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환경친화적 연안역 개발기술 기획1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국토교통기술지역특성화사업 과제번호 08CRTI-C050277-01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건설·교통 | 건설계획·설계기술 | 국토·지적·도시 계획·설계 기술 적용분야 -
2순위 None | None | None 실용화대상여부 실용화
3순위 None | None | None 과제유형 응용
과제명 환경친화적 연안역 개발기술 기획
주관연구기관 공주대학교산학협력단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정상만
소속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직위 정교수(Ph.D)
기관 대표번호 041-850-8630 FAX 041-568-0287
총 연구기간 2008-11-01 ~ 2009-02-28
당해연도 연구기간 2008-11-01 ~ 2009-02-28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1차년도 50,000,000 0 0 0 50,00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은 지속적인 개발로 인하여 개발포화상태에 도달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로 2000년대 이후 충청권은 국내에서 개발욕구가 가장 높은 지역으로 집중적인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음. 또한 중국을 겨냥한 서해안 개발욕구는 다양한 재해재난에 직면하고 있으며, 최근의 태안 기름유출사고 등과 같은 연안역에 대한 다양한 건설 및 환경 재해가 발생하기에 이를 사전에 예방하는 “환경친화적 연안역 Environment Low Impact Development(ELID) 기술을 개발”이 절실히 요구됨. 따라서 본 연구개발의 목표는 충청권의 지역특성을 반영하는 환경친화적 연안역 개발 기술에 대한 기획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충청지역의 기술수요 도출, 최종 연구목표 및 범위 설정, 세부과제 도출 및 연구 추진 전략을 수립하고자 한다.
최종목표 충청권의 연안역 개발로 인하여 발생 가능한 건설 및 환경재해를 사전에 연구하고 이를 연안역 개발기술에 접목하기 위한 기술 개발과 활용 기술 과제의 공모를 위하여 연구목표 및 연구내용, 추진전략 수립
- 충청권 연안역의 인문.사회 환경 파악(자연여건, 인문사회 환경, 특정시설물, 특정재해 및 환경분석 등)
- 충청권 연안역의 생태, 해양구조 및 지역의 특수성 검토
- 충청권 연안역 개발 현황 및 장래 수요 검토(충남도 및 지자체와 국가 차원의 개발계획 등 검토)
- 연안역 개발에 필요한 기술 분석 및 기술개발을 위한 로드맵 작성
- 연안역 개발 기술과 개발수요를 고려하여 적용성 평가를 위한 연관성 분석
- 연구를 통해 개발된 기술에 대한 합리적인 평가방법 설정
- 적절한 연구예산의 산정

설정된 최종 목표와 관련된 요소기술 확보 전략
- 산업 및 인프라 분석, 경제성 전망

기존 개발된 연안역의 개선기술의 도출 및 개발방향 설정

연안역 개발기술의 현장 실용화 방안 및 발전적 사후관리 방안 제시
연구내용 및 범위 충청권 연안역의 인문.사회 환경 현황 조사
- 연안역의 자연여건(기상현황, 섬, 생태, 지질, 해류, 하천, 상수원, 환경, 방조제에 의한 인공호수 등) 조사
- 연안역의 인문사회환경(해안공원, 해안문화재, 해안도시 현황, 해안도시의 하수도 현황 등) 조사
- 연안역의 특정시설물(연안역의 산업단지, 해안도로, 항만, 해양 및 해안 구조물-교량-방파제-방조제 등) 조사
- 특정재해 및 환경분석(해일현황, 기름유출사고, 환경재해, 자연재난 등) 조사
- 연안역 근해의 자연환경(생태, 해양구조, 지역의 특수성 등) 조사

기존 충청권 연안역 개발현황, 방재시스템 분석과 적용기술 평가
- 기존 충청권 연안역 개발현황 분석
- 기존 연안역 개발 적용기술 평가(SWOT 분석 포함)
- 연안역의 방재시스템 평가(SWOT 분석 포함)

환경친화적/방재개념의 연안역 개발 ELID(Environment Low Impact Development)기술 세부 분야
- 환경친화적 저오염 연안역 도로 및 주차장 개발 기술(해협 횡단도로 개발기술, 해안도로 및 주차장 설계 및 개발기술, 비점오염원 저감용 미래 도로 설계 기술 등)
- 해양 재난에 안전한 교량 설계 기술(조수, 해일, 폭풍우, 지진 등에 안전한 교량)
- 조수 등 서해 특성을 고려한 부두 및 방파제 설계 기술(조수차를 고려한 환경친화적 접안 및 안벽 설계 기술)
- 인위적 해안역 개발에 따른 갯벌 및 사빈의 생태환경 유지기술(갯벌 보호 및 복원 기술 등)
- 기름 등 해양환경사고에 대비한 해안역 환경 정화기술
- 환경친화적 해안역 도시설계 및 산업단지 설계 기술
- 해안역 관광벨트 조성기술(해안역 문화재 및 자연환경과의 연계기술)


기술의 세부분야별 동향 파악을 통한 국내 위치 분석과 로드맵 작성
- 국내외 기술현황, 기술의 위치 분석
- 시장동향 및 기술수요 분석결과에 따른 기술 로드맵 작성
- 기술로드맵에 따른 개발 가능 특허, 신기술 등 지적재산권 로드맵 작성

기술의 세부분야별 인프라에 대한 과학적 분석
- 국가별 LID 기술의 시장 규모 및 현장 적용 실적 현황분석
- 연안역 LID 주요 기술의 국내외 현황 분석
- 국내외 전문인력 인프라 분석
- 국가별/업체별 연안역 LID 주요 기술 연구개발 현황
- 향후 연안역 LID 주요 기술 시장 규모 예측
- 연안역 LID 주요 기술의 경제적, 사회적 파급효과 분석
- 분야별 전문가들(건축, 금속, 농업, 기후 등)로 구성된 다수의 기술위원회 구성
- 기술위원회를 중심으로 델파이 기법에 의한 과학적 분석
- 이러한 과학적 분석기법을 이용한 SWOT 분석을 통해 연안역 LID 주요 요소기술도출

세부과제 도출을 위한 기획위원회 운영
- 연구기획 단계별 기획회의(4회)와 연구 그룹 세미나(10회), 워크샵(1회)을 개최
- 초기 제안한 과제를 기획위원회에서 검토, 수정 및 보완
- 보완된 세부과제의 기획위원회의 검토의견 수렴
- 3차 회의를 통하여 세부과제 도출
- 주관기관에서 세부과제의 세세부 과제 도출
- 기회위원회의 검토 및 의견 수렴
- 세부과제 확정

세부과제 RFP 및 연구 예산 산출
- 기획위원회에서 결정한 세부 과제의 RFP 및 예산안 작성
- 작성된 세부과제 RFP 및 예산을 기획위원회 검토 및 수정?보완
- 최종 세부과제의 RFP 및 연구예산 도출

최종 보고서 작성
- 보고서 초안 작성 및 기회위원회 발송
- 기획위원회의 의견 수렴 및 1차수정/보완
- 최종 보고서 작성 제출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1차년도 환경친화적 연안역
Environment Low Impact Development(ELID) 개발 기술
- 연구착수 및 기획위원회 운영준비
- 연구기획의 방법론 및 방향 설정
- 국내/외 기술동향 및 수준분석
- 핵심기술 도출 및 기술 로드맵 작성
- 최종목표 및 추진일정 설정
- 세부내용 범위 및 세부내용 도출
- 최종 기획안 완성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충청권의 연안역이 가지고 있는 지역적(관광, 산업, 방조제 등) 및 자연적(조수, 해일, 지진, 해양기름유출, 해안습지, 태풍 등) 특성을 고려한 Environment Low Impact Development 연안역 개발 기술은 미래지향적이며 환경친화적이고 방재가 어우러진 기술임(건설기술+방재기술+환경기술).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Environment Low Impact Development 연안역 개발 기술은 집중되는 개발 수요를 환경친화적 및 방재가 어우러진 개발로 유도할 수 있음.
Environment Low Impact Development 연안역 개발 기술은 건설기술에 환경성과 방재성을 겸비함으로써 재난복구비용, 환경개선 및 복원 비용 등에 대한 경제적 이득이 있으며, 이러한 기술은 한국의 기술이 선진국으로 진출할 수 있는 기초가 될 것임.
활용방안 연안역의 도시, 도로, 교량, 방파제, 방조제, 산업단지, 관광지 등의 각종 개발을 환경친화적으로 유도함에 활용됨.
각종 인적재해 및 자연재난에 안전한 연안역 개발에 적용될 수 있음
대 중국 교육의 중심에 있는 서해안을 선진국형 water front 연안역으로 개발 유도함에 있어 본 기술의 접목이 예상됨.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환경친화적 개발 방재 연안역 수변지역 실용성
영문 Environment Low Impact Development Disaster Prevention Ocean Side Water Front Practicality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0799_환경친화적 연안역 개발기술 기획.pdf   다운로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