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도로교통 안전진단 및 관리를 위한 통합정보시스템 구축5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건설기술연구사업 과제번호 09CCTI-B043291-05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건설 교통 | 도로교통기술 | 교통운영관리기술 적용분야 기타 공공목적
2순위 None | None | None 실용화대상여부 실용화
3순위 None | None | None 과제유형 응용
과제명 도로교통 안전진단 및 관리를 위한 통합정보시스템 구축
주관연구기관 한국교통연구원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설재훈
소속 한국교통연구원 직위 명예연구위원
기관 대표번호 044-211-3114 FAX 044-211-3222
총 연구기간 2005-06-30 ~ 2010-09-07
당해연도 연구기간 2009-05-08 ~ 2010-09-07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5차년도 1,601,000,000 0 0 0 1,601,00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1.도로교통사고 조사 및 분석기술 개발
1.1 교통사고조사의 자동화 기술 개발
- Automatic Accident Recording System 실용화 기술 개발
- 교차로 교통사고 자동기록장치 성능향상 및 자료해석 기술개발

1.2 교통사고 조사의 과학과 기술 개발
- PDA 및 첨단장비를 활용한 교통사고 조사의 과학화 기술 개발
- Human Factors에 근거한 교통사고조사 과학화 기술개발

1.3 교통사고 정밀 해석기술개발
- 자동차 충돌시험 및 손상자료 분석을 통한 교통사고 정밀해석 기술개발
- 실시간 데이터 기반 교통사고해석 및 재현 프로그램 개발(2차년도 종료)

2. 도로교통 안전진단 기술 개발
2.1 도로교통 안전진단 기술
- 도로시설물 조사 첨단차량을 이용한 도로교통안전진단 자료 제공 기술개발(2차년도 종료)
- 도로교통 안전진단제도, 지침서 및 실용화 기술개발

2.2 진단 후 개선 기술 개발 및 효과 평가
- 도로교통 안전진단 후 개선기술 개발
- 개선기술 효과평가 및 DB 구축
- 도로안전시설 기술개발 및 효과평가(2차년도 종료)

3. 도로교통 안전관리 기준 정립 및 통합정보시스템 구축
3.1 도로안전도 평가체계 및 안전관리체계개발
- 도로안전도 평가체계 개발
- 도로교통안전관리체계 개발
- 국가안전관리전략 수립을 위한 교통시설 안전 심층조사 연구계획

3.2 도로교통 안전관리 통합정보시스템 구축
- 도로교통안전진단 및 관리 통합정보시스템 아키텍쳐 수립(2차년도 종료)
- 도로교통 안전진단 및 관리 통합정보 시스템 구축 기술 개발
최종목표 - 도로교통사조 조사와 분석의 효율화를 위하여 도로교통사고 조사 및 분석의 자동화?과학화 기술을 개발하고 체계 적이고 효율적인 교통사고분석 체계를 위하여 교통사고조사체계를 정비하고자 함
- 효율적인 도로관리를 위하여 도로교통 안전진단체계를 구축하고, 구축에 있어 유관기관의 기능을 통합하는 도로교 통안전 통합정보시스템을 완성하여 이를 바탕으로 교통사고감소를 위한 기술의 기반을 구축하는데 목표를 두고있 음
연구내용 및 범위 Ⅰ. 도로교통사고 조사 및 분석기술 개발
① 교통사고 조사의 자동화 기술 개발
- Automatic Accident Recording System 실용화 기술 개발
- 교차로 교통사고 자동기록장치 성능향상 및 자료해석 기술개발
- 현재 경찰의 사고조사자들이 수작업에 의해 교통사고현장 조사를 하고 있는 것을 효율화?간편화하기 위하여 교통사고 조사의 자동화 기술을 개발하고 이 기술을 지원하기 위하여 첨단형 자동사고기록장치(automatic acc ident recording system) 의 개발하고자 함

② 교통사고 조사의 과학화 기술 개발
- 현재 교통상황에 맞지 않은 기존의 교통사고 조사양식을 개편하고, 사망사고를 줄이기 위하여 사망사고 조사 및 분석기술에 신규기술 및 첨단화를 도입하는 등 사고자료 조사 및 분석 기술의 과학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③ 교통사고 정밀해석기술 개발
- 교통사고 분석과 사고 재현 프로그램에 충돌시험 기초 데이터를 제공하여 사고해석의 정밀성을 향상시키고자 함

Ⅱ. 도로교통 안전진단 및 개선기술 개발
④ 도로교통 안전진단 기술 개발
- 선진 외국의 도로안전진단 기술을 국내에 적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⑤ 진단 후 개선 기술 개발 및 효과 평가
- 도로안전진단을 통해 나타난 문제점을 체계적, 과학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기술를 개발하고 이것의 효과를 평가 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축하고자 함

Ⅲ. 도로교통 안전관리 기준 정립 및 통합정보시스템 구축
⑥ 도로 안전도 평가 체계 및 안전관리 체계 개발
- 도로안전도 평가체계 개발
- 도로교통안전관리체계 개발
- 도로구간 및 지점별 안전도를 사고 발생 전에 평가 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여 도로관리청이 효율적인 도로관 리를 꾀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보다 합리적인 도로교통안전 관리 체계 (Highway Safety Management Syst em)를 개발하고자 함

⑦ 도로교통 안전관리 통합정보시스템 구축
- 도로교통안전진단 및 관리 통합정보시스템 아키텍쳐 수립
- 도로교통 안전진단 및 관리 통합정보 시스템 구축 기술 개발
- 도로교통사고 조사, 분석, 도로교통안전 시설 관리 및 안전진단 시스템을 연계하는 도로교통안전 통합정보 시스 템 아키텍쳐 수립 및 세부시스템별 인터페이스를 개발하고자 함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5차년도 ① Automatic Accident Recording System 실용화 기술 개발
- AARS/프로그램 현장적용

② 교차로 교통사고 자동기록장치 성능향상 및 자료해석 기술개발
- 현장 적용 평가 확대

③ PDA 및 첨단장비를 활용한 교통사고 조사의 과학화 기술 개발
- 교통사고 조사의 과학화 기술
- 현장 적용 및 보완

④ Human Factors에 근거한 교통사고조사 과학화 기술개발
- 상황적응성 및 위험감수성과 교통사고와의 관계분석
- 운전자 안전운전 교육안 작성

⑤ 자동차 충돌시험 및 손상자료 분석을 통한 교통사고 정밀해석 기술개발
- 교통사고 정밀해석 기초 데이터 종합분석
- 충돌시 속도 추정 방법개발

⑦ 도로교통 안전진단 후 개선기술 개발
- 개선기술 편람(DB카드) 및 개선기술 보고서 작성

⑧ 개선기술 효과평가 및 DB 구축
- 개선기술 효과평가 지침 작성 및 관리 DB 구축

⑨ 도로안전도 평가체계 개발
- 한국형 도로안전도 평가 프로그램 (KoRAP)적용

⑩ 도로교통안전관리체계 개발
- 지자체 교통안전관리 매뉴얼 개발

⑪ 도로교통 안전관리 통합정보시스템 구축
- Web 기반의 안전진단 통합정보시스템 구축의 데이터 연계 및 분석통계 기능 확장
① Automatic Accident Recording System 실용화 기술 개발
- 운행기록기능이 추가된 AARS 시제품개발

② 교차로 교통사고 자동기록장치 성능향상 및 자료해석 기술개발
- 전국 지역단위 DB관리 시스템 운영
- 현장 운영 확대
- 실무자 교육 실시 적용

③ PDA 및 첨단장비를 활용한 교통사고 조사의 과학화 기술 개발
- 상황적응성 및 위험감수성의 개인차 원인에 대한 이론적 분석
- 주관적위험모니터 활성화의 개인차 및 방해요인 분석
- 사고조사 양식 개발
- 운전자 안전운전 교육자료 작성 및 홍보

⑤ 자동차 충돌시험 및 손상자료 분석을 통한 교통사고 정밀해석 기술개발
- 전형적 승용자동차 충돌시험 데이터 및 손상자료 종합분석
- 승용자동차 충돌시 속도 추정방법 개발

⑦ 도로교통 안전진단 후 개선기술 개발
- 개선기술 편람 및 개선사업 지침 작성

⑧ 개선기술 효과평가 및 DB 구축
- 개선기술 효과평가 지침 작성 및 관리 DB 구축

⑨ 도로안전도 평가체계 개발
- 한국형 도로안전도 평가 프로그램 (KoRAP) 을 경부선 고속도로 전체, 88고속도로, 외곽순환고속도로에 확대 적 용함

⑩ 도로교통안전관리체계 개발
- 해당 지자체의 지역교통안전기본계획 집행 협조
- 운영에 따른 문제점 파악 및 계획 보완
- 최종보고서 작성

⑪ 도로교통 안전관리 통합정보시스템 구축
- 통합정보시스템 기능 개선 및 변화되는 전산환경의 지속적 반영 및 정보수집 연계기관의 확장을 통하여 통합정보 시스템을 완성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1.도로교통사고 조사 및 분석기술 개발
- 자동차 사고 조사, 해석 업무를 과학적으로 지원해 주어 충돌 사고를 신뢰성 있게 구성하는 데 직접 적용할 수 있 음
- 교통사고 재구성, 사고 차량 정비 체계, 교통사고 처리 기술을 한 단계 높은 차원으로 끌어올릴 수 있음
- 교통사고 전후의 사고 상황 기록과 Data Base 연계는 교통사고 유형별특성을 고려하여 안전정책을 수립하고 기술 을 개발하여 적용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임
- 세계를 선도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Mobile Phone 기술 및 DB 관리 기술을 활용한 PDA 기반 교통사고 조사시스템 의 구축은 곧 세계 제일의 사고 조사 과학화 기술의 개발 및 이 분야(정보통신기술의 교통부문 응용분야)의 확대를 의미함
- 세계적인 기술 표준 선도
- USN 및 RFID 기반의 사고조사체계 구축을 통한 사고조사의 선진화
- 사망사고 관리 및 조사체계의 구축으로 조사의 효율성을 추구하고 교통사고 특별관리를 위한 조사양식의 개발로 조사의 과학화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됨
- 운전행동결정요인 검증 및 과속운전사고와 음주운전사고 원인 파악
- Human Factors에 근거한 사고조사표 개발
- 상황적응성 및 위험감수성과 교통사고와의 연관성 분석
- 상황적응성 조사양식 및 위험감수성 평가 방법 개발
- 한국산 승용차에 대한 충돌실험을 통해 차량의 파손과 충돌속도간의 관계 규명
- 교통사고의 발생경위를 해석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

2. 도로교통 안전진단 기술 개발
- 우리나라의 현실에 맞은 교통안전진단제도의 개발과 성공적인 정착을 유도할 수 있을 것임
- 도로안전시설 개선기술에 대한 성능분석을 통하여 각 시설에 대한 내구성, 시인성, 구조강도 등을 국내 도로환경 여건에 맞게 향상시키는데 기여함
- 국내 도로, 교통 여건을 고려한 개선기술을 개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이를 통해 도로설계 기술의 향상으로 인한 안전한 도로를 확보함

3. 도로교통 안전관리 기준 정립 및 통합정보시스템 구축
- 거시적 사고예측모형 개발
- 도로안전도 평가체계 및 사고예측모형에 대한 논문 발표
- 고속도로, 지방도, 안전도 평가모형 개발에 관한 논문 발표
- 시범 HSMS 수립하고 설치 매뉴얼 발간
- 시범 HSMS 운영하고 평가하여 정책논문, 운영 매뉴얼 발표
- 기관별로 산재해 있는 다양한 DB를 수집하기 위한 정보수집 기술의 확보
- 수집된 정보를 통한 가공/처리 기술의 확보
- 일반 이용자, 관계기관, 전문가 집단 등에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정보제공 기술의 확보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1.도로교통사고 조사 및 분석기술 개발
- 사고조사 비용의 절감
- 해외 사고기록/해석 시스템 수입 대체 효과
- 차량 제조업체에서는 차량 안전성 증가를 위한 설계 데이터를 확보하는 데 활용하고, 정부에서는 교통사고로 인한 인적, 물적 손실의 감소, 교통관련 법규의 개선을 위한 기반 데이터 획득으로 교통사고 비용의 감소, 보험사는 사고 처리의 객관성 및 효율성 증가, 사고 감소로 인한 수익 증가, 보험금 지불 전 그 타당성 검토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 으로 여겨짐
- 교통사고와 혼잡문제는 국민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저해하는 요인일 뿐만 아니라 국가경쟁력에 악영향을 주는 사회 적 문제이므로 이를 최소화 하는 것이 절실한 상황임. 연간 40여만 건의 교통사고 중에서 사고 당사자가 이의를 제 기한 것은 2003년 3,145건 2002년 3,328건으로 경찰의 사고 조사결과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임. 교통사고의 원인규명을 명확하게 함으로써 가해자와 피해자가 바뀌는 일이 없이 선의의 피해자를 극소화함으로써 당사자들의 정신적,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함은 물론. 교차로의 안전개선 사업에 활용함으로써 교통사고 피해를 크게 감소가능
- 조사의 간소화로 경찰인력 재배치 효과 및 예산 절감 가능
- 사고조사의 신속화로 추가 사고 예방
- 해외시장에 수출할 수 있는 기반 마련
- 신뢰성 있고 과학화된 교통사고 조사 시제품 제작을 통해 경찰업무의 혁신을 추구할 수 있음

2. 도로교통 안전진단 기술 개발
- 교통안전진단제도의 시행은 도로이용자의 안전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교통사고비용과 같은 사회적비용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 또한 기존의 도로설계, 교통분야와 달리 안전진단이라는 새로운 분야의 태생으로 진단사의 양성과 같은 고용창출 효과도 기대됨
- 교통안전진단제도의 시행은 도로이용자의 안전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교통사고비용과 같은 사회적비용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 또한 기존의 도로설계, 교통분야와 달리 안전진단이라는 새로운 분야의 태생으로 진단사의 양성과 같은 고용창출 효과도 기대됨
- 도로안전시설 개선기술은 사고예방과 사고 심각도를 경감하여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교통사고비용을 줄 이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음
- 개선관리 DB 구축으로 인한 효율적인 예산 집행과 안전한 도로 확보로 인한 교통사고 감소로 인해 사회?경제적 이익을 창출함

3. 도로교통 안전관리 기준 정립 및 통합정보시스템 구축
- 합리적인 도로교통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하여 교통안전정책 및 사업의 일관성을 확보하고 중복투자를 막을 수 있어 상당한 예산절감이 가능할 것임
- 도로교통안전계획의 집행력을 제고하기 위한 교통안전전담조직체계가 필요하다는 인식하에 도로교통안전관리체계 가 당 과제를 통해 제안되었고, 도로교통안전관리체계는 도로관리 행정체계가 이미 일원화된 제주자치도에서 소기 의 성과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 경찰의 교통관련 업무가 상당부분 지자체로 이관되어 도로교통안전업무의 활성화가 기대됨
- 표준화된 기반의 정보수집 기술은 아직까지 실제 적용된 분여가 적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제시되는 기술 은 관련 산업에 적용을 위한 표본이 될 것임
- 본 연구를 통한 파급효과는 아직까지 정확한 파악이 어려우나 관련 분야의 시스템 구축에 따른 사례와 비교할 때, 교통안전 및 사고조사 관련 자료의 중복조사 방지를 위한 조사비용 절감측면에서 현재 사고조사를 위한 비용의 50 %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안전사고로 인한 막대한 경제적 손실 예방, 국가이미지가 하락 방지
- 교통사고로 인한 물리적 비용(생산손실비용, 의료비용, 물적 피해비용, 행정비용 등) 절감
활용방안 1.도로교통사고 조사 및 분석기술 개발
- 사고기록 및 사고해석의 표준화 초안 개발에 활용
- 경찰청 및 관련 사고해석 기관, 교통사고 조사 현장 활용
- 실상황 사고기록 데이터를 활용한 운전자 안전교육에 활용
- 사고정보의 DB구축으로 사고위치, 사고원인, 발생빈도등 각종 도로의 위험 분석통계 및 도로교통안전시설 개선 및 관련 정책수립 등에 활용
- DB에 구축된 동영상 자료를 활용, 분석을 통하여 교통사고 원인 및 발생과정을 과학적으로 규명함으로써 교차로 개선사업, 교통사고감소 대책에 적용가능.
- 정부의 교통안전정책 수립에 기여
- 교통사고 조사를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연구 기반의 조성으로 국가 생산성 향상에 기여
- 향후 기타 유관기관과의 DB 연계를 통한 유사 조사시스템 활용 가능
- PDA 및 첨단 장비를 이용한 교통사고 조사 시제품 개발을 통한 경찰 업무의 지능화, 첨단화, 간소화
- 정부 교통안전정책 수립에 기여
- 운전자 맞춤형 교통안전프로그램 개발에 활용
- 교통사고 조사에 활용

2. 도로교통 안전진단 기술 개발
- 교통안전진단제도를 시행하는데 있어 생길 수 있는 여러 문제점들에 대한 사전검토를 통해 제도를 성공적으로 정 착시키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임
- 또한 교통안전진단제도의 시행을 위해서는 진단사의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를 통해 향후 진단사 양성 과정을 마련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임
- 한국형 교통안전진단제도를 성공적인 정착이후, 개발된 성과물을 해외에 기술지원형식으로 제공함으로써 대외협력 강화에 활용할 수 있을 것임
- 교통안전진단제도를 시행하는데 있어 생길 수 있는 여러 문제점들에 대한 사전검토를 통해 제도를 성공적으로 정 착시키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임
- 한국형 교통안전진단제도를 성공적인 정착이후, 개발된 성과물을 해외에 기술지원형식으로 제공함으로써 대외협력 강화에 활용할 수 있을 것임
- 개선기술의 편람 및 개선사업 지침 작성으로 도로안전도 개선사업 시행시 활용될 수 있고, 교통안전관련 전문인력 교육에 사용될 수 있음
- 건설교통부에서는 도로교통 안전진단 후 진단결과에 따른 개선시, 사후관리평가시, 도로설계와 관련된 지침 개정 시 활용됨
- 안전한 도로환경 조성을 위한 최적의 개선대책 수립에 활용

3. 도로교통 안전관리 기준 정립 및 통합정보시스템 구축
- 도로관리청별 도로안전도 종합평가 및 도로계획 및 설계시 안전관리를 강화 할 수 있음
- 도로교통안전정책 및 사업을 체계적, 과학적, 지속적으로 수행하는데 활용될 수 있음
- 도로교통안전관리체계분야의 연구를 수행한 연구진이 지방자치단체의 실정을 고려한 도로교통안전관리체계를 개 발할 것으로 기대됨
- 도로교통안전관리체계를 개발하고 구축하여 운영함으로써 개발도상국의 도로교통사고율 감소에 모델 역할을 할 것 으로 예상됨
- 교통안전업무를 전담하는 기구를 시범적으로 설치, 운영함으로써 교통안전업무를 체계적으로 수행하는데 발생되 는 문제점을 규명하고 대처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함
- 본 연구를 통해 제공되는 관련사고 및 도로 통계정보 등을 연구소, 학계, 정부기관, 민간기관 등에서 도로설계 및 사고다발지점 개선, 교통안전계획 등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임
- 본 연구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를 통해 ITS 분야에 첨단차량 및 도로분야에 기초자료로 제공되어 차량의 도로주행 에 따른 도로환경별 차량 안전운전 지원시스템 개발에 연구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임
- 보건복지부, 노동부(산업안전), 교육부(교육 시설 안전) 등과 연계하여 국가 안전관리전략 수립 가능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교통사고 데이터베이스 교통사고 재현 프로그램 교통사고 자동녹화 장치 통합정보 시스템 도로교통 안전진단
영문 Traffic Accident Database Traffic Accident Reappearance Program Automatic Accident Recording System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Road Safety Audit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도로교통안전진단및관리를위한통합정보시스템구축_20100907.pdf   다운로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