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년도 |
o 항공안전기술관련 핵심인증/인증평가요소/인증체계구축o 소형항공기급 인증기 설계요구 조건 확정 및 개념설계o 소형항공기급 인증기 기본 설계
|
- 항공안전기술 개발사업의 총괄적 조정 및 관리- BASA 사전 협의- 소형항공기급 인증기 개발 기본 설계- 소형항공기급 인증기 구조/추진/비행조종/세부 계통 해석 기술개발- 소형항공기급 인증기 공력해석 및 풍동시험- 설계 검증 기술 개발을 위한 설계 검증 해석 방안 수립 및 시제품 제작 및 시험장비 확보- 소형 항공기 기술기준 국제화 개발/핵심인증기술 개발- 항공용 소프트웨어 인증 기술기준 개발/인증평가요소 개발- 설계기술 관련 규정 분석 및 해석 기법 연구/비행기록자료 분석 시스템 기본 설계- 인증 관련 적합성 평가 요소 개발- 항공기 인증 시범사업 인증 체계 구축
|
연구성과 |
기술적 기대성과 |
o 항공안전 핵심기술개발을 통한 타 수송 분야로의 기술 이전 발생 - 차량, 선박 등 타 운송 시스템 개발 및 운용 분야로의 기술이전이 가능 해짐으로써 국내 수요 충족 및 수입대체 효과 발생 가능o 항공 사고예방 기술개발을 통한 항공안전 향상 - 항공기 구성품의 결함이나 안전상태를 실시간으로 진단, 분석함으로써 항공기를 최적의 안전상태로 유지 - 지상충돌 경보시스템과 합성 비행영상 시스템으로 지상충돌 사고의 예방이 가능하고, 3차원 지형 가상현실 비행영상정보를 조종사에게 제공함으로써 항공기 비행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키고 조종편의성 제공 - 국내 개발 항공기 및 도입항공기에 대한 신뢰성 있는 안전성 검증 수행을 통한 항공 안전 향상 - 세계적 수준의 인증시스템 및 계속 감항성 유지체제의 구축, 안전성 인증기술 확보를 통한 우리나라 항공 산업의 신뢰등 향상 및 안전성 증진o 항공 안전평가 및 안전인증 기술개발로 항공선진국 수준 체제 확보 - 미래의 항공기술 및 세계적 동향에 적합한 제도 구축을 통한 관련 항공 산업의 활성화에 기여하며, 국내 항행안전 체제기반 구축 및 세계적 수준의 항공 인증체제 확보 가능o BASA 체계 구축 및 시범사업 인증으로 전 세계 항공시장 진출 - 항공선진국과의 동등한 수준의 인증체제 구축을 통한 국내 독자 개발 항공기의 수출장벽 극복이 가능하여, 미국을 포함한 전세계 항공시장 진입 가능 - BASA 구축을 통한 항공기급 범위 내의 모든 국산 항공기의 수출 가능성 확보o 소형항공기급 인증기 개발로 경쟁력 있는 항공기 개발 가능 - 소형인증기 개발을 통한 국내 항공기 개발 기술 수준 제고 - 경쟁력 있는 항공기 개발 기반 확보 및 국제 공동개발 참여 향상 - 대형 인증기의 개발 기반 기술 확보가 가능해짐으로써, 항공기 개발 선진국 대열에 합류 가능
|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
o 항공안전 핵심기술개발을 통한 항공 안전 선진국으로의 국가 신인도 제고 - 항공안전기술개발, 안전관리 및 통합안전정보화 구축을 통한 세계 10위권의 항공안전강국으로의 진입 가능 - ICAO 상임이사국 및 항공운송 대국에 부합하는 항공 안전기술 확보를 통한 항공안전 일류국가로써의 국가 신인도 제고o 항공사고예방기술, 항공 안전평가 및 안전인증 기술개발을 통한 국민 삶의 질 증진 - 시스템 고장 등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민간항공기의 비행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킴으로써 항공물류 활성화 및 이에 따른 국민 삶의 질의 향상에 기여 - 항공교통량 증가 대비 항공기 및 항행안전시설에 대한 안전성, 신뢰성, 운영 효율성 향상으로 대국민 서비스 및 복지 향상에 기여 - 최근 국가 경제력 향상에 따른 국민들의 경제적 여유와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기대에 부응하는 항공교통 및 항공레져 활동 기회 확대 가능o 항공기급 BASA 체계 구축 및 시범사업 인증으로 사회적 인프라 구축 - 항공기 개발 과정에서 인증에 대한 중요성 인지를 통한 체계적인 항공제품 개발 및 판매 경쟁력 제고 - 항공 산업 전 분야에 걸친 인증기술 확산과 범국가적인 인증전문가 양성 시스템 구축으로 항공산업 발전을 위한 사회적 인프라 구축 가능o 항공기급 BASA 체계 구축 및 인증기 개발을 통한 해외시장 진입 및 국산항공기 수출증대 효과 - 항공선진국 및 후발경쟁국과의 동등한 수준의 인증활동을 통한 항공 제품의 해외 의존도를 낮추고, 무역수지 개선에 기여 가능 - 항공기급 BASA 체결로 국내 운용 항공기의 유지 보수 부품까지의 수입 대체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 고부가가치 시스템 종합산업인 항공기 개발 산업의 부양으로 시스템통합, 체계종합, 구성품 및 부품에 이르는 연계 산업으로의 기술 접목이 가능하여 관련 타 산업의 연계 성장 가능 - 국내 항공기 유지 부품의 국산활르 통한 수입 대체 효과를 유발하고, 해외 수출을 통한 수익성 증대로 항공산업의 활성화 가능
|
활용방안 |
o 국가 항공안전 정책 수립 및 법령 체계 개선안 제시 - 연구사업의 성과를 항공안전에 필요한 법령 정비 및 정책 수립시에 활용 -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의 부속서 및 국제기준 동향을 파악하여 이를 국가 항공안전 정책 수립에 활용 -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의 상임 이사국으로서 국제항공정책 및 기준 수립시 본 사업의 연구성과를 반영하고 활용o 국제기구의 안전점검 대비 및 국가 안전등급 유지/향상에 활용 - 세계항공시장의 항공자유화 정책(Open Sky Policy) 확산으로 인한 국제적 항공안전부분의 규제에 대비 및 기술적 지원 -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의 항공안전평가프로그램 및 항공안전부문별 안전관리시스템 구축/시행에 대비 및 기술적 지원o 국제적인 항공안전 수준의 확립과 항공안전인증 수준 확보 - 항공안전 평가 기술 및 인프라(시험설비 등)를 구축하고 실질적인 항공사고율 저감을 위한 핵심기술과 시스템을 구축 - 구축된 항공안전 인프라를 국내 항공부품 개발 및 항공기 개발시에 적극 활용하여 국가 경쟁력 확보에 기여 - 한/미 항공안전인증 협정(BASA)의 체결을 통해 국내 항공산업의 대외 수출 돌파구 역활을 수행o 소형항공기 개발을 통한 국익 창출 - 신개념의 소형 항공기는 국내 확보 인력, 기술, 시험평가 및 생산의 인프라를 항공산업 및 인증기술과 유기적으로 연계시킴으로써 고부가가치 항공산업의 주력산업화 기반을 마련하고 국가이익을 창출할 수 있음 - 경쟁국보다 디지털/IT 기술 및 정밀가공/생산 기술수준이 우위에 있고 항공기술의 수준도 차이가 없어, 본 전략프로그램을 통한 완제기급 항공기의 개발과 국제 인증기술의 확보는 가까운 미래에 형성될 차세대 항공교통수단의 틈새시장에서 기술경쟁력과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는 환경과 발판을 마련해 줄 것임o 소형인증기 및 국가 항공인증체계 - BASA 시범사업으로 개발된 소형항공기급 인증기를 국산 항공기 부품 TEST-BED로 활용함으로써 국내 관련 부품산업 활성화에 기여 - 구축된 14 CFR Part 23급 소형항공기 인증체제의 14 CFR Part 25급 인증체제 구축시 인프라 기반으로 활용 - 소형인증기 개발을 통해 구축된 항공기 개발 기술 및 시험평가 설비 등의 항공기 개발 인프라를 추후 개발이 예상되는 중/대형 항공기로의 개발에 활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