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일체형 수평.수직 이송장비 및 다관절 하역장비 기술개발 기획1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교통물류연구사업 과제번호 10PTSI-C056884-01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건설 교통 | 물류기술 | 하역기술 적용분야 제조업(전기 및 기계장비)
2순위 None | None | None 실용화대상여부 실용화
3순위 None | None | None 과제유형 응용
과제명 일체형 수평.수직 이송장비 및 다관절 하역장비 기술개발 기획
주관연구기관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박장환
소속 한경대학교 직위 정교수(명예교수)
기관 대표번호 031-670-5146 FAX 031-675-9619
총 연구기간 2010-12-23 ~ 2011-06-22
당해연도 연구기간 2010-12-23 ~ 2011-06-22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1차년도 96,000,000 0 0 0 96,00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일체형 수평/수직 이송장비 및 다관절 하역장비기술 확보”를 위한 기획연구 수행
○ 보관시설 내 화물운반용 수평, 수직 이송장비 기술 개발
- 트위스팅용 플라스틱 체인개발
- 수평/수직 구동장치 및 동력 장치 설계기술 개발
- 핵심 요소부품 기술개발
- 운영 메카니즘 개발 및 시제품 제작
○ 다관절평 하역장비(크레인) 기술 개발
- 다관절 크레인 장비 설계기술 개발
- 다관절 크레인 제어기술 개발
- 그립(Grip) 기술 개발
- 무게중심 제어기술 개발
- 위치검출 및 제어기술 개발
○ 위의 물류 장비 기술개발을 위한 국내기술과 선진벤더(외국의 유명 물류센터나 기업물류 현장에 활용되고 있는 물류설비 솔루션기반)들의 기술수준을 이해하고 적용하기 위한 타당성 및 기준(성과 목표, 지표, 마일스톤 등)을 제시
최종목표 『일체형 수평/수직 이송장비 및 다관절 하역장비기술 확보』를 위한 종합 추진 계획 수립
연구내용 및 범위 ○ 국내외 관련 기술동향 및 사례조사
-국내외 물류 수평.수직 이송장비의 기술 과 크레인 기술의 현황
-국내외 기술개발 정책 및 시장분석을 포함한 정책/시장/기술 동향분석
-국내외 기술개발현황 및 국내 기술 인프라/기술인력 현황(기업, 연구소 대학 등) 분석
-특허 및 논문 분석을 통한 국내외 기술수준 평가, 기술수요 및 기술예측 조사 실시
-기술 동향 및 산업 환경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SWOT분석 수행
-유사 연구과제 분석을 통한 중복성 배제
-관련 전문가를 활용한 산업환경 분석
-해외 활용기술 및 산업화 사례 조사
○ 사업의 목표 및 연구내용 설정
-기대 성과에 따른 경제적, 사회적 효과 분석 수행
-자문회의와 기획위원회를 활용한 비전 및 기술발전 시나리오 제시
-비전달성을 위한 후보과제 도출
-후보과제 목표 달성을 위한 연구내용 및 연구범위 결정
-기술개발 성공가능성, 기술개발 중요도?시급성 검토를 통한 후보과제에 대한 우선순위 도출
-연구개발과제 확정 및 로드맵 작성
-과제 연구수행 형태(사업단, 연구단, 일반과제 등) 정의
○ 핵심기술 및 세부과제 도출
- 기술동향 분석과 사업 목표에 따른 핵심기술 도출
-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세부과제 설계
- 세부과제별 연차별/단계별 성과목표(정량적, 정성적)와 성과지표(필수지표 포함)설정 및 성과맵 제시
- 세부과제 성격별 연구개발주체 분석
○ 세부 추진전략 및 체계 제시
-사업성격에 따라 전기공학, 전자공학, 통신공학, 제어공학, 기계공학, 경제학, 물류학의 다학제간 추진체계 수립
-산업화 가능한 연구개발을 위한 산학연간 역할 분담 및 추진체계 확립
-핵심기술과 세부과제에 기반한 연구개발 단계별 구체적인 운영방안 수립
-기존 기술 인프라 등의 활용 및 연계 방안 수립
-전문가를 활용한 연구개발의 소요예산, 인력, 적정연구기간 제시
-컨소시엄 형태 등 최적 연구추진체계 제안
○ 실용화 및 산업화 방안 제시
-해외 성공 사례 발굴 및 분석을 통한 구체적 실용화, 산업화 방안 마련
-산업계 전문가를 적극적으로 참여시켜 산업화 대책 수립
-현장 분석을 통한 실제 실증화의 가능성을 검토
○ 정부지원의 타당성 및 경제성 분석
-(정책적 타당성) 기획연구 경험이 많은 전문가를 참여시켜 국가 전략적 중요성, 상위계획과의 부합성, 사업추진의지 및 관련 기관 협조 의지, 사업추진상의 위험요인과 대응방안 등에 대한 검토
-(기술적 타당성 검토) 기획연구 경험이 많은 전문가를 참여시켜 기존 사업과의 중복성, 기술개발 계획의 우수성, 기술 수준 및 개발 성공 가능성, 사업의 특수사항 등에 대한 검토
-(경제적 타당성 검토) 경제성 분석이 가능한 경험 많은 외부인력을 활용하여 경제성 분석, 경제/사회적 파급효과, 과학기술적 파급효과 등에 대한 검토
-기대효과 및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방안을 제시
○ 종합보고서 및 RFP 작성
-본 과제를 공모하기 위한 구체적 연구목표와 내용, 추진전략 등을 바탕으로 RFP 작성
-핵심기술별, 단계별, 년차별 정성, 정량적 성과목표/지표/마일스톤의 설정, 평가방법 및 기준 설정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1차년도 ○ 국내외 관련 기술 동향 조사
○ 사업 목표 및 연구내용 설정
○ 사업목표 달성을 위한 핵심기술 및 세부과제 도출
○ 구체적 추진 전략 및 체계 수립
○ 실용화 및 산업화 방안 구축
○ 정부지원의 타당성 및 경제성 분석
○ 성과 지표 및 목표치 제시
○ 과제 공모를 위한 RFP 제시
○ 관련된 국내외 기술개발 동향, 특허 조사
○ 관련 사례 조사
○ 활용기술 및 사례 분석
○ 사업 비전과 목표 설정
○ 구체적 연구내용 및 범위 설정
○ 목표달성을 위한 핵심 기술 도출
○ 핵심기술별 세부과제 도출
○ 구체적 추진전략 제시
○ 구체적 추진체계 제시
○ 실용화 및 산업화 방안 제시
○ 정부 지원의 타당성 제시
○ 경제성 분석
○ 연구 수행 단계별 예상 성과 제시
○ 상세 RFP 작성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 환경친화적이고 에너지 절감형 물류장비 및 운영기술 개발에 관련된 기술의 총괄 검토로 관련된 기술 현황 및 산업환경 분석 결과를 토대로 세부 핵심기술별 역량강화 방안 구축함.
○ 국가 주도 기술개발사업의 전반적 검토로 향후 중복지원 방지 및 연계성 강화 가능함.
○ 관련 기술개발 연구에 있어서 구체적 목표와 추진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통합적 연구방안 계획에 기여함.
○ 기술개발에 필요한 각 요소기술별 역할 분담 및 개발 수요를 조사함으로써 통합적, 연계 기술개발로 산업화 촉진
○ 제안된 연구방법론에 의거한 효율적인 연구사업 수행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 에너지 절감형 물류장비 및 운영기술 개발의 국산화를 통해서 부품 공급 및 수리에 적은 시간을 소모하게 되어, 장비 고장을 대비 장비의 이중 구입 및 관련 기술의 해외 종속 현상에서 탈피하고 해외수출 등 시장 진출
활용방안 ○ 제안된 RFP는 과제공모시 연구단 및 사업단 구성을 위한 RFP로 활용함.
○ 제안된 성과지표 및 목표치를 활용한 과제 선정시 평가자료 및 연구결과 평가자료로 활용함.
○ 최종보고서는 물류적재 문제 해결을 위한 고층화 및 자동화된 이송장비 및 간편화된 하역장비 실용기술의 전략 수립 및 기획자료로 활용함.
○ 관련 기술 개발을 위한 예산 편성 및 협의자료로 활용함.
○ 산업체 기술개발 계획 검토시 참고자료로 활용함.
○ 관련기술개발 사업 지원을 위한 타당성 검토자료로 활용함.
○ 본 기획과제를 통해 도출한 국산화 가능 물류자동화 장비는 그 세부적인 추진 방안을 마련하여 국가 혹은 민간 개발 추진방안으로 이용이 가능함.
○ 향후 환경친화적이고 에너지 절감형 물류시설/장비 구축/개발 및 운영기술 산업 육성을 위한 종합계획으로 활용함.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보관/반송 시스템 빌딩 랙 피킹시스템 인트라 로지스틱 자동화 네트워크
영문 AR/RS System High bay Rack Picking system Intra logistics Automation Network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일체형수평.수직이송장비및다관절하역장비술개발기획_20110622.pdf   다운로드 일체형수평.수직이송장비및다관절하역장비술개발기획_20110622.pdf   다운로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