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U-Transportation 기반 기술개발3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교통물류연구사업 과제번호 08PTSI-B044148-03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건설·교통 | 교통운영·관리·안전 기술 | 달리 분류되지 않는 교통운영·관리·안전 기술 적용분야 -
2순위 None | None | None 실용화대상여부 실용화
3순위 None | None | None 과제유형 개발
과제명 U-Transportation 기반 기술개발
주관연구기관 한국교통연구원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강연수
소속 한국교통연구원 직위 실장
기관 대표번호 044-211-3114 FAX 044-211-3222
총 연구기간 2006-10-01 ~ 2011-11-28
당해연도 연구기간 2008-08-28 ~ 2009-05-27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3차년도 5,400,000,000 157,200,000 1,258,800,000 1,416,000,000 6,816,00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유비쿼터스 시대를 맞아 최근 중앙정부(국토해양부, 지식경제부, 교육과학기술부 등), 지방자치단체 및 민간(통신 및 SI사업자) 등이 적극 추진하고 있는 u-City 및 u-Korea 사업은 도시나 국가의 모든 자원을 지능화하여 네트워크화 함으로써 시간과 공간의 제약없이 어떤 서비스의 제공도 가능한 환경을 구현하고자 함
특히, 새국가 경영전략으로 제안된 u-Korea 구상은 한계이익에 도달한 기존의 IT성과를 재도약시켜 새로운 고부가가치를 창출함으로써 신성장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으며 새로운 IT 기술개발과 환경구축으로 국민 삶의 질 향상 및 창의성을 극대화하고 ,산업생산성을 증대시키며, 공공서비스의 혁신 및 투명성이 높아진 사회를 실현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음
이에 능동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유비쿼터스 환경에 대한 교통부문의 기술개발 연구는 절실히 필요하며, 현재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는 지능형교통체계(ITS) 사업은 적용기술의 내용과 범위, 그리고 제공되는 서비스의 시간적/공간적 적용기술 등에서 한층 발전시킬 필요성이 있음
따라서 u-Korea의 새로운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사회경제활동의 주요 인프라 기능을 하고 있는 교통부문에서의 유비쿼터스(u-Transportation) 환경구축은 국가적으로 시급한 연구개발 사항이며, 다가올 미래의 국가교통시스템의 고도화를 위해 u-Transportation 시스템의 구축에 적용하기 위한 기반기술의 연구개발은 필수적이며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
최종목표 교통의 정보화, 자동화, 지능화, 첨단화 기능이 융합되어 언제 어디서나 누구에게나 접근 가능한 교통서비스, 시스템 간에 유기적으로 연계된 교통서비스, 이용자 맞춤형 교통서비스, 이동 중 연속적인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 등을 통해 제 2의 교통 혁명을 이루는 u-Transportation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반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본 연구개발의 최종 목표임
연구내용 및 범위
- u-T 개념정립 및 방향설정을 바탕으로 u-T 시스템의 기본구상을 하고 시스템 접근 및 분석(System approach & analysis)방법을 통하여 u-T 시스템 및 서비스 기술을 분석하고 u-T 시스템의 교통서비스 요구사항을 도출함
- 또한, u-T 시스템 기술 구성요소 결합을 통한 u-T 시스템구성(System configuration) 도출, u-Transportation 시스템 설계 또는 디자인 (System design), u-Transportation 시스템 운영전략(System operational strategy) 방안, u-Transportation 시스템 테스트 및 평가 (System test and evaluation) 등이 체계적으로 연구 개발됨
o u-Transportation 시스템 평가 및 안정화
- 첨단교통기술 연구개발 현황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u-T 시스템 및 교통서비스 기술개발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고, u-T 시스템 기술개발 모니터링과정을 수행함으써 교통서비스와의 통합기능을 분석함
- u-Transportation TestBed 시험검증에서는 수행된 단위테스트와 Test Bed에서의 종합테스트에 대하여 객관성, 신뢰성, 정확성 등을 고려한 검증결과를 검토하고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며, 이 과정에서 발견되는 문제점을 보완하는 기술도 필요함
- u-T 통합시스템 관리 및 검증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하며, Test Bed를 통해서 통합시스템 관리 및 검증시스템을 보완된 후, 종합적인 관리검증 및 평가가 이루어지며 Feedback을 통한 u-T 통합시스템의 운영의 안정화 방안이 도출되며, 이를 위한 기존 교통시스템과의 연계 및 확장방안이 제시됨
o u-T 아키텍쳐 설계 및 구축
- 기존 유비쿼터스 컴퓨팅 아키텍처 활용현황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진단
- u-T 아키텍팅 방법론을 고찰하여 최적 아키텍팅 방법론 제시
o u-TSN 기반 교통정보시스템 로컬자료 처리 및 분석연구
- u-TSN 기반 교통정보시스템 구성요소 정의 및 분석
- u-TSN 기반 교통정보시스템 요구사항 분석
- 수집된 자료의 교통정보화 방법론 연구
o u-Transportation Sensor Network 상의 교통부문설계 및 적용기술 개발
- u-TSN 수집 및 제공 전략 수립, u-TSN 기초자료 처리기술 개발, u-TSN 신뢰도 평가기술 개발
- Transportation Conversions Network 기술 개발: u-TSN 및 지역제어기 연계통합기술

o u-TSN 자료수집통합체계 개발
- Road Network Node-Link 체계 검토
- u-TSN 관련특허 분석
- 유사 시스템 및 연구개발 과제 검토 분석
- 표준화 검토
o u-TSN 망구조 개발
- u-TSN 망구조 설계
- u-TSN 메시지 설계
- u-TSN 기술개발 관리
- 광역 교통정보의 분산처리를 위한 u-TSN 망구조 기술 개발
o u-TSN 통신 프로토콜 및 모듈 개발
- V2V 및 V2I 무선통신 기술 개발
- I2I 및 I2C 메쉬 네트워크 및 유무선 통신 기술 개발
- 보안 및 IPv6 기술 개발
o u-TSN 단말기 개발
- UIS 및 UVS 단말기 시스템 개발
- GPS 및 INS 융합기술 개발
- GPS와 INS 센서융합을 이용한 자세결정 알고리즘 개발
o u-TSN 교통정보 예측모형 연구 개발
- 예측정보 생성모델 연구 개발
- 예측 데이터 검증
- 예측정보 생성 시스템 설계
- u-TSN 예측교통정보를 반영한 최적경로 알고리즘 연구 개발
o u-TSN 대용량 정보처리 기반기술 개발
- 실시간 u-TSN 정보처리 기술 연구
- 실시간 u-TSN 소통판단 기술 연구
- u-TSN Data Simulator 설계 및 개발
- u-TSN 정보처리 구조 설계
o u-TSN용 정밀측정 차량시스템 기술 개발
- RF 시스템 설계 및 제작
- Dual Mode RFIC 개발
- Dual Mode Baseband 모듈 개발
- u-TSN용 정밀측정 차량시스템 단말기 개발
- u-TSN용 정밀측정 차량시스템 알고리즘 개발
- u-TSN용 RTK 정밀측정 기술 개발

o u-T 통합서비스전략개발
o u-T 모니터링 기술 개발
o u-T 교통이력자료 분석 및 활용기술 개발
o u-T 운영관리 전략개발
o u-연속류 운영관리 기술 개발
o u-단속류 운영관리 기술 개발
o 재난/재해시 교통운영관리 기술개발
o u-T 정보 및 서비스제공 모델 개발연구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3차년도 u-T 시스템 기술 분석 및 결합
u-T 시스템 기술 모니터링 및 기능 분석
교통관리영역 최적 아키텍처 구축
u-TSN 교통자료 처리 및 분석 기술 개발
u-TSN Prototype 개발을 위한 교통부문 기술개발
u-TSN Prototype 개발 및 시험
u-T 운영관리 통합서비스 정의
u-T 운영관리 통합서비스 아키텍쳐 수립
거시적 교통류 관리방안 및 정보제공방안 수립
교통류 모니터링 기술 개발
u-T 운영관리 알고리즘 개발
교통이력자료분석 기반 기술 개발
교통이력자료 처리/ 분석기술 개발
u-T 정보 및 서비스제공 시나리오 복합화 개발
u-T 시스템 기술 분석
u-T 시스템의 교통서비스 요구사항 도출
u-T 시스템 기술 구성요소 결합 및 성과개요 도출
첨단교통기술 연구개발 모니터링 I
u-T 시스템 기술개발 모니터링 I
u-T 시스템 및 교통서비스 기술 특성 분석
u-T 시스템 및 교통서비스 기능 도출
u-T 서비스 요구사항 도출 및 정의
u-T 아키텍처 초안제시
u-T 아키텍처 설계방법론 보완
미시 아키텍처 구상 협조
u-TSN 기반 교통정보시스템 구성요소 정의 및 분석
u-TSN 기반 교통정보 시스템 요구사항 분석
수집된 교통자료의 정보화 방법론 연구(Ⅰ)
통합시뮬레이터를 이용한 u-TSN 교통부문 운영전략 수립 및 평가
t-Conversions Network의 구축전략 수립
u-TSN 자료수집통합체계 개발(I)
u-TSN 망구조 개발(I)
광역 교통정보의 분산처리를 위한 u-TSN 망구조 기술 개발(I)
u-TSN 통신 프로토콜 및 모듈 개발(I)
u-TSN 단말기 개발(I)
GPS와 INS 센서융합을 이용한 자세결정 알고리즘 개발(I)
u-TSN 교통정보 예측모형 연구 개발(I)
u-TSN 예측교통정보를 반영한 최적경로 알고리즘 연구 개발(I)
u-TSN 대용량 정보처리 기반기술 개발(I)
u-TSN용 정밀측정 차량시스템 기술 개발(I)
u-TSN용 정밀측정 차량시스템 알고리즘 개발(I)
u-TSN용 정밀보정 알고리즘 개발(I)
개별 서비스기술을 통합한 u-T 서비스의 정의
u-T 운영관리 서비스정의표 완성
u-T 운영관리 서비스 아키텍쳐 수립
교통상황인지 알고리즘 개발
u-연속류 운영관리 세부요구기능 정립
연속류 모니터링 기술 개발
u-단속류 운영관리 교통관리 및 정보제공방안 수립
u-단속류 운영관리 알고리즘 개발(교통상황인지/u-T 신호알고리즘 수립)
단속류 모니터링 기술 개발
재난/재해시 교통운영관리 교통관리 및 정보제공방안 수립
재난/재해시 교통운영관리 알고리즘 개발
u-TSN을 활용한 실시간 모니터링 기술 개발
아키텍처 및 Framework 개발
u-TSN자료를 이용한 자료통합 및 융합기술개발
u-TSN자료를 이용한 자료처리 및 분석기술 개발
u-T 사고발생 자동경보 서비스 시나리오 개발
u-T 서비스 정보제공 단위 시나리오 복합화 개발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ㅇ u-Transportation 체계종합기술은 u-T 체계라는 새로운 교통환경을 시스템공학적 접근방법 및 프로세스를 실제 적용하여 구축함으로써 이론적인 시스템의 구축기술을 실질적으로 교통분야로 적용할 수 있는 응용기술을 개발하게 됨
ㅇ Test Bed에 의한 u-T 기반기술 및 통합기술의 평가 및 검증내역은 향후 새로운 u-T 기술이 개발될 경우, 실제 적용에 앞서 기술적 측면에서 새로운 기술개발이나 연구내용을 간접적으로 검증할 수 있으며, 또한 예상문제점을 도출함으로서 u-T 기술개발의 시행착오를 최소화할 수 있음
ㅇ 서비스에 기반한 u-T 시스템의 연계?통합을 위한 아키텍처 구축
ㅇ 상호연동 및 호환 가능한 u-T 정보의 중단없는 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한 아키텍처 구축
ㅇ 기존 교통정보 수집체계(루프검지기, 영상, 비콘 등)의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보다 신뢰성 있고 유용한 실시간 교통정보수집
ㅇ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개별 차량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차세대 교통정보수집체계의 개발
ㅇ 개별차량의 ID인식을 통해 실시간 구간 교통정보의 예측력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보다 정확한 정보제공이 가능하게 되어 혼잡해소 및 도로망 이용효율을 극대화
ㅇ 기존의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거시적 제어에서 개별차량에 기반을 둔 미시적 제어로의 차세대 교통운영 및 제어전략 개발 지원
ㅇ 교통 정보 수집을 위한 차량, 시설물, 보행자간 분야별 인터페이스 정립 및 구축을 통해 기술력을 안정화시킴으로써 향후 유비쿼터스 주요 산업 구축을 위한 기반 기술을 마련함
ㅇ 고속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망 구성
ㅇ Ad-hoc Network의 Multi-hopping 라우팅 기술은 모든 클라이언트 장비를 라우터/리피터로 전환이 가능케 함으로 사용자 간에 자체 망을 구성하여 서비스 범위를 확장할 수 있음
ㅇ 다양한 통신방식 및 주파수에 적용 가능
ㅇ 고정 통신망이 필요하지 않는 통신망 구축 가능
ㅇ 기존 무선 통신 방식에 비해 저렴한 구축 및 운영 비용
ㅇ 기존의 거시적인 (Macroscopic) 교통자료 대신 개개의 차량이나 실시간의 미시적인 (Microscopic) 교통자료 수집을 통해, 추종이론, 차로변경 등 교통류 흐름에 관한 미완 문제들을 극복하게 됨으로써 정체관리 기술의 진일보가 기대됨.
ㅇ 본 연구결과의 활성화로 u-Transportation 환경이 도입되면 적용기술과 서비스기능에 대한 기술적 수준이 선진국과 비교하여 우위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기술적 경쟁력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됨.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ㅇ u-T 세부과제에서 연구 및 개발되는 핵심기술에 대한 기술적 검증 및 평가방법은 향후 제안되는 첨단교통기술의 연구개발과제 선정 및 기술타당성 평가에 지침서 역할을 할 수 있음
ㅇ u-Transportation 기반기술 외에도 향후 개발가능한 신기술의 u-T 체계 적용시 개발된 u-T 체계종합기술이나 Test Bed 시험검증 및 통합시스템 안정화 방안 등에 의한 교통인프라의 경쟁력을 한층 강화시켜 u-T 환경구축을 가속화 시킬 것으로 기대됨
ㅇ 개발되어 지는 u-T 기반기술들이 실제 활성화 측면에서는 현재 관련 법제도 등에서 상충이 생길 수 있지만, 이에 대비한 u-T 안정화 방안은 향후 u-T 환경구축시 발생할 수 있는 사회?문화적 문제를 사전에 예방함으로써 향후 형성되는 어떠한 교통체계에서도 자연스럽게 제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ㅇ u-T 아키텍처는 대국민 서비스를 상호연동시키고 확산시키기 위하여 해결해야 할 장애요소들을 극복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새로운 협업문화를 창출하고 업무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수단으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
ㅇ 또한 u-T 구축현장에서 u-T 아키텍처와 표준화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
ㅇ 실시간으로 다양한 정보를 수집 및 제공할 수 있으므로 교통혼잡, 물류비용, 교통사고, 환경 오염 등이 감소하여 사회적 편익이 증대되고 이를 통해 삶의 질이 개선될 것으로 판단됨
ㅇ 휴대 인터넷과 같은 경제적인 데이터망의 사용 그리고 실시간 교통 정보 데이터의 수집은 텔레매틱스 사업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됨. 현재 이동 통신 3사의 텔레매틱스 서비스 가입자는 40만 미만이지만, 현재 1500만대인 자동차 등록대수를 감안하면 수천억원대의 통신 시장을 새로이 창출할 수 있을 만큼의 경제적인 파급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측됨. 또한 초기 데이터망의 성공적인 정착을 가져와서 이로 인한 통신 사업 성장에 크게 기여할고, 이로 인한 수출 증대, 내수 시장 확대 및 해외 시장 개척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판단됨
ㅇ 통행시간비용의 절감으로 경제성이 증대되고 사회비용의 감소를 유도할 수 있음
ㅇ 언제 어디서나 쉽고 편리하게 접속 가능한 유비쿼터스 환경 하에서 교통상황에 적합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해 줌으로써 도로 이용자들의 통행선택을 다양화하여 도로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교통정보에 대한 이용자의 신뢰도가 제고되어 도로관리의 효율 향상 효과가 기대됨.
활용방안 ㅇ u-Transportation 체계종합기술은 각 세부과제 년차별 개발연구내용 및 소요기술들을 바탕으로 u-T 체계를 구성하는 단위 또는 부문별 시스템의 분석, 구성요소 도출, 설계, 운영전략, 테스트 및 평가 등의 단계를 통해서 u-T 체계를 최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최종의 u-T 체계종합기술을 개발하게 됨
ㅇ u-T 시스템 및 서비스의 핵심기술에 대한 시스템 차원에서 객관적 접근방법을 통하여 문제점 및 장단점을 구체화할 수 있어 향후 실제 구축사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행착오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관련 신기술에 대한 평가방법에 적용할 수 있음
ㅇ u-T Test Bed 시험검증 기술은 실제 Test Bed에서 구축되어 시험운영되는 u-T 시스템에 대한 평가결과뿐만 아니라 평가를 위한 기준, 시나리오, 시험절차 및 평가과정 등을 명확하게 제시함
ㅇ Test Bed의 시험검증 내역을 바탕으로 u-T 통합시스템에 대한 검증 및 평가에 대한 객관적인 참조자료로서 사용되며, u-T 기반기술들의 부문별 또는 종합적인 시스템 구성 시 기술적 안정화 방안에 대한 가이드라인으로서 활용할 것임
ㅇ 향후 기존 교통시스템에 u-T 기술 및 시스템의 적용 시 관련된 법제도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도출함으로서 향후 u-T 체계구축을 촉진할 수 있는 방안으로 사용하게 됨
ㅇ u-T 아키텍처 구축은 u-T 서비스를 규정하고 각 서비스별 기능적 요구사항을 도출하여 최적 아키텍처를 구축하고 활용하도록 유도
ㅇ 실제 연속류/단속류 도로상에 적용하여 서비스 제공할 수 있는 알고리즘 및 시나리오 제공
ㅇ 현재 ITS에서 방송, VMS 등을 통해 제공 중인 교통소통정보, 우회도로정보, 통행시간정보 등을 개인 단말기를 통해 제공이 가능하며, 개개인별 경로에 따른 맞춤형 서비스 제공
ㅇ 전체 재난시 대응방안의 한 부분으로서의 교통운영관리의 시스템화로 재난 대응의 지능화를 선도할 수 있음
ㅇ 유비쿼터스 무선네트워크 산업을 초고속 유?무선인터넷 등 국가 비교우위 산업과 접목시킴으로써 국내?외 수요 확대와 산업 경쟁력 강화
ㅇ 교통 및 기타 다양한 분야에 적용 및 활용
- 지능형 교통시스템(ITS), Telematics,
- Sensor Networks, 차세대 이동통신, Mobile Wi-Fi, 비상통신분야
- Law Enforcement 또는 Military Use
- Digital Home, office and public networking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유비쿼터스 교통시스템 통합 유비쿼터스 교통망 기반기술 유비쿼터스 교통운영관리 - -
영문 u-T System Integration u-TSN System Ubiquitous Transportation Management - -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u-Transportation기반기술개발20120816_20111128_최종_김승일_보안과제.pdf   다운로드 u-Transportation 기반기술 개발(최종).pdf   다운로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