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기후변화 대응 물관리기술 기획1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물관리연구사업 과제번호 08CCTI-C050262-01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건설·교통 | 수공 시스템기술 | 수자원 계획 기술 적용분야 -
2순위 None | None | None 실용화대상여부 비실용화
3순위 None | None | None 과제유형 기초
과제명 기후변화 대응 물관리기술 기획
주관연구기관 (주)기술과가치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양현모
소속 전략컨설팅집현(주) 직위 대표이사
기관 대표번호 02-6475-5010 FAX 02-6007-2331
총 연구기간 2008-09-05 ~ 2009-03-04
당해연도 연구기간 2008-09-05 ~ 2009-03-04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1차년도 150,000,000 0 0 0 150,00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o 본 기획연구는 ‘기후변화 대응 물관리 기술 개발’ 사업 추진을 위해 사전에 관련 분야의 타 과제를 분석하고, 기술수요조사를 통해 사업의 방향성을 선정하여 실용화 및 현업화가 가능한 연구내용 및 추진전략, 추진 타당성 등을 체계적으로 수립함으로써 향후 사업 공고 및 사업 추진시 기반 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임
o 이에 따라 본 연구의 세부추진절차는 개념 정립 및 환경 분석, 연구 추진 방향성 수립, 기본 설계, 핵심과제별 세부 과제 도출, 연구과제 운영 및 성과 활용 방안 수립, 소요예산 산정, 추진 계획(안)마련 등 크게 7개의 모듈을 구성하여 핵심과제별 RFP 및 향후 사업 추진의 기반이 될 구체적인 기획보고서를 작성하고자 함
최종목표 o 기존 연구 과제와의 연계?활용을 통하여 실용화 및 현업화가 가능한 '기후변화 대응 물관리 기술 개발 로드맵 제시 및 추진체계 수립을 통한 기반마련'을 목표로 함
- 이를 위해 기존 연구내용에 대한 철저한 분석을 통해 연계?활용 가능한 기술을 도출하고 방향성을 확립함으로써 향후 기술적?전략적 기반을 확립할 수 있도록 기술을 기획하고
- 실용화?현업화를 위한 구체적 목표 및 연구과제, 추진전략 등을 수립하여 향후 사업 추진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함
연구내용 및 범위 1. 연구내용
1-1 개념 정립 및 환경 분석
o '기후변화 대응 물관리 기술'의 범위 및 관련 기술 분야 개념 정립
o 사업 추진의 전략적 중요성 분석
o 국내외 기후변화 대응 물관리 기술/동향 조사
- 국내외 물관련 추진 계획 및 사업
- 정책/시장/인프라 등의 현황 분석
- R&D 투자 현황 분석
1-2 연구 추진 방향성 수립
o 기술수요조사를 통한 수요처 의견 수렴
o 내?외부 환경 현황 및 수요처 의견 수립을 종합한 SWOT 분석
o 기후변화 대응 물관리 기술 개발의 기본 추진 방향 설정
- 연구추진방식 설정
- 타 과제와의 차별화 방안 마련
- 사업의 위상 및 철학 수립
1-3 기본 설계
o 연구개발 비전 및 목표 수립
- 연구개발 향후 비전 수립
- 기후변화 대응 물관리 기술 기반 구축을 위한 최종 목표 수립
o 목표 달성을 위한 핵심과제 수립
o 핵심과제별 목표 및 범위 설정
1-4 핵심과제별 세부과제도출
o 핵심과제별 세부과제 및 연구내용 도출
o 기존 연구과제와의 연계?활용성 분석
o 세부과제별 우선순위 설정
o 핵심과제별 세부 추진 전략 수립(국제협력 포함)
- 핵심과제별 세부 연구 추진 계획 작성
- 연차별 세부 추진 전략 수립
1-5 연구과제 운영 및 성과 활용 방안
o 연구과제 연차별 추진체계 수립
- 연구과제의 연차별 추진체계 수립
- 연구과제 구성 방안 수립
o 연구과제 운영 방안 수립
- 성과 지표 도출 및 성과 관리 방안 수립
- 연구책임자 자격요건 및 평가기준 수립
o 성과 활용 방안 수립
- 시범 유역 설치?운영 방안 수립
- 기후변화에 따른 물관리 네트워크 구축 방안 수립
1-6 소요예산 산정
o 과제별 예상 소요 비용 산정
o 향후 기대효과 제시
1-7 추진 계획(안) 마련
o 핵심과제별 RFP 구성
1-8 사전타당성조사 분석
o 기술적 타당성 분석
o 정책적 타당성 분석
o 경제성 및 파급효과 분석
2. 연구범위
- 연구 내용적 범위 : 현황 분석 및 수요자 의견 수렴을 통하여 실용화?협업화가 가능한 기술 기획 및 RFP를 작성하며, 관련 연구비 산정 및 근거를 제시하고, 이에 대한 사전타당성조사를 기술적?정책적?경제적 측면에서 분석함
- 연구 시간적 범위 : 2008년 기준으로 추진 중이거나 완료된 연구 과제를 기반으로 연계?통합 가능한 향후 5년 동안의 기술 기획
- 연구 대상 범위 : 기후변화에 따른 물관리 기술 개발 가능 영역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1차년도 기후변화 대응 물관리 기술 과제 추진에 앞서 기획연구를 통해 최종 연구목표, 주요 연구내용 및 추진전략 등을 수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과제 공모를 위한 RFP 및 향후 관련 기술의 방향성을 제시함 - 개념 정립 및 환경 분석
- 연구 추진 방향성 수립
- 기본 설계
- 핵심과제별 세부과제도출
- 연구과제 운영 및 성과활용 방안
- 소요에산 산정
- 추진 계획(안) 마련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 물관리 기술의 개념 정립 및 국내외 관련 기술 연구과제 현황 파악
- 수요자 중심의 기술개발 목록
- 기후변화에 따라 발생가능한 물부족 현상 및 물범람 현상을 극복할 수 있는 향후 5년 추진 가능한 기술 목록
- 물관련 기술들 상호간의 연계?활용 방안 및 전략 수립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 시범사업 설치 지역의 재산 및 인명피해 절감
- 국제 네트워크 구축 방안을 통한 향후 해외시장 개척 등의 과제 추진이 가능해짐
- 대외적 국가 기술수준 인지도 및 지위 향상
- 기후변화에 안전한 국가 건설
활용방안 - 사전타당성 분석을 통한 연구 추진 근거 및 타당성 확보
- 향후 사업추진을 위한 연차별 세부 전략 수립을 통한 효율적인 사업 추진이 가능해짐
- 각 부처간 추진 중인 타 사업과 비교하여 본 사업이 나아가야할 방향이 정립됨으로써 추가적인 기술개발 계획 수립이 가능해짐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기후변화 대응 물관리 기술 핵심과제 사전기획 사업단/연구단 RFP 기후변화
영문 A Planning of water management Technology for Climate Change Counterplan Core Task Preliminary Planning Request for Proposal of R&D Program Climate Change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0236_기후변화 대응 물관리 기술 기획연구.pdf   다운로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