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첨단안전자동차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 기획1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교통물류연구사업 과제번호 08PTSI-C051119-01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건설·교통 | 교통시설·수단·환경 기술 | 달리 분류되지 않는 교통시설·수단·환경 기술 적용분야 -
2순위 None | None | None 실용화대상여부 실용화
3순위 None | None | None 과제유형 개발
과제명 첨단안전자동차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 기획
주관연구기관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한병기
소속 홍익대학교과학기술연구소 직위 교 수
기관 대표번호 02-320-1421 FAX 02-325-6116
총 연구기간 2008-12-08 ~ 2009-09-07
당해연도 연구기간 2008-12-08 ~ 2009-09-07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1차년도 250,000,000 0 0 0 250,00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 첨단안전자동차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 내용과 관련된 국내외 기술동향, 국내 인프라(관련기관 및 기업), 기술수준, SWOT를 분석하여 연구 방향을 설정하고 기존 연구의 연계활용 방안 구축
- 기존연구와의 중복성 검토를 통한 중복투자를 배제, 차별화시키고, 과제별?연차별, 최종 성과물 및 현장 적용시 실효성과 가시적 효과, 기술 로드맵과의 적정성, 과제별 핵심 요소 기술의 제시 및 연구의 가치를 검토하여 각 세부과제별 연구 내용을 체계적이고 실효성 있는 연구가 될 수 있도록 기획
- 목표달성을 위하여 구체적인 추진전략과 추진체계를 갖추고 전문가로 구성된 자체 기획위원 및 국내외 외부 전문가의 의견 및 자문 등을 거쳐 체계적인 RFP 도출
최종목표 - 기존 자동차에 첨단 IT 기술을 융합하여 자동차 안전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첨단안전자동차 시스템에 대한 기술 표준 및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 방향 및 추진전략 수립, 세부 연구개발과제 발굴 및 예상 성과물을 제시
- 국내외 교통환경 및 국제적인 안전규제 기준을 분석하고 이에 부합되는 안전성 평가대상 도출 및 안전관련 시스템의 장착 유도 등에 활용 가능한 첨단안전자동차 표준 및 안전성 평가 기획
연구내용 및 범위 - 첨단안전자동차 관련 국내외 동향조사 및 기술예측
* 국제동향 조사 분석 체계 및 계획
* 시장현황 및 전망, 기술수준(현재, 과제종료시 예측), SWOT 분석, 관련 특허조사
**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중장기 기술 및 시장조사
** 첨단안전자동차 시스템 평가 및 안전/규제 측면의 조사 연구
* 해외 실용화/상업화 추진체계 사례조사 분석
* 첨단안전자동차(지능형자동차) 관련 국제 표준(사실상 표준: de facto standard 포함) 동향 조사
* 국제 규제(Regulation), 안전기준 및 인증 현황 조사
** ISO, NCAP, GTR 등의 국제적 규제에 지속적 대응방안
* 국내 인프라(관련기관 및 기업) 기술수준, 역량 및 기존 연구개발 결과, 시설, 장비의 연계활용 방안
- 국내외 여건을 감안한 안전성 평가 및 표준개발 전략수립
* 국외 기술동향과 국내여건을 감안한 첨단안전자동차 관련 안전성평가 및 표준관련 전략수립
** 표준화 항목 중 외국기준 수용 적용할 표준, 국내 개발기술 보호를 위한 표준, 타 국가 선점 방지를 위한 표준 등 차별화 전략 수립
** 국내 안전기준(안) 등 관계법령 및 제도개선 방안
** 세계기술규정(GTR) 제정 참여 및 주도
* 수행전략별 국제공동연구 파트너와 국내 관련기관 조사
- 첨단안전자동차 표준 및 안전성 평가 연구 기획
* 첨단안전자동차 분야별 기획
** 수동안전기술 표준 및 안전성 평가기술 분야
** 능동안전기술 표준 및 안전성 평가기술 분야
** 능동/수동 통합안전기술 표준 및 안전성 평가기술 분야
* 항목별 기술개발 범위 및 세부목표 설정
* 항목별 기존 연구와의 중복성 검토 및 차별화 전략 제시
* 연차별 가시적 성과물 제시 및 실효성 방안 제시
* 연구목표 달성 여부를 평가할 수 있는 정량적, 정성적 성과목표, 성과지표 및 선정근거를 연차 별로 제시
* 연구내용에 따른 연구 기간 및 예산
** 항목별 연구일정 및 기간
** 내용 및 일정에 따른 연차별 소요예산 및 내역
* 연구목표 달성을 위한 연구 추진전략 및 체계
** 산/학/연 컨소시엄 형태의 추진체계
** 첨단안전자동차의 평가 및 안전 기술 확보 전략
* 강제적인 안전규제가 필요한 첨단안전자동차의 시스템별 분류
** TRM에 의거한 단계별 안전규제 시스템 제시
- 첨단안전자동차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의 파급효과 분석
* 안전성평가 기술 관련 교통사고 발생 현황
* 안전성평가 및 표준기술 개발에 의한 교통사고 감소효과
* 시장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
** 수입대체 및 수출효과, 수입단가 인하효과 등 포함
* 정부지원의 타당성
* 정책적 제언 및 기타 상업화사업 추진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
- 첨단안전자동차 안전성평가 기술기획 연구를 통하여 '첨단안전자동차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 연구과제의 비전 및 목표를 설정하고 분야별 세부과제 선정과 함께 연구개발 목표를 제시
- 이를 수행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네가지 분야로 기획연구 수행
- 첫째, 과제 총괄, 제도?정책 및 파급효과 분석 기획. 둘째, 수동안전기술 표준 및 평가기술 개발 기획, 세 번째, 능동안전기술 표준 및 평가기술 개발 기획, 마지막으로 능동/수동 통합안전기술 표준 및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 기획함
- 또한 각계각층의 전문가를 기획위원으로 위촉하여 충분한 자문 및 의견 수렴을 통해 연구 개발의 당위성을 확보하고 방향 및 내용 조정을 함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1차년도 첨단안전자동차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 연구목표 수립 및 세부과제발굴 등 기획보고서 도출

- 첨단안전자동차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목표, 개발방향 및 추진전략 수립, 세부 연구개발 과제발굴 및 예상 성과물 제시 등
- 자체 기획위원 및 외부 전문가 적극 활용 등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 첨단안전자동차 기술은 교통사고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로써 관련 시장에서의 경제적 이익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크기 때문에 국가전체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술개발이 필수적임
- 첨단안전자동차 상용화시 교통사고로 인한 사상자수 40% 이상 저감 목표로 첨단안전자동차 개발 및 보급
- 국내 산. 학. 연 기관들이 첨단안전자동차 안전성 평가기술의 주요 핵심기술을 개발 및 확보하여 자동차 선진국의 기술 독점으로 인한 기술종속 정책에 효과적 대처
- 첨단안전자동차 개발시 수동안전분야, 능동안전분야 및 능동/수동 통합안전기술 등에 대한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을 통하여 경제성 있고 실용적인 첨단안전자동차 개발할 수 있는 기반 조성
- 첨단안전자동차의 충돌안전성 향상을 위한 운전지원, 경고 및 제어장치의 안전성평가 기술개발을 통해 센서, 제어 및 관련 부품 기술의 발전에 기여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 첨단안전자동차 기술에 의해 운전자의 운전 부담 경감과 편의성, 안전도를 향상시킴으로써 교통사고로 인한 인명 및 재산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국가적인 차원에서 연간 18조원 이상의 사회적 비용 절감 기대(국가과학기술위원회, 국가기술지도, 2002. 12)
- 충돌 상호안전성을 확보함으로서 차 대 차 충돌 사고로 인한 인명 및 재산 피해감소, 경차 또는 소형차 등의 강성 증대에 따른 중량 증가로 인한 연료소비율 저감 및 배출가스 증대 등과 같은 문제점 경감에 일조
- 안전도 종합평가등급 산정으로 소비자에게 알기 쉽고 효과적인 정보제공과 제작사에게 안전도가 향상된 자동차 개발 지속유도
- 첨단안전자동차 시스템의 핵심부품 및 기술을 조기 개발함으로써 기술 경쟁력 강화 및 핵심 기술에 대한 해외 의존도를 탈피함으로써 핵심기술의 선점에 따른 새로운 산업수요를 창출할 수 있으며, 평가기술 개발을 통한 신기술 시장진입 가속화에 기여
- 첨단안전자동차 관련 산업인 센서, 레이저, 엑츄에이터 등과 같은 전자분야와 제어 및 통신분야 신규사업의 발달로 대규모 인력 고용효과
- 첨단안전자동차 기술을 통한 교통사고 감소에 따른 도로정체 감소, 교통소통의 원활화 등으로 인하여 도로 효율성 증대효과 기대
활용방안 - 세부 연구과제별 연구목표 및 주요연구내용을 명확하게 제시하여 본과제 공모시 활용
- 첨단안전자동차 기술 및 평가기술항목을 세분화하고 국내 안전기준 및 시행세칙 제,개정 계획 구체화
- 이를 통하여 UN/ECE/WP.29 등 안전기준 국제조화에 대처하기 위한 중장기 계획 수립 구체화
- 정부에서 시행중인 “교통사고 사상사 절반 줄이기” 등의 교통안전 사업과 시너지 효과 가능
- 첨단안전자동차 관련 신기술에 대한 안전성 평가기술 확보로 신기술의 시장진입 가속화 및 국내 자동차 산업의 활성화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첨단안전자동차 안전성 평가기술 능동안전 수동안전 통합안전
영문 Advanced Safety Vehicle Safety Evaluation Technology Active Safety Passive Safety Combined Active and Passive Safety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0659_첨단안전자동차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 기획.pdf   다운로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