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도시철도표준화2단계 연구3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철도기술연구사업 과제번호 09PURT-B043830-03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건설 교통 | 도로교통기술 | 교통환경 개선기술 적용분야 기타 산업
2순위 None | None | None 실용화대상여부 실용화
3순위 None | None | None 과제유형 개발
과제명 도시철도표준화2단계 연구
주관연구기관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한석윤
소속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직위 수석연구원
기관 대표번호 031-460-5000 FAX 031-460-5814
총 연구기간 2007-07-23 ~ 2012-06-29
당해연도 연구기간 2009-06-30 ~ 2010-06-29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3차년도 6,274,000,000 307,078,000 812,399,000 1,119,477,000 7,393,477,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도시철도의 성능 및 안전성, 운영 효율성 향상을 위한 도시철도표준화기준 연구 및 국내 도시철도산업 기술 향상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
최종목표 도시철도표준화기준 연구와 핵심장치 개발을 통해 도시철도의 성능과 안전성, 운영효율 향상 및 도시철도의 기술발전을 유도
-도시철도차량 표준화 기준 연구와 신뢰도가용도시스템 개발
-정보통신시설, 역사시설 및 교류/직류용 전력시설 표준화기준 연구
-정보통신시설, 역사시설 및 교류/직류용 전력시설의 핵심장치 기술개발
연구내용 및 범위 <사업내용>
o 도시철도차량 표준화기준 제개정 연구
o 도시철도차량 신뢰도/가용도 기준 연구 및 관리시스템 개발
ㅇ 정보통신시설, 역사시설 및 교류용 전력시설 및 직교류차량의 표준화기준 연구
ㅇ 정보통신시설, 역사시설 및 교류용 전력시설의 핵심장치 기술개발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3차년도 <1세부과제>
o직/교류전동차 표준화기준 제정(안) 작성 및 고시지원
o직류전동차 표준화기준 개정(안) 작성 및 고시지원
o도시철도차량 신뢰도/가용도 관리시스템 개발
o도시철도차량 신뢰도 및 LCC 기준 작성
o차량안전성향상을 위한 적용방안 연구

<2세부과제>
o정보통신시설 
- 정보통신시설 표준화기준 작성(2)
- 정보통신시설 핵심장치 상세설계 및 제작

o전력시설 
- 전력시설 표준화기준 작성(2)
- 전력시설 핵심장치 상세설계
및 제작

o역사설비 
- 역사설비 표준화기준 작성(2)
- 도시철도 내진설계기준 개정
- 소음저감시스템 기본설계 및 단품 제작
- 개착식 구조물 내진성능 보강시스템 상세설계 및 단품제작
- 공조설비 장착용 미세입자 저감시스템 시제품 제작 및 성능 검증
- 지하역사 급기팬 용량 최적화를 위한 FDS 기반의 프로그램 개발(3)
<1세부과제>
o직?교류전동차 표준규격/성능시험기준 제정 고시 지원 및 해설서 작성
o직?교류전동차 품질인증 제정 초안 작성
o직류전동차 정밀진단기준 개정 최종(안) 작성
o직류전동차 표준규격, 성능시험, 품질인증 개정 최종(안) 작성
o직류전동차 안전기준 개정 초안 작성
o도시철도차량 신뢰도/가용도 관리시스템 기본설계
o도시철도차량 신뢰도/가용도 관리시스템 상세설계
o도시철도차량 신뢰도 및 LCC 기준 연구 
o차량안전성 향상을 위한 기준 적용방안 연구
o표준화기준 DB 구축(3) 및 추적성 관리

<2세부과제>
o정보통신시설 
- 정보통신시설 표준규격 수정안 작성
. 무선통신시스템, 방송시스템, 종합감시시스템, 디지털전송시스템 표준규격 수정안 작성
- 정보통신시설 성능시험기준 초안 작성
- 지능형 종합감시시스템 상세설계 및 제작(1)
. 종합사령실 감시 소프트웨어 설계 및 제작(1)
. 디지털영상저장장치 프로그램 상세설계 및 제작(1)
. 지능형 감시카메라 및 제어기 설계 및 제작(1)
- 차지상간 통합데이터 전송시스템 2차시작품 제작(통합데이터전송)(1)
. 1차 시작품 설계 수정 및 보완
. 2차 시작품 제작(통합데이터전송)(1)
. 차량용 통합데이터 송수신장치 설계 및 제작(1)
. 지상용 통합데이터 송수신장치 설계 및 제작(1)

o전력시설 
- 교류전력시설 및 교류/직류 연계구간 표준규격 수정안 작성
- 접지시스템 시설기준 수정안 작성
- 전식방지시스템 시설기준 수정안 작성
- 도시철도 선택차단형 DC 통합 보호계전장치
.상세설계 및 시작품 제작
.시뮬레이터에 의한 구성품 시뮬레이션 및 시험
.시험결과 분석 및 알고리즘 보완
- 직류용 FRP제 지지애자, 장간애자
.형식시험
.현장시험
- 교류/직류용 FRP제 절연구분장치(섹션인슐레이터)
.상세설계 및 제작
.공장시험
.현장시험 절차서 작성
- 도시철도 전력설비 온라인 수명예측 시스템
.각 전력설비별 온라인 수명예측 시스템 시제품 제작
.통합 온라인 수명예측 시스템 시작품 제작

o역사설비 
- 역사설비 표준규격 수정안 작성
. 방재, 환승/이동 설비시스템
. 환경제어요소의 거동특성 예측 및 평가
. 환경요소의 지표에 대한 표준 지침 정립
. 노약자, 장애인의 이동특성 및 위험요소 예측 및 평가
. 환기, 유도/피난, 장애인/노약자, 보안 시설/설비 필수항목 도출
. 환기, 공조, 장애인 설비시스템 설치 및 성능평가기법 개발 및 검증
- 역사설비 성능시험기준 초안 작성
- 도시철도 내진설계기준 초안 작성
- 도시철도 소음기준 초안 작성
- 소음예측기법 개발
- 직선구간 소음저감시스템 단품 설계 및 제작, 성능평가시험 및 평가
- 내진성능보강시스템 단품 제작, 성능시험 및 평가
- 역사건전성 모니터링 시스템 상세 설계
- Pilot-scale 청정공기 공급시스템 시운전 및 문제점 도출
- 실대형 청정공기 공급시스템 상세설계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o 도시철도차량의 가용성 및 예방정비 주기 결정을 위한 기반기반 기술이 확보되어 도시철도차량의 효율적인 운영 및 안전성 향상에 기여
o 국내기반이 취약한 내진성능보강기술 확보로 내진관련 분야 기반기술 향상 및 기술경쟁력이 높아짐
ㅇ 정보통신, 역사, 전력시설의 핵심기술확보로 유지보수성과 사고대처 능력이 향상되는 등 시설분야 기술발전 기대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o 직교류전동차, 정보통신, 역사설비, 전력 시설의 표준화 및 핵심장치 국산화로 약 4,900억원의 수입대체효과 및 약 190역원/년의 운영유지비 절감 기대
ㅇ 도시철도신뢰도가용도시스템은 도시철도차량의 고장을 감소시켜 열차운행중단, 열차운행지연 등 서비스 측면의 경제손실을 최소화하고, 최적의 예방정비 주기를 통한 유지보수비용 절감
ㅇ 쾌적하고 안전한 도시철도 운영환경으로 승객편의성 향상
ㅇ 콘크리트 슬라브궤도에 대한 소음저감설비, 지하공기실개선 관련 핵심기술 개발로 승객이용환경 향상과 민원감소 기대
활용방안 o 표준규격은 도시철도건설 및 운영기관의 구매사양, 설계 및 운영기준으로 활용
ㅇ 성능시험기준 및 품질인증기준은 도시철도시스템의 성능 및 용품의 품질확보를 위한 시험 및 인증기준으로 할용
ㅇ 직교류전동차, 정보통신, 역사설비, 전력 시설의 발주/인수/운영/페기에 이르는 전과정에 걸쳐 표준화기준이 정부, 도시철도건설 및 운영기관, 철도산업체에 널리 활용
ㅇ도시철도차량의 효율적인 운영 및 안전성 향상을 위해 신뢰성기반의 유지보수체계(RCM)를 유지보수(검수/정비)에 활용
o 도시철도 직교류차량, 정보통신, 역사 및 전력시스템 핵심장치는 운영기관현장에 설치되어 활용되고 이를 기반으로 한 해외수출과 관련인력 양성에 기여할 것임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표준화 전동차 정보통신 역사 전력
영문 Standardization Rolling stock Information&Communication Subway station Power supply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도시철도표준화 2단계 연구 최종보고서.pdf   다운로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