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기후변화에 의한 수문 영향분석과 전망1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물관리연구사업 과제번호 09CCTI-B054362-01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건설 교통 | 수공시스템기술 | 수자원 통합관리기술 적용분야 건설업
2순위 None | None | None 실용화대상여부 실용화
3순위 None | None | None 과제유형 응용
과제명 기후변화에 의한 수문 영향분석과 전망
주관연구기관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김영오
소속 국립대학법인서울대학교 직위 교수
기관 대표번호 02-880-1522 FAX 02-873-2684
총 연구기간 2009-12-30 ~ 2012-12-29
당해연도 연구기간 2009-12-30 ~ 2010-08-29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1차년도 500,000,000 32,730,000 0 32,730,000 532,73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본 연구에서는 수자원 분야에 있어 현재 한반도에서 기후변화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미래 수자원의 변화와 수자원시스템에 대한 기술적 및 경제적 영향을 표준화된 방법으로 전망하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는 한반도 기후변화 평가에 적합한 유출모형과 물수지모형 등 모형적용기술을 비롯하여 시계열 분석과 극치 분석 기술 등의 학술적 기술 획득을 포함한다.
?본 연구의 큰 방향은 기후변화에 대비하여 국가 주요 수자원 시설물의 안전을 진단함은 물론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 분야 경제성을 평가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수자원 정채을 수립하기 위해 관련 법제도의 가이드라인과 그 추진전략을 제시하는 실용화 기술이다
최종목표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수자원 전망 기술 표준화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극치사상(홍수 및 가뭄) 추정 기술 개발
?기후변화를 고려한 물순환 및 물수급 정량화 기술 개발
?기후변화를 고려한 경제성 평가 및 수자원 정책 수립
연구내용 및 범위 ?기후변화에 따른 수문변동 전망기술 개발
-기후변화에 따른 장기수문시나리오 표준화 및 전망(시나리오 기반의 전망기술)
-기후변화에 따른 중단기 수문전망(비시나리오 기반의 전망기술)
-유역단위 시공간 스케일 상세화기법망
?기후변화에 의한 극치수문량 전망기술
-극한 홍수량의 전망기술 개발
-극한 가뭄으로 인한 수자원 전망기술 개발
-기후변화를 고려한 비정상성 수문모형 해석기법 개발
?수문변동 정량화 및 수자원정책 수립
-기후변화에 따른 한국형 수문순환 평가
-기후변화에 따른 물수지 전망
-기후변화를 고려한 수문 전망과정의 불확실성정량화
?기후변화 대응 수자원 정책 수립
-기후변화에 의한 수문변동의 영향평가 및 시설물(댐, 제방) 영향분석
-기후변화를 대비한 법?제도 개선 및 수자원정책 제시
-기후변화가 물관리에 미치는 사회?경제적 영향평가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1차년도 - 기후변화에 따른 수문시나리오 표준화 사례조사
- 비시나리오 기반의 기후변화 수자원전망 기법조사
- 유역단위 시공간적 스케일 상세화기법 도출
- 기후변화에 의한 극한홍수량 전망기술 조사
- 가뭄변동해석 및 평가기법 분석
- 극한강우 선정기법 및 수문해석 기술 조사/분석
- 기후변화에 따른 수문순환 평가기법 조사
- 기후변화에 따른 물수지 전망기법 조사
- 기후변화 고려 수자원의 불확실성 평가기법 조사
-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시설물 영향분석기법 조사
- 기후변화 대비 수자원정책 현황 조사
-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의 사회/경제적 영향평가기법 조사
- 국내외 기후변화 표준화 조사 및 상세화기법 조사
- 국내외 기후변화 활용 유출 모형 특성 조사
- 국내외 기후변화 수자원전망 분석기법 조사
- 국내외 중단기 수문전망 기법 조사 및 분석
- 과거 수문조사 경향성 분석
- 역학적/통계적 상세화기법 조사
- 유역단위의 수문변수 상세화기법 도출
- 장기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극한홍수량 전망기술 분석
- 다차원 수문기상인자의 차원저감기법 조사?분석
- 국내외 가뭄빈도해석 기법 조사?분석
- 기후변화 연계가뭄 연구사례 조사?분석
- 국내외 극한강우 연계 수문해석기술 분석
- 극치수문량의 불확실성 분석기법 조사?분석
- 국내외 기후변화에 따른 수문순환 평가 사례 조사
- 국내외 수자원부존량 예측 기법 조사
- 국내외 물수지 전망기법 사례 조사
- 국내외 물수지 분석 프로그램 조사 분석
- 불확실성 평가 기법 조사
- 기후변화 연계 불확실성 분석 사례 조사
- 국내외 시설물 위험도 조사 분석기법 조사
- 기후변화를 고려한 시설물 평가 기법 조사
- 선진국의 기후변화 수자원정책 현황 조사
- 개발도상국의 수자원정책 현황 조사
- 기후변화의 비용 추정 방법론 조사
- 기후변화가 사회/경제에 미치는 영향분석 사례 조사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수자원 분야 기후변화 연구의 표준화된 방법론과 결과는 타 분야 뿐만 아니라 개발도상국에 수출하는 기술적 파급효과 유발 가능
?기후변화 대응 국내 수자원 기술력을 선진국 대비 90%의 기술력 확보 가능
?본 과업을 통하여 15억 m3의 양 확보 가능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본 과업을 통하여 연평균홍수피해액 2,200억 원 저감 가능.
?공신력있는 연구결과를 대중에게 제공함으로서 향후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전개할 기후변화 적응전략의 효용성을 높일 수 있음
활용방안 ?수자원 분야 기후변화 표준시나리오는 이 분야 모든 학술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
?기후변화에 따른 극치사상 추정량은 ‘하천설계기준’의 설계수문량 산정 가이드라인으로 활용 가능
?경제성 평가를 통하여 기후변화 대응 수자원 전략들의 경제적 우선순위를 부여함으로써 효과적인 학술 및 산업 투자 유도 가능
?표준시나리오를 이용한 스케일상세화, 물수급 펴가, 불확실성 정량화 등을 통하여 수자원장기종합에 반영가능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기후변화 시나리오 수자원 전망 수문변동 분석 불확실성 정량화 수자원 경제 및 정책
영문 Climate Change Scenarios Water Resources Projection Hydrological Change Analysis Uncertainty Quantification Water Resources Ecnomic & Policy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기후변화에 대비한 수문영향 분석 및 전망.pdf   다운로드 기후변화에의한수문영향분석과전망3차년도최종보고서-20121229.pdf   다운로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