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산업단지 발생 부존자원의 최적 활용을 위한 적용방안 개발1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국토교통기술지역특성화사업 과제번호 08CRTI-B050151-01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에너지·자원 | 신·재생에너지 | 폐기물에너지 적용분야 -
2순위 None | None | None 실용화대상여부 실용화
3순위 None | None | None 과제유형 응용
과제명 산업단지 발생 부존자원의 최적 활용을 위한 적용방안 개발
주관연구기관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박흥석
소속 울산대학교 직위 정교수
기관 대표번호 052-259-2201 FAX 052-259-1686
총 연구기간 2008-06-13 ~ 2011-06-12
당해연도 연구기간 2008-06-13 ~ 2009-04-12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1차년도 795,000,000 58,300,000 254,700,000 313,000,000 1,108,00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o 산업단지 업종별/공정별 발생 부존자원의 공급 및 이용시스템 적용 방안
o 선정 산업단지에서 발생되는 부존자원을 최적활용 및 연계방법에 적용해 20톤/일 규모의 복합 이용시스템 건설
최종목표 o 기존 산업단지 대상 발생하는 부존자원에 대한 분석 빛 최적 수급방안 개발
o 실증결과(2세분과제)를 반영한 부존자원 최적 활용 적용방안 개발
o 산업단지 내 업종별/공정별/에너지원별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최적화 설계시스템 개발
o 부존자원 최적활용을 위한 20 ton/day 급 복합이용시스템 건설
o 부존자원 복합 이용시스템에 대한 운영*관리 PLM 기술개발
o 산업단지 내 발생 폐열의 활용시스템 시공 및 복합이용시스템 연계방안 개발
연구내용 및 범위 o 산업단지 업종별/공정별 발생 부존자원의 공급 및 이용시스템 적용 방안
o 연구대상의 산업단지의 선정 및 선정단지의 입주업종의 실태분석
o 선정된 산업단지 대상 생산제품별/공정기술별 발생부존 자원 및 에너지 소요 자료조사/분석
o 부존자원의 에너지화를 위한 폐기물의 특성별 클러스터링 기준 검토 및 설정
o 부존자원의 공급 및 이용을 위한 산업단지내 업종별/ 공정별/ 에너지원별 데이터베이스 구축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1차년도 o 대상산업단지의 선정, 발생 부존자원 및 에너지 사용실태 분석
o 부존자원 연료화 설비 공정구성 및 설계
o 대상 산업단지 내 발생 부존자원별 연료화 활용기술 분류
o 부존자원 복합 에너지화 시스템 설계
- 복합 고형연료화 설비(고형연료화 방법, 공급방안 고려)
- 에너지화 소각설비(20 ton/day)
- 폐열활용시스템
o 부존에너지 이용을 위한 공급방안 설계
o 운영?관리 PLM 개발을 위한 정보 공유 및 표준화
o 기존 보일러 활용을 위한 연계방안 도출


o 대상 산업단지 내 발생 부존자원별 연료화 활용기술 분류
o 부존자원 복합 에너지화 시스템 설계
- 복합 고형연료화 설비(고형연료화 방법, 공급방안 고려)
- 에너지화 소각설비(20 ton/day)
- 폐열활용시스템
o 부존에너지 이용을 위한 공급방안 설계
o 운영?관리 PLM 개발을 위한 정보 공유 및 표준화
o 기존 보일러 활용을 위한 연계방안 도출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o 영남권 산업단지별 부존자원 발생현황 분석
o 산업단지 발생 부존자원 및 에너지 이용 데이터베이스 구축
o 부존자원의 최적 활용을 위한 수급 시스템 구축
o 부존자원의 공급 및 이용을 최적화 설계시스템 개발
o 산업단지 발생 부존자원 및 에너지 최적 활용 시스템 구축
o 다양한 부존자원 활용 모델 제시가 가능
o 다양한 산업단지의 부존자원을 자원화 실증화 기초지원 가능
o 기술 실증이후 국내 자체기술로 부존자원 복합이용기술 구축
o 부존자원 고형연료화 운전 기술 확보 및 상용화
o 부존자원 고형연료를 대체에너지로 규격화 및 표준화 가능
o 다양한 부존자원 DB 활용에 따른 시스템 운전기술 확보
o 산업단지 적용에 따른 toruble shooting know-how 확보
o 상용화급 개발을 위한 test-bed로 제공이 가능
o 다양한 산업단지의 부존자원을 새로운 에너지 자원화하는 기반기술 제공
o 국내 자체 시스템 개발을 통한 기술경쟁력 확보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o 영남권 산업단지별 부존자원의 발생, 이용 및 자원화를 통한 부존자원 절약 및 에너지 위기에 대처가능
o 발생 부존자원을 유용한 에너지원으로서 활용함으로써 고유가 시대에 대비한 자원절약 및 활용도 향상
o 국내 다른 산업단지나 유사 산업분야로의 본 연구결과의 파급 가능
o 에너지 비용증가 및 대체에너지에 대한 압박해소
(폐기물 처리비용 절감 및 발생 부존자원의 에너지원 활용)
o 동남아, 중국, 인도 등의 환경 플랜트 수출산업으로 육성 가능
o 유사 산업분야로의 파급효과
(다종 폐기물 대상 실증시스템 적용시)
o 기후변화협약 대응에 기여 : CO2 문제
o 산업단지 내 부존자원의 효율적인 관리 및 안정적인처리방안 확보
활용방안 o 영남권 산업단지 부존자원의 최적 활용을 위한 실증화 사업의 기초자료로 활용
o 산업단지 부존자원의 발생정보, 이용모델 제시 및 단지 에너지 활용 최적화 시스템구축 정보로 활용
o 다양한 부존자원이 발생되는 유사 산업단지 공단에 적용가능
o 4,000 kcal/kg 이상의 발열량을 확보로 에너지 비용 절감
- 시멘트 소성로 및 화력발전소 등의 연료로 사용이 가능
- 원예?화훼?버섯재배 농가 등 난방 연료로 공급
o 전 시스템에 대한 기술 또는 설비의 유상 이전
o 환경 플랜트 수출산업으로 육성(동남아, 중국, 인도 등)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산업단지 부존자원 고형연료 폐열이용 무배출
영문 industrial complex natural resources waste fuel waste heat utilization zero emission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산업단지발생부존자원의최적활용을위한적용방안개발_20110612.pdf   다운로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