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경량전철시스템실용화사업3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철도기술연구사업 과제번호 08PURT-B044292-03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None | None | None 적용분야 -
2순위 None | None | None 실용화대상여부 -
3순위 None | None | None 과제유형 -
과제명 경량전철시스템실용화사업
주관연구기관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유상환
소속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직위 수석연구원
기관 대표번호 031-460-5000 FAX 031-460-5814
총 연구기간 2006-12-15 ~ 2009-12-14
당해연도 연구기간 2008-12-15 ~ 2009-12-14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3차년도 1,740,000,000 26,000,000 144,000,000 170,000,000 1,910,00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ㅇ 현재 도심의 대중교통은 지하철중심에서 수송수요와 경제성이 부족한 대도시 지선망이나 중소도시 간선망, 관광지 및 공항 등의 셔틀(Shuttle) 수단으로 새로운 교통시스템이 필요하며 이러한 새로운 개념의 교통시스템은 적정한 수송용량과 정시성, 신속성 및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경량전철이 최적임. ㅇ 경량전철기술개발사업이 성공리에 완료되었으나 소음, 진동 및 성능 개선, 신호시스템 신뢰성 향상 등의 시스템 안정화와 기술 고도화가 필요함. ㅇ 일본 등 교통선진국에서는 수요자의 요구에 맞게 다양한 시스템이 개발 운영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관련 지자체의 수요와 지리적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시스템의 도입이 예상됨. 이러한 국내 환경에 대비하기 위한 체계적인 기술개발이 요구되며 다양한 경량전철시스템에 대한 효율적인 운영, 경제적인 건설 및 안전을 위해서는 표준화체계의 수립이 필요함. ㅇ 당 연구단 과제는 1)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개발된 경량전철시스템을 기술 고도화 및 안정화하여 국내보급 및 해외 수출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실용화와 사업화를 위주로 하고 있으며 2) 수요기관에 다양한 경량전철시스템의 국가 표준화기준을 제시함으로서 경량전철 건설을 촉진하고 국내에서 추진되고 있는 다양한 시스템에 대하여 기본적인 성능 및 안전성 기준을 제공하는 것이다.
최종목표 ㅇ 경량전철 신호시스템의 안정화/기술고도화 및 경량전철시스템의 국가표준 마련



<제1세부과제 : 신호시스템 기술고도화>

ㅇ 경량전철시스템기술개발사업을 통해 개발한 신호시스템의 국산화율 향상 및 기술고도화

- 신호시스템의 국산화율 제고 (60%에서 90%수준으로)

- 다중편성 시험을 위해 실제 운영 상황구현이 가능한 더미차량 설계 및 제작

- 다중편성 시스템 구현을 위한 종합운행제어 관리장치 개선



<제2세부과제 : 신호시스템 종합시험평가>

ㅇ 다중편성 시험을 지원하도록 경량전철 시험선의 인프라 개선 및 신호시스템의 종합시험평가

- 다중편성 시험을 위한 시스템 요구사항 연구

- 다중편성 시험을 위한 시험선 개선 (궤도 및 전력설비 등 인프라 개선)

- 신호시스템 종합 기능 및 성능 평가

- 다중편성 시험을 위한 시험기준 마련 및 종합시험평가



<제3세부과제 : 경량전철 표준화기준 연구>

ㅇ 경량전철시스템(노면전차, 모노레일, 선형유도모터)에 대한 국가 표준화 기준 마련

- 차량 표준규격, 차량 성능시험기준, 차량 안전 기준, 건설지침, 운전규칙
연구내용 및 범위 <제1세부과제 : 신호시스템 기술고도화>

ㅇ 차상 및 지상 CBTC장치 국산화 개발
- 차상 CBTC부 알고리즘 및 하드웨어 설계
- 지상 CBTC장치의 각 모듈 동작 알고리즘 설계
- 차상 CBTC 제작 및 성능시험
- 지상 CBTC 장치 모듈별 성능 시험

ㅇ 더미차량 제작 및 자체 성능 시험
- 더미차량과 차상 CBTC장치 인터페이스 설계
- 더미차량 제작
- 더미차량과 차상 CBTC장치 인터페이스 시험

ㅇ 종합운행제어관리장치 다중편성 시스템으로 개선 (현재 단일차량 정보만 표시하도록 구현되어 있음)
- 다중편성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설계
- 다중편성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 Upgrade

ㅇ 다중편성 열차제어시스템 구축 및 안전성 시험
- 다중편성 상태에서의 이동폐색 구현시험
- 연동에 의한 주행 시험

ㅇ 공인시험기관의 성능시험 실시
- 국산화된 신호시스템의 성능 및 기능 시험기준 마련
- 국산화된 신호시스템의 성능 및 기능시험

ㅇ 주파수 확보 방안 연구
- 세계 철도신호 전용 주파수 동향 파악 및 국내 주파수 사용 현황 파악
- CBTC 장치와 같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타 무선통신 기기에 대한 영향 파악
- CBTC 장치 전용주파수 확보 방안 연구

<제2세부과제 : 신호시스템 종합시험평가>

ㅇ 다중 편성시험을 위한 시험선 개선 설계 및 개선
- 다중편성 시험을 위한 시스템 요구사항 연구
- 시험선 인프라시스템 개선 설계(다중편성시험을 위한 보완 및 시스템 개선 설계)
- 다중편성을 위한 전력시스템 개선
- 1차 연도의 개선 설계안에 따라 시험선 보완 및 개선
- 개선된 시험선에 대한 평가

ㅇ K-AGT 적용 활성화를 위한 경량전철 사업추진 모델 수립 연구

ㅇ 다중 편성시험을 위한 시험기준 마련
- 해외 CBTC시스템관련 다중편성 시험기준 자료 수집 및 분석
- 다중편성 시험기준 마련
- CBTC시스템 전문가 협의회를 통한 다중편성 시험기준 보완 및 확정
- 주행패턴을 고려한 다중편성 Dia 운전계획 수립

ㅇ 신호 시스템 통합 및 종합시험평가
- 제1세부과제에서 작성한 신호시스템에 대한 시험기준 검토 및 보완
- 제1세부과제에서 국산화된 신호시스템 종합 기능 및 성능 평가

ㅇ 다중편성에 의한 신호시스템 종합평가
- 다중편성 시험기준에 따라 이동폐색 운행시험, CBTC 구성장치의 이상시 운행시험, CBTC 구성장치 이외의 이상시 시험 수행
- 다중편성 Dia 운전시험

<제3세부과제 : 경량전철 표준화기준 연구>

ㅇ 노면전차형식 차량 표준화기준 마련
- 노면전차형식 표준규격/안전기준/성능시험기준/건설지침/운전규칙 연구
- 노면전차형식 표준규격/안전기준/성능시험기준/건설지침/운전규칙 의견수렴 및 기준마련

ㅇ 모노레일형식 차량 표준화기준 마련
- 모노레일형식 표준규격/안전기준/성능시험기준/건설지침/운전규칙 연구
- 모노레일형식 표준규격/안전기준/성능시험기준/건설지침/운전규칙 의견수렴 및 기준마련

ㅇ 선형유도모터형식 차량 표준화기준 마련
- 선형유도모터 형식 성능시험기준 연구
- 선형유도모터 형식 표준규격/안전기준/성능시험기준/건설지침/운전규칙 의견수렴 및 기준 마련

ㅇ 철제차륜 차량 표준화기준 마련
- 철제차륜형식 표준규격/안전기준/성능시험기준/건설지침/운전규칙 의견수렴 및 기준 마련

ㅇ 고무차륜 차량 표준화기준 마련
- 고무차륜형식 안전기준/성능시험기준/건설지침/운전규칙 의견수렴 및 기준 마련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3차년도 O 제1세부과제
- 다중편성 열차제어시스템 구축 및 시험
- 지상 CBTC시스템 알고리즘 개발
- 공인시험기관의 성능시험 실시
O 제2세부과제
- 시스템 통합 및 종합시험평가
- 다중편성에 의한 신호시스템 종합평가
O 제3세부과제
- 고무차륜형식 표준화기준 의견수렴 및 기준마련
- 철제차륜형식 표준화기준 의견수렴 및 기준마련
- 선형유도전동기형식 표준화기준 의견수렴 및 기준마련
- 노면전철형식 표준화기준 의견수렴 및 기준마련
- 모노레일형식 표준화기준 의견수렴 및 기준마련
O 제1세부과제
- CBTC 차상장치 현차 적용 시험
- 다중편성(2편성) 상태에서의 이동폐색 구현 시험
- 연동에 의한 주행 시험
- 알고리즘 시험을 위한 시험장치 제작 및 시험
O 제2세부과제
- 제1세부과제에서 개선된 신호시스템 종합 기능 및 성능 평가
- 다중편성 시험기준에 따라 시험평가
- 다중편성 Dia 운전시험

O 제3세부과제
- 고무차륜형식 건설지침 기준마련, 운전규칙 의견수렴 및 기준마련, 안전기준 기준마련
- 철제차륜형식 건설지침 기준마련, 운전규칙 의견수렴 및 기준마련, 안전기준 기준마련
- 선형유도전동기형식 건설지침 기준마련, 운전규칙 의견수렴 및 기준마련, 안전기준 기준마련
- 노면전철형식 표준규격 기준마련, 안전기준 기준마련, 건설지침 의견수렴 및 기준마련, 운전규칙 의견수렴 및 기준마련
- 모노레일형식 표준규격 기준마련, 안전기준 기준마련, 건설지침 의견수렴 및 기준마련, 운전규칙 의견수렴 및 기준마련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O 무인운전 신호시스템의 시험평가기술 확보로 국내 철도신호 기술 향상 유도
O 경량전철의 차량, 전력공급, 신호제어, 토목?궤도 기술이 종합된 시스템엔지니어링 기술 향상
O 철도차량 개발 프로세스 및 데이터 관리로 개발기간 단축
O 경량전철시스템 투입비용 분석 기술개발로 연구개발품에 대한 실용화 촉진
O 경량전철 표준화 체계 구축 기술로 체계적인 국가 교통망 구축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O 국내 시장 진입이 추진되고 있는 해외의 경량전철 도입가격이 낮아졌고 협상과정에서도 유리하게 작용하여 외화절감효과.
O 국내에 도입예정인 경량전철 건설사업의 지방자치단체에서 제시한 예상 사업규모는 2005년 12월 현재 기준으로 총 13조8,040억원(차량:5조7,120억원, 인프라:8조920원) 추산되며,
O 한국형 경량전철이 활용된다면 연간 1,579억원의 유지보수비용 절감이 가능하고, 5조2,836억원의 수입대체 효과가 기대됨.
O 건설 계획노선의 승객수요와 지자체의 재정 상황에 따라 기 개발된 고무차륜 AGT을 선택할 수 있게 함으로서 국내 도시철도운영기관의 경영개선에 기여(건설 및 운영, 유지보수비용 절감).
O 국내 실적을 기반으로 해외 수출이 용이
O 국책연구기관이 시스템 기술을 보유함으로써 국가의 효율적인 대중교통체계 수립 가능
O 교통혼잡 완화로 물류비용 및 교통혼잡비용 절감과 대국민 교통서비스 향상
O 대기오염, 소음, 진동 문제 및 에너지 문제의 개선효과
O 지역 사회 발전 및 국민 복지 향상
O 기술성과 발표회 및 지자체 지원 등을 통해 경량전철 건설방향 및 기준제시
활용방안 O 국산화율 향상된 신호시스템의 국내 보급 및 해외 수출
O 신호시스템 종합시험평가기술은 국내 도입 예정인 무인운전 경량전철의 성능 평가 기술로 활용
O 다중편성시험 방안과 신호시스템 종합시험평가 방안은 국내 도입예정인 무인운전 신호시스템의 성능/기능/안전성 평가 기준으로 제공
O 신호시스템 종합시험 성적서는 K-AGT 신호시스템의 성능 입증자료로 활용
O 개선된 경량전철시험선을 지속적으로 활용하여 다중편성에 의한 RAMS 평가 연구에 활용
O 도시철도 운영기관 및 지자체에 개선된 무인운전 경량전철시험선의 견학/기술교육으로 활용
O 기 건설된 경량전철시험선을 활용하여 지방자치단체에 대해 경량기술을 지원 및 국산화 개발품의 품질인증, 성능시험 등을 수행
O 경량전철 표준화기준은 부산, 용인, 의정부, 김해 등 경량전철을 추진 중인 지자체에 관련 규정으로 활용 및 국토해양부 고시
O 국내 교통문화 조기 정착 및 새로운 교통문화 창출을 위해 경량전철 성능/안전기준(안) 표준체계 확립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경량전철시스템 표준화 종합시험평가 다중편성 기술고도화
영문 Light Rail Transit System Standardization Total Test & Evaluation Multiple Train Set Technical Upgrade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0116_경량전철시스템실용화사업 총괄요약보고서.pdf   다운로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