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고속철도 운영효율화 기술개발 기획1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철도기술연구사업 과제번호 08PRTD-C050272-01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건설·교통 | 교통운영·관리·안전 기술 | 철도교통 운영·관리시스템 기술 적용분야 -
2순위 None | None | None 실용화대상여부 실용화
3순위 None | None | None 과제유형 기초
과제명 고속철도 운영효율화 기술개발 기획
주관연구기관 한국철도공사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최성균
소속 한국철도공사 직위 연구원장
기관 대표번호 042-615-4656 FAX 02-361-8542
총 연구기간 2008-05-08 ~ 2008-11-07
당해연도 연구기간 2008-05-08 ~ 2008-11-07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1차년도 70,000,000 0 0 0 70,00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o 고속철도 운영효율화 기술개발을 하는데 앞서 연구 내용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철저한 연구 계획의 수립이 반드시 필요함
o 따라서, 설계기술 개발 및 국내외 기술현황을 면밀히 검토하여 기술 및 경제성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 개발 시 기간 및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획연구를 수행하고자 함
최종목표 o 고속철도 운영효율화 기술개발을 위한 기획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연구의 목적 및 범위, 국내외 기술현황 및 전망, 핵심 요소기술, 연구의 타당성 등을 면밀히 검토함. 이를 바탕으로 연구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추진전략 및 체계와 상세 연구내용을 수립하고, 연구 계획 및 일정을 제시하여 본 과제를 공모하기 위한 과제제안요구서(RFP)를 도출하고자 함
o 최종목표: 고속철도 운영효율화 기술개발 기획
o 단계별 목표
- 1단계: 자료조사 및 목표설정
- 2단계: 주요 핵심기술 도출
- 3단계: 타당성 분석
- 4단계: 목표 및 성과물 제시
연구내용 및 범위 o 고속철도 운영효율화 기술개발을 위한 기획안을 도출하고 각 세부과제별 국내외 현황 및 문제점을 검토하고 기획과제의 최종 목표를 제시하고자 함.

o 본 기획연구의 6개 세부과제 목표를 4단계로 구분하여 수행함으로써 최종목표인 고속철도 운영효율화 기술개발 기획안을 효율적으로 도출할 수 있도록 하며, 각 세부과제별 정책 및 기술개발 동향을 조사하고, 전문가 자문 및 설문조사를 통하여 기술 및 경제적 타당성을 분석하며 세부추진계획을 제시함.

o 연구범위
- 고속철도 핵심기술 및 장치의 국산화 기술개발분야
- 운영효율화를 위한 유지보수 최적화 기술개발분야

o 각 세부과제는 아래와 같음
- 고속차량용 제동시스템 및 제동장치 기술개발
- 절연구간 무접점 자동 전원절체-통과 시스템 기술개발
- 최신반도체 소자를 이용한 고속철도차량용 추진제어 기술개발
- 고속선 전기시스템 유지관리 자동화진단 기술개발
- 급전시스템 전력품질 향상을 위한 능동형 직병렬 보상 기술개발
- 고속열차 증속을 고려한 철도인프라 설계기준 개발

o 1단계: 자료조사 및 목표설정
- 연구의 목적 및 범위 설정 : 각 세부과제별 현재 운영 및 기술상의 문제점 및 현황을 분석하고 기획연구의 필요성을 검토하여 배경, 목적 및 범위 제시.
- 국내외 정책 동향 조사 : 국내외 관련 부처 및 운영사의 정책조사를 실시하고, 개발기술의 국내 적용시 제약점을 조사. 해외 개발 기술의 상용화 추진체계의 사례 조사.
- 국내외 기술개발 동향 조사 : 각 세부과제별 자문위원 및 전문가를 활용하고 국내외 논문, 문헌을 조사하여 최신의 기술개발 동향을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속철도 운영효율화를 위한 전략적 목표 설정

o 2단계: 주요 핵심기술 도출
- 세부과제 및 요소기술 도출 : 시스템 및 개발품의 개념 설계, 인터페이스 설계 기술의 도출, 시스템 통합 시험, 안전성 및 신뢰성 검증방법 도출
- 영역별 핵심기술 및 세부기술 분석 : 각 세부과제별 시스템 엔지니어링 관련 핵심기술의 분석, 서브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술분석
- 기술개발 및 도입방안 제시 : 국내외 기술 수준 분석하고, 국내 자체 기술개발 방안 및 외국 핵심기술 도입방안제시

o 3단계: 타당성 분석
- 소요비용 및 기간 분석 : 시스템과 개발품 설계 및 제작에 대한 비용과 기간 분석
- 기술 및 경제적 타당성 분석 : 연구개발 결과의 실현 가능성 검토하고, 세부과제의 예산 및 기간의 적정성 분석함. 국내외 개발기술 시장성 조사/분석
- 전문가 설문을 통한 타당성 분석 : 전문가 활용으로 연구결과의 신뢰성 확보

o 4단계: 목표 및 성과물 제시
- 세부 추진계획 수립 : 과제추진을 위한 로드맵을 작성하고, 연구진 구성방안과 자문위원의 구성방안 제시
- 최종목표 및 내용 제시 : 본 과제의 최종목표 및 내용을 제시
- 과제의 성과물 제시 : 본 과제의 연구성과물을 제시하고, 본 과제의 발주를 위한 RFP 작성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1차년도 고속철도 운영효율화 기술개발 기획 및 로드맵 작성 o 국내외 기술동향 분석(기술동향, 기술수준, 인프라, SWOT 분석 등)
o 고속철도 운영효율화 기술개발 성과물에 대해 국내 적용을 위한 기술적 및 경제적 타당성 등을 분석
o 기술개발시 발생가능한 문제점 등을 사전 파악하여 해결방안을 제시
o 시범사업을 위한 소요 예산 및 기간 조사
o 국내 실정에 맞는 기술개발을 위한 세부 핵심 요소 기술 제시 및 로드맵 도출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o 국내 실정에 부합하는 한국형 시스템 확보로 저비용 고효율의 고속선 운영이 가능
o 고속철도의 속도 향상 및 안전운행에 기여
o 핵심기술개발 및 국산화를 통한 유지보수성 향상, 수입대체 효과기대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o 고속철도의 속도 향상으로 인해 운송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하게 되며 더 나아가 경제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음
o 고속철도 시스템의 국내 기술개발 과정을 통해 기술 및 유지보수 인력을 확보하게 됨에 따라 고속철도 산업에 대한 우리의 경쟁력을 확보하게 되며 더 나아가 관련 분야 산업에 발전을 기대할 수 있음
활용방안 o 국내 운송시스템에 대한 산업기술 발전전략 수립의 기초자료 및 관련 정부의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의 기준으로 활용
o 고속철도 운영효율화 기술개발로 인한 국가기술 경쟁력 확보 및 수출 방안 증대
o 핵심 기술 확립과 부가 시스템의 기술 이전, 전문 인력양성 및 R&D 시장의 확대 및 기술자문 네트워크 구성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능동전력필터 자동절체시스템 추진제어장치 설계기준 속도향상
영문 Active Power Filter Automatic Transfer system Motor Block Design standard Increase in Speed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0133_고속철도 운영효율화 기술개발 기획.pdf   다운로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