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수송력 향상 철도시스템 기술개발 기획1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철도기술연구사업 과제번호 08PRTD-C050273-01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건설·교통 | 교통시설·수단·환경 기술 | 달리 분류되지 않는 교통시설·수단·환경 기술 적용분야 -
2순위 None | None | None 실용화대상여부 비실용화
3순위 None | None | None 과제유형 응용
과제명 수송력 향상 철도시스템 기술개발 기획
주관연구기관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유원희
소속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직위 수석
기관 대표번호 031-460-5000 FAX 031-460-5814
총 연구기간 2008-05-08 ~ 2008-11-07
당해연도 연구기간 2008-05-08 ~ 2008-11-07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1차년도 50,000,000 0 0 0 50,00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 철도차량의 수송력 및 열차운영의 효율성 향상을 통하여 저비용/고효율의 철도교통체계를 구축하고, 철도수송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기획연구를 통하여 추진전략 및 상세연구내용을 수립하고자 함.
* 철도시스템은 타 수송수단에 비하여 대량수송 및 저 에너지 소비등 상당한 효율성을 가지고 있으며, 선로, 차량, 신호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대규모 투자를 필요로 하는 시스템임. 철도 건설 시에는 가장 효율적인 노선을 선택하여 건설을 하지만 도시의 생성 및 발달로 인하여 노선이 편중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 철도시스템의 수송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point to point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함.
* 본 연구에서는 수송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여러 가지의 point to point 서비스 중에서 고속화차를 이용한 방법과 연계시스템을 이용한 방법 및 Flexible 열차 운용 방법 등 세 가지 방법에 중점을 두고 기술적/경제적 타당성을 검토하는 한편, 연구목표 달성을 위한 추진전략 및 추진체계를 수립하고, 연구내용 및 그에 따른 연구기간 및 예산 등을 제안함으로서 기술개발 본 과제 공모를 위한 RFP를 도출하고자 함.
최종목표 * 철도차량의 수송력 및 열차운영의 효율성 향상을 통하여 저비용/고효율의 철도교통체계를 구축하고, 철도수송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기획연구를 통하여 추진전략 및 상세연구내용을 수립하고자 함.
* 철도시스템은 타 수송수단에 비하여 대량수송 및 저 에너지 소비등 상당한 효율성을 가지고 있으며, 선로, 차량, 신호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대규모 투자를 필요로 하는 시스템임. 철도 건설 시에는 가장 효율적인 노선을 선택하여 건설을 하지만 도시의 생성 및 발달로 인하여 노선이 편중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 철도시스템의 수송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point to point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함.
* 본 연구에서는 수송력 향상 철도시스템 기술개발 과제에 대한 기획을 통하여 타당성조사를 수행하고 실용성 및 상용성을 사전에 검증함. 이를 위하여 다음 사항을 중점적으로 기획연구를 수행함.
- 화물수송력 증대를 위한 고속화차 기술개발
- 최적의 철도연계시스템 구축 기술개발
- flexible 열차운용이 가능한 철도시스템 기술개발
연구내용 및 범위 * 정부는 2004년 4월 경부고속철도의 개통과 더불어 승객의 운송은 고속철도를 위주로 하고, 화물운송은 기존선을 위주로 하는 정책을 제시한 바 있음. 이러한 상황에서 180km/h급 틸팅열차가 성공적으로 개발되어 신뢰성 검증을 수행중이며, 신뢰성 검증이 끝나면 틸팅열차는 기존선에 투입되어 KTX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지역에 주로 투입될 것으로 보임. 180km/h급 틸팅열차의 투입과 더불어 기존선에 화물열차가 운행되기 위해서는 화차의 속도를 고속화 시킬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는 철도기술연구원의 사전 검토결과 최고속도가 150km/h 이상인 화차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음. 따라서 틸팅열차의 투입에 의한 시간절감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빠른 시기에 고속화차의 개발/투입이 필수적인 것으로 판단됨.
* 대규모 철도망에서는 수많은 종류의 서로 다른 열차가 모든 방향으로 서로 다른 지역을 경유하여 운행되며, 승객들은 직통열차를 이용하여 최종 목적 역에 바로 도착하기도 하나, 또 다른 승객들은 최종 목적 역에 도착하기 위해 다른 열차로 여러 번 환승하기도 함. 이러한 환승은 철도 중심 역(railway center or junction)에서 동일한 등급의 열차노선망 또는 이를 보완하는 노선망 사이의 열차 간에 이루어짐. 승객에게 있어 환승은 불편하고 시간 소모적인 과정이므로 최적의 직통/환승연계 열차네트워크 개발과 환승역의 구내배선 및 환승시설의 신중한 계획과 구성은 환승연계 서비스 시스템이 적절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전제조건이 되며, 환승역의 구조 및 정차 플랫폼의 위치에 따른 최소 환승시분 및 지체패턴 등을 고려하여 승객에게 환승의 불편함을 최소화해주고 가능한 여행시간을 줄일 수 있는 열차시각표 작성이 필요함.
* 열차시각표 상의 환승시간이나 연계 열차를 기다리는 대기시간이 너무 짧게 설정될 경우 고객에게 열차 연계서비스를 확실히 보장할 수 없으며 해당 고객은 다음 연계 열차를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함. 한편, 대기 시간이 너무 길게 설정될 경우 통과승객의 여행시간이 길어지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므로 열차 간 연계 서비스 도입 시 연계 기능을 확실히 보장하는 동시에 통과 및 환승객의 편익을 최적화 할 수 있는 완충시간 및 대기시간의 설정이 필요하며, 철도서비스 질의 향상과 비용절감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열차 간 연계 및 타 교통수단(버스, 지하철)과의 효과적인 연계시각표 작성 기술개발은 저비용/고효율의 국가교통체계 구축이라는 정책목표를 실현하는데 기여할 수 있음.
* 철도인프라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 증가하는 수송수요에 대처 가능한 철도연계시스템 구축 기술개발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연구개발의 성공가능성을 검토하고 연구 과제의 전략적 방향성과 세부 연구내용 및 실행방안을 제시할 사전기획이 필요함.
* 우리나라의 주택은 대규모 아파트 단지를 건설하여 대도시의 Bed Town개념으로 개발되어져 왔기 때문에 인구밀도가 매우 높음. 이러한 베드타운에서 발생하는 수용수요를 도로만으로 해결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막대한 비용이 필요로 함. 철도는 대량 수송의 특징을 갖는 시스템으로서 대규모의 시설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미 건설된 노선과 건설될 노선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철도 운용을 효율화시키기 위해서는 유연성 있는 열차운용을 필요로 함.
* 철도는 자동차에 비해서 접근성이 떨어지는 상대적인 약점이 있으므로, 접근성을 향상시켜서 수송수요를 철도로 전환시킬 필요가 있음. 철도의 편리성의 향상은 육상교통수요를 철도로 수송수요를 흡수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절약 및 환경부담 경감에 flexible 열차 운용을 필요로 함.
* 이러한 사항들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내용으로 기획연구를 수행하고자 함.
- 기존 노선의 선로용량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면서 화물수송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고속화차 기술개발 기획
- 철도중심의 수송력 증대를 위한 최적의 철도연계시스템 구축 기술개발 기획
- flexible 열차운용이 가능한 철도시스템 기술개발 기획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1차년도 * 화물수송력 증대를 위한 고속화차 기술개발 기획
* 철도중심의 수송력 증대를 위한 최적의 철도연계시스템 구축 기술개발 기획
* flexible 열차운용 철도시스템 기술개발 기획
1.- 국내외 기술동향 검토
- 연구내용 기획
- 기술적 타당성 검토
- 경제적 타당성 검토 : 실용화/상업화 가능성 검토
- 연구목표 달성을 위한 추진전략 및 추진체계
- 연구내용에 따른 연구 기간 및 예산
- 과제 공모를 위한 RFP 도출
2.
- 국내외 정책 및 기술현황(동향 및 수준) 분석
- 기존 유관 연구개발 조사
- 연구개발 필요성 및 범위 설정
- 추진체계 및 전략 분석
- 기술개발 효과분석
- 소요예산분석 및 연구개발 로드맵 작성
- 본 사업 RFP, 평가기준 및 최종보고서 작성
3.
-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한 노선 조사 검토
- flexible 운용용 차량 시스템의 조사검토, 시스템(안)
선정 및 개발방법 제안
- flexible 열차운용용 신호시스템 조사 및 시스템(안) 선정
- flexible 운용용 궤도시스템 조사, 시스템(안) 선정 및
개발방안제안
- 국내외 시스템 조사, 운용시나리오 작성
- 국내외 전문가 자문
- 국내외 시스템 업체 조사 및 방문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 기획연구를 통하여 사전 타당성 분석
* 국내 철도의 환승 및 열차간 연계시설에 대한 정량적 분석 (파라미터 분석)을 통해 철도 연계운영체계 개선
* 국내 철도 운송체계의 연계성 향상을 위한 정량분석을 통한 정책개발 지원
* 철도를 이용하는 승객의 환승 최소화를 위한 다양한 운용(안)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철도시스템의 운용효율증대가 가시적으로 달성됨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 기획연구를 통하여 사전 경제성 분석
* 국내 철도 연계 및 환승 시설의 연계성 평가를 통한 철도교통서비스의 품질향상에 기여
* 국내 철도 운송체계의 연계성 향상을 위한 시설설계 요건 제시
* 최적화된 철도운송 시설기준 확보로 국내 철도 운송체계의 연계성 향상
* 철도를 이용하는 승객의 환승을 최소화함으로서 승객의 편의성 증대 및 철도이용 승객의 증대, 시간편익 증대 가능
* 철도이용 승객의 증가 및 철도운용효율 향상으로 에너지절약 및 환경부담 개선에 기여
활용방안 * 본격적인 연구과제 추진에 앞서 대규모 예산 투입에 따른 예산 효율성과 연구개발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 연구 과제의 전략적 방향성 및 실행방안 수립으로 세부 연구내용 결정
* 국내 철도연계 기술개발의 필요성 및 장래 관련분야 R&D 투자정책 방향 제시
* 국내 철도교통의 연계 및 환승체계 기술개발의 기본방향으로 활용
* 국내 철도교통의 연계 및 환승체계 개선을 위한 기술투자 정책의 기본방향으로 활용
* 기획과제에서 제시된 철도연계 기술개발 사업의 로드맵 활용
* 철도연계 기술개발 관련 본 사업 수행 시 기획과제에서 제시된 RFP 활용
* 공고된 RFP에 대한 제안서 평가시 기획과제에서 제시된 평가기준 활용
* 본 사업 추진시 세부과제별 추진체계에 대한 방향 제시
* 본 사업 진행시 세부과제의 성격에 따른 수행기관 선정 및 평가에 활용
* 전체적인 사업 진행을 위한 추진체계의 평가에 활용
* 간선철도, 광역철도, 도시철도 및 경전철에 활용이 가능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수송력 향상 타당성 연구 고속화차 서비스연계 Flexible 운용
영문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rail transport feasibility study high-speed freight car Service Synchronization Flexible Operation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0394_수송력 향상 철도시스템 기술개발 기획 최종보고서(최종).pdf   다운로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