가 증대
- 특히 공공서비스의 주요 콘텐츠를 가상·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맞춤형 수요자 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과 활용사례 증대
- 홍수전·후 하상변화 측정
· 홍수로 인하여 하상의 변화 발생
· 퇴적과 침식으로 하천 시설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홍수피해 절감
- 댐 및 저수지의 수심-내용적 측정

[3세부]
○ 경제적?산업적 측면
- 고용창출 가능성 등 국가 신성장 동력화 증대에 기여
- 친수공간정보 제공으로 국민 여가 증진 및 경제활동 촉진
- 시설, 에너지, 인력 및 프로세스 등 유지관리비에 대한 비용절감
- 정보를 신속하게 수집해 분석하고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으며 작업 위치에 관계없이 안전하게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어 생산성 증대

○ 사회적 측면
- 하천공간정보 통합관리 체계 구축을 통해 정책입안, 하천관리, 대국민 서비스 등 하천공간정보의 전 수요자 계층에 대한 다양한 자료 제공 및 활용성의 극대화
- G-cloud나 V-world 등의 공공서비스 시스템에 3차원 공간정보를 등재하여 국민 편의 증대-정부 3.0과 부합하는 국가하천정보 공공서비스 제공함으로써 공공부문 투명성 제고
- 국민생활 밀착형 친수 하천정보 제공
활용방안 [1세부]
○ 행정·정책적 부분
- 치수위험요소 및 사회경제적피해 간에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기계학습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근거하여 치수사업 투자우선순위결정 등 의사결정과정에 필요한 정보 제공
○ 분석 및 시스템 지원 부분
- 상호의존성과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도출된 치수위험도평가가 기존의 정성적 관계에서 정량적 관계로 정의됨으로써 향후 취약성 분석, 위험성 분석 등 의사결정 지원을 위해 도출해야 하는 결과값의 과학적 접근이 가능
- 분석기법과 DB 구축을 통해 시스템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료의 효율적 관리로 인한 업무수행 시간 및 비용 절감효과를 도출
○하천친수 평가기술을 친수공간 유지관리 및 유관기관(홍수통제소, 수자원공사, 지자체 등)에 제공하여 효과적인 친수공간활용 및 유지관리에 활용

[2세부]
○ 하천의 공간 및 시설정보의 통합화로 인해 정보의 정확도와 업무의 효율성이 향상되며 시스템 활용을 통해 적정 예산 목표관리수준 등을 고려한 최적 의사결정 대안을 제공하는 수준까지 발전가능
○ 생애주기 고려를 통해 하천시설 유지보수의 우선순위결정 및 예선 투입에 따른 효과 분석이 용이하여 예산 활용 및 배분의 효율성 제고
○ 기반기술 융합형 하천관리 기술을 통한 국가적 기술력 제고
-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되는 다차원적 하천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통합적인 하천관리 및 치수 계획이 가능하며, 이를 토대로 지속가능한 확장성을 제시 가능

○ 물관리 선진국으로서의 위상 확보 및 ODA 사업을 통한 개발도상국에 기술 지원 가능
- 3차원 하천관리라는 다각도 측면의 관리 도구 확보를 통해 ㈜지오씨엔아이가 지속적으로 진행하고있는 ODA 사업으로의 확장이 가능
○ 국민 생활 밀착형 하천문화 개발을 통한 정부 3.0이 지향하는 정보 공개 서비스 지원 가능
- 친수공간에 대한 시각화된 정보 제공을 통해 문화, 레저, 관광 등 국민생활 밀착형 하천문화, 환경 정보 제공 서비스 활용
- 국민들로 하여금 친숙한 하천 문화를 제공함으로서, 국민들의 여가시간을 국가에서 적극 장려할 수있을 뿐 아니라 하천 관리 대책 측면에서도 시민이 가지고 있는 N-Device를 활용한 1인 1 감시체계를 확보할 수 있음
○ 빈번한 수재해 예방 측면의 방재 공조 체계 확립 가능
- 하천정보 가시화 체계 구축을 통해 수재해 관련 업무 지원을 위한 방재 체계 구축 기반 활용
- 공무원-연구원-시민 간의 협조체계 및 피드백 활용을 통해 신속한 재해 대책의 근거 자료로 활용 가능
○ 본 과업을 통해 개발된 복합현실기술은 국내 시장 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으로의 진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하천관리 및 활용 분야에 대한 국가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 복합현실기술과 하천공간정보 연계 기술은 국내외적으로 아직 활성화되지 않은 영역으로 지적재산권 확보, 기술이전, 로열티 등의 많은 경제적 이익 창출이 가능함

○ 하천정보 이외에 게임, 교육, 관광, 환경 등의 분야와 연계·활용 가능함
○ 실용화, 안정화를 통한 상품화 가능
○ 현장 적용
- 현장 시범 운영을 통해 안정성과 정확성에 대한 성능 확보 가능
○ 제품 실용화
- 하상의 공간정보 구축 기술의 개발을 통해 하천관리 실무자 및 관련 업체에 기술 정보 제공
- 하상공간정보 수요자에게 필요한 자료 제공

[3세부]
○ 중앙정부 및 지자체
- 국가 및 지방하천 치수사업 예산 관리에 활용
  - 전국단위 치수사업 우선순위 평가에 활용
  - 전국 치수단위구역 단위 최적 치수대책 발굴 및 시행
  - 각종 홍수관련 정보의 일괄 관리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홍수관리 대책 발굴
  - 전국단위 하천공간의 입체적 관리
  - 하천공간 및 하천시설물의 실시간 관리
  - 생애주기별 하천시설물 평가 및 관리

○ 설계 시 그 지형, 지역에 대한 데이터와 3차원 시뮬레이션을 통해 재해에 유리한 구조물을 계획할 수 있음
○ 개발도상국의 SOC 구축의 계획에 활용 적용
○ 하천의 홍수 시 하천의 범람에 따른 피해범위 예측 및 방재 대책의 수립
○ 도시지역의 침수범위에 대한 예측
○ 4대강과 같은 하천시설물의 설계 및 유지보수에 활용
○ 효율적인 방재시설의 위치선정 및 효과 검증
○ 하천분야의 증강현실
○ 포탈사이트 지도서비스를 통한 하천지형 3차원 서비스 제공
○ 하천 주변 재해 시뮬레이션 시스템 개발
○ 3차원 하천 지역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 온톨로지기반 다차원 하천공간정보의 시멘틱 추론 및 검색기술 개발
○ 다차원 하천정보 3D 통합관리 플랫폼 개발기술
○ 국가 하천 정보 통합 시스템 개발
○ 외부 연계를 위한 Open API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능동형하천정보 치수환경성평가 통합하천관리 개방형클라우드 다차원하천공간정보
영문 Active river information Environmental evaluation of the flood control Integrated river management Open cloud computing Multi-direction river spatial information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