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해수담수화플랜트사업단과제1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플랜트연구사업 과제번호 06CPTA-A044692-01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None | None | None 적용분야 -
2순위 None | None | None 실용화대상여부 -
3순위 None | None | None 과제유형 -
과제명 해수담수화플랜트사업단과제
주관연구기관 광주과학기술원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김인수
소속 광주과학기술원 직위 교수
기관 대표번호 062-715-2436 FAX 062-715-2584
총 연구기간 2006-12-29 ~ 2014-11-28
당해연도 연구기간 2006-12-29 ~ 2007-11-28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1차년도 2,260,000,000 179,041,000 873,692,000 1,052,733,000 3,312,733,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해수담수화 플랜트 기술은 인류의 물 부족 현상을 해소하고 삶의 기본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근본적 기술로서 최근 관련 기술의 발달과 수요의 증가에 따라 해외 시장이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기술이다. 또한, 기존 시장선도 입지를 활용, 기술 개발 및 플랜트 시공능력의 배양을 통해 세계 시장을 지속 선도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관련 산업의 파급효과와 국부창출을 위한 첨병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가치 있는 사업이다.
최종목표 본 연구사업에서는 RO 막을 이용한 해수담수화 플랜트의 미래 핵심기술개발, 관련 핵심 소재의 국산화, 설계 및 건설 기술 및 안정적인 운영기술 개발을 통하여 대용량(large scale), 저에너지(low energy), 안정성(low fouling)을 확보한 해수담수화 플랜트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기본 목표로 한다. 본 사업단은 해당 기술 개발을 통하여 국내 해수담수화 관련 기술이 해외(중동, 북아프리카 및 미주지역 등)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국제적 경쟁력을 갖추는 것을 최종목표로 한다.
연구내용 및 범위 본 사업의 연구는 4대 핵심연구 분야, 미래기반 기술, 소재국산화 및 공정최적화 기술, 플랜트 설계/건설 기술, 플랜트 유지/관리 기술 연구로 크게 구성된다. 각 4대 핵심 분야의 연구 성과의 적용 및 실용/상용화가 Test bed 건설을 통해서 이루어지면서, 5년이라는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해수담수화 대형플랜트의 상용화뿐만 아니라, 해외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하게 된다.
4대 핵심연구 분야 중, 미래기반 기술 분야에서는 해수수질 정밀분석 기술 개발 및 지역별 해수 수질 데이터 베이스 구축, 담수화용 RO 막 초정밀분석 기술 개발 및 제조회사별 막 성능 데이터 베이스 구축, 막 오염 지수 및 효율 지표 개발, 막오염 사후분석 기술 개발 등을 포함한 향후 경쟁성 있는 미래 담수화기술 개발을 위한 기반구축, 요소기술 개발, 실용화 등이 이루어질 것이다. 소재국산화 및 공정최적화 기술 분야에서는 해수담수화플랜트 공정모사기의 개발, 해수담수화 플랜트 건설소재와 기기의 국산화 및 선진화를 통하여 국제적 경쟁력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 플랜트 설계/건설 기술 분야에서는 대형 플랜트의 설계/시공/시운전, 차세대 하이브리드 방식 담수 공정 기술 개발, 플랜트 상용화 지원정보 구축 기술 개발 등을 통해 대형 규모의 해수담수화 플랜트를 건설하는 목적을 달성함과 동시에, 미래기반 기술 및 소재국산화 기술에서 대형 플랜트(Test Bed)에서 테스트 하는 부분을 담당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플랜트 유지/관리 기술 분야에서는 플랜트 성능 분석, 운전 및 보수 절차 수립과 유지 관리 측면에서 경험과 실적을 쌓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와 같이 본 연구사업에서는 학계의 요소기술, 연구계의 다양한 실험데이터, 실증 플랜트의 경험데이터의 축적을 바탕으로 한 해수담수화플랜트의 실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본 사업단에서는 이와 같이, 산-학-연, 각 계의 기술이 하나로 집약된 Test bed를 직접 설치하고, 개발된 기술을 적기적소에 테스트 해 봄으로써, 비교적 짧은 사업기간 동안 연구 결과의 실용화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플랜트 건설 기술을 획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1차년도 - 상세기획을 통한 세부과제 및 상세예산 도출 등 사업단 추진계획 확립
- 핵심과제별 연구수행을 위한 인프라 구축
- 테스트베드 건설 후보지 기초 수질 분석
- 초정밀 해수 수질 분석기술 확립(I): 기본 수질항목
- 상세기획을 통한 세부과제 및 상세예산 도출 등 사업단 추진계획 확립
- 핵심과제별 연구수행을 위한 인프라 구축
- 테스트베드 건설 후보지에서 해수 샘플링 계획 세우고 샘플링
- 각 후보지의 기초 수질분석
- 초기 각 후보지의 기초 수질 분석 및 평가 후 피드백을 통해 샘플링 방법 및 수질 평가 방법을 보완
- 각 분석방법별 분석원리의 정리 및 각 분석기기의 조정 작업(calibration)
- 분석대상의 복잡성(염도, 경도, 알칼리도, 미네랄, 음이온 농도 등)이 분석을 방해하고 불확실하게 하므로 분석을 하면서 이를 해소할 수 방안을 모색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
활용방안 -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 - - - -
영문 - - - - -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합본.pdf   다운로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