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첨단 수자원관리 기술 기획-Part3.수자원 에너지 기반의 물순환 기술 기획1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물관리연구사업 과제번호 10CCTI-C056825-01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환경 | 물관리 | 달리 분류되지 않는 물관리 적용분야 건설업
2순위 None | None | None 실용화대상여부 실용화
3순위 None | None | None 과제유형 응용
과제명 첨단 수자원관리 기술 기획-Part3.수자원 에너지 기반의 물순환 기술 기획
주관연구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이상호
소속 국민대학교 직위 교수
기관 대표번호 02-910-4529 FAX 02-910-4939
총 연구기간 2010-12-23 ~ 2011-06-22
당해연도 연구기간 2010-12-23 ~ 2011-06-22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1차년도 200,000,000 0 0 0 200,00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 기후변화 대응 도시 조성을 위한 물순환, 저영향 개발기법, 분산형 빗물침투 및 저류, 하수자원화 등의 수자원 및 물에너지 시스템과 도시, 토지이용계획이 연계되는 수자원 에너지 기반의 물순환 도시 조성 방안 수립의 필요성 제기
- 수자원 에너지 기반의 물순환 도시 조성을 위한 도시용수의 자족성 향상, 종합적인 물순환 체계 구축과 계획 필요.
- 수자원 에너지 기반의 녹색도시 조성을 위한 물순환 복원을 위해 녹지와 토양의 자정능력을 최대한 이용하고, 저에너지형 운영방안 마련 등 도시환경 인프라 틀을 새롭게 하여 지속가능한 도시환경 인프라체계를 구성한다는 차원에서 빗물, 하천, 하수 등 관련 환경자원의 통합관리 방안 마련연구 필요.
- 이를 통해 도시에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물순환 체계 기본구축방안 검토 필요
- 수자원을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기후변화 대응 도시개발 기법 필요.
- 녹지?주변 경관과 연계한 비점오염원 저감방안 필요.
- 집중호우 등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생태적인 도시를 조성하기 위해 발생한 강우를 그 지역 내에서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기술이 필요함. 이를 위해 수량과 수질 및 생태를 동시에 고려한 자연 친화적 물순환 도시 조성 기술과 빗물, 유출지하수, 상?하수, 저수지 등 모든 물 자원을 연계 활용하는 통합 순환시스템이 요구됨.
- 또한 물순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수온, 위치에너지 등)를 활용하는 기술과 일시적으로 물이 부족한 지역을 대상으로 상수를 공급할 수 있는 이동형 상수공급시스템의 개발이 필요.
최종목표 - 본 기획연구의 목적은 기후변화 적응과 자연 자원 보전을 위해 분산식 자족형 물 관리와 재생에너지 창출을 통해 미래형 생태도시를 조성하고 물 산업 시장을 주도하기 위한 본 연구개발에 착수하기 전 시행착오를 줄이고 성공적인 연구개발성과 결과도출과 연구수행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자 함.
- 본 기획연구 이후 수행할 각각의 세부연구주제에 대해 단계별 연구목표 및 연구내용을 설정하고, 기술개발 전략수립과 우선순위도출, 사전타당성조사 등을 수행하고자함.
- 기 수행된 사항과 전문가 자문, 워크샵 등을 통해 최종 연구과제 및 각 세부과제의 창의적이고 합리적인 RFP 산출을 목적으로 함. 이러한 연구 목적과 관련하여 본 기획연구에서 도출할 연구주제별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음.
○ 도시 개발 영향 최소화 계획?설계 및 시공 기술 확보와 녹색 도시 Test bed 실증화적용을 통해 개발 이전(자연녹지) 수준의 물순환 도시조성 기술 개발
○ 기후변화에 적응하고 자연자원을 보전하는 미래형 생태도시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로, 분산식 자족형 물 관리를 통해 도시의 물 순환을 개발 이전 수준으로 복원하고 물 순환 과정에서 재생에너지를 창출하는 기술 개발
○ 기후변화 대비 도시 내 저수지, 하천, 상?하수, 빗물 등 모든 물 자원을 활용한 통합 관리 시스템 개발
○ 일시적인 물부족이 발생하는 지역에 상수공급을 위한 자가발전 시설이 장착된 이동형 상수공급 설비 개발
연구내용 및 범위 본 연구는 기술개발 전략수립, 과제 기획, 타당성 조사, RFP 작성 등 총 4단계로 진행되어진다. 1단계인 기술개발전략 수립에서는 동향분석 및 환경분석, 기술수요조사 및 예측, 기술개발 수립방향 저립, 비전 및 시나리오 설정을 주요 연구내용으로 진행한다. 특히 본 과제를 통해 기획하고자 하는 기술분야 및 범위를 산정하기 위하여 기획하고자 하는 대상 기술의 개념 정의를 확립하고 적정한 기술분류체계 도출방법을 전문가 회의 및 검토를 통해 확정한다. 한편, 기술분류상 중분류 수준에서 국내외 기술, 정책동향 및 시장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성장성 분석에 활용할 예정이다. 그리고 비전 정의 및 구성요소 파악 R&D 로드맵이 추구하는 장기적인 목표와 바람직한 미래상을 제시하고, 구성요소로는 비전 Statement, 사업영역, 시간, 성과 목표 등이 있다. 비전은 목표시점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모습을 담고 있어야 하며, 내/외부에서 정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구체성을 갖도록 한다. 또한 2단계 과제기획에서는 중점추진분야 설정 및 후보과제 도출, 우선순위 도출, 기술로드맵 작성, 연구개발과제 기획 등이 진행되어진다. 구체적으로 본 기획을 통해 도출하게 될 후보과제의 개념을 정의하여 기술하고, 후보과제 도출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후보과제 도출선정을 위한 핵심성, 기술역량, 본 과제의 비전 및 목표 부합성 등 3가지 선정기준(안)과 시장성, 기술성, 실현가능성, 전략적 타당성 등 주요한 평가기준(안)을 이용하여 도출한다. 3단계 타당성 조사에서는 정책적, 기술적, 경제적 타당성 분석을 하여 우선순위로 도출되어진 후보과제의 적정성을 살펴본다. 정책적 타당성 분석은 정책의 일관성 및 추진 의지, 사업추진의 위험 요인 및 대응 방안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고, 기술적 타당성 분석은 기획보고서 검토를 통해 기술개발계획의 적절성, 기술개발의 성공가능성, 기존사업과의 중복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다. 그리고 경제적 타당성 분석은 경제성, 과학기술적 및 기타 파급효과, 예산 적정성 등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마지막 4단계 RFP 작성을 통해 과제의 세부항목 설정을 비롯하여 연차별 평가를 위한 목표, 지표, 마일스톤, 평가방법 및 기준을 설정한다. 성과목표의 달성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성과지표는 정략적으로 평가하며, 이의 달성 여부를 기준으로 성과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정한 평가요인 및 방법을 제시한다. 한편, 연구과제별 연구목표 달성을 위하여 기존 기술 및 인프라 등의 활용 및 연계방안을 수립하여
국제공동연구, 전문가 활용 및 연계, 컨소시엄 형태 등 최적의 연구추진체계를 검토하고자 한다.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1차년도 ○ 기술개발 전략 수립
○ 과제 기획
○ 타당성 조사
○ RFP 작성
- 동향조사 및 환경분석
- 기술수요조사 및 예츨
-비전 및 시나리오 설정
- 중점추진분야 설정 및 후보과제 도출
-연구개발과제 기획
- 정책적, 기술적, 경제적 타당성 분석
- RFP 설정 및 작성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 빗물 등 용수 자립형 도시 시스템 개발
○ 해외 물순환 및 물에너지 기반 신도시 수출 모델 개발
○ 물순환, 수자원에너지 기반 도시 조성을 위한 도시계획 가이드라인(안) 도출
○ 물순환 과정에서의 소수력 및 마이크로 발전 기술 확보
○ 저탄소 에너지 절약형 공조 설비 기술 확보
○ 신재생에너지 연계 활용 기술 확보
○ 도서, 연안 및 수변 물 공급 시스템 구축
○ 국가 재난 대비 시스템 구축
○ 해외 상수 공급 수출 모델 개발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 물순환, 수자원 에너지 기반의 도시 시스템 기술 개발 / 제도 개선 사항 도출 / 도시 용수, 수환경 통합관리 시스템 개발 / 경제성 편익 제시
○ 지역간 용수부족 문제 해소
○ 상수도 시설의 자급도 및 안정도 향상
○ 용수 생산과 공급 효율 30 % 이상 향상
○ 에너지 소비량 20 % 이상의 절감
활용방안 ○ 교육과학부, 국토부, 수자원의 지속적확보기술 개발사업단의 우수 저류 및 활용 시스템 적용, 물순환 정량화 기술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시 인공지반으로 인한 환경재
○ 교육과학부, 국토부,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 개발 사업의 용수재이용 기술
○ 환경부, 수처리 선진화 사업단의 정수용 막여과 시스템해 저감 소재 개발
○ 교육과학부, 국토부,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 기술 개발 사업의 해수 담수화 기술
○ 국토부, 해수담수화 사업단의 저에너지 담수기술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저영향개발 에너지 회수 물순환 통합수자원관리 이동형 상수공급 시스템
영문 LID (Low Impact Development) Energy recovery Water Cycle IWRM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Mobile water supply system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첨단 수자원관리 기술 기획-Part3 수자원 에너지 기반의 물순환 기술 기획_최.pdf   다운로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