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해수담수화,발전 및 해양플랜트 등을 위한 해수전해장치 개발1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국토교통기술사업화지원 과제번호 10TRPI-C057197-01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건설 교통 | 건설 환경설비 기술 | 달리 분류되지 않는 건설환경설비기술 적용분야 건설업
2순위 None | None | None 실용화대상여부 실용화
3순위 None | None | None 과제유형 개발
과제명 해수담수화,발전 및 해양플랜트 등을 위한 해수전해장치 개발
주관연구기관 유니테크 주식회사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신기하
소속 유니테크(주) 직위 대표이사
기관 대표번호 032-813-2197 FAX 032-813-2199
총 연구기간 2010-12-28 ~ 2011-12-28
당해연도 연구기간 2010-12-29 ~ 2011-08-28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1차년도 129,000,000 21,608,000 64,500,000 86,108,000 215,108,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본 기술개발을 위하여 Lab. Test를 실시하여 2009년 6월에 성공적으로 마쳤으며, 2009년 9월부터 해수담수화플랜트사업단 사업으로 기 추진되었던 해수전해장치 개발결과물인 시제품을 통한 기술검증을 완료 하였다. 이러한 기존의 추진 실적을 바탕으로 해수담수화플랜트사업단 사업의 일환으로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대형 해수담수화 파일럿플랜트사업에 참여하여 해수전해장치의 사업화에 매우 중요한 Commercial Reference를 확보할 계획이다. 따라서 본 사업을 통하여 확보되는 Commercial Reference를 바탕으로, 사업화를 구체적으로 완성시켜 나아갈 것이다.
최종목표 유니테크는 지금까지의 기반기술을 바탕으로 2009년 9월부터 2010년 4월까지 국토해양부의 해수담수화사업단사업을 통하여 해수전해장치의 기술검증을 완료 함으로서 사업화가능성을 확인 하였다. 따라서 유니테크는 본 사업화 과제를 통하여 주요 추가 기술개발을 완성하고 해수전해장치의 국제경쟁력확보를 통한 사업화를 조기에 실현 하고자 한다.
연구내용 및 범위 연구목표
주요 연구내용
1. 국산전극의 적용가능성 검증
기 수행 과제를 통하여 가능성을 확인한 국산 전극의 적용성 검증
2. 국산전극을 이용한 전해반응기 개발 및 적용
국산전극 반응기와 해외전극 반응기의 특성 비교 평가
3. 해수전해시스템의 설계 및 제작
기본설계 및 상세 엔지니어링기술 확보
시스템 제작기술 확보
4. 해수전해시스템의 운전 최적화 기술 확보
연속운전을 통한 시스템 운전기술 확보
설계 및 제작인자의 최적화 Data 확보
운전기술의 최적화와 Manual 확보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1차년도 유니테크는 국토해양부의 해수담수화사업단사업을 통하여 해수담수화공정에의 해수전해시스템 적용기술을 기 개발하였다. 해수전해시스템 적용기술 개발과정에서 확보하고 검증된 해수전해시스템의 사업화를 위하여, 본 과제에서는 기술의 Commercial Scale-Up 기술을 통한 사업화 검증 및 사업화를 추진하였다. 1. Bi-Polar Cell 반응기 설계
2. 해수전해시스템의 설계 및 제작
3. 해수전해시스템의 설치 및 운전
● 설치공정: 해수담수화플랜트
● 설치공정의 규모: 2,500 m3/day
● 개발 및 제작되는 해수전해장치의 규모: 500 gCl2/hr
(Chlorine Injection 3ppm 기준: 165m3/hr의 바닷물 처리능력)
● 설치위치: 창원
4. 해수전해시스템의 현장 설치 및 Test
● 설계인자의 평가
● Scale-Up Factor의 도출
● 시스템자동화운전의 안정성 평가
● 현장설치 및 시스템 제작기술의 검증 및 평가
● 적용 기기의 적절성 평가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최근 정부에서는 “신성장동력 비전과 발전전략“을 발표하고, 이를 바탕으로 에너지?환경, 융합신산업, 그리고 문화 콘텐츠를 포함하는 지식서비스등 6대 분야 22개 신성장동력의 비전과 발전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본 과제에서 개발하고 추진하고자 하는 해수전해 장치개발 기술은 신성장동력의 분야 중 에너지?환경분야의 연료전지 발전시스템, 원전 플랜트 및 수송시스템의 선박?해양시스템과 깊게 연관이 되는 기술이다.
해수전해 시스템은 상수도 및 하수처리 등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의 발전시스템과 원전 플랜트 및 선박?해양 시스템의 신성장동력 산업의 추진의 중요한 System으로서 반드시 확보하여야 할 기본 기술이다. 따라서 본 기술의 국산화는 신성장동력 산업의 기술개발에 또한 매우 큰 역할을 차지한다.
이에 따라 물처리산업의 발전은 물 관련 플랜트, 화학?소재산업 등 관련 산업에 상당한 파급효과가 예상되고 있다. 특히, 플랜트 산업은 예산의 70% 이상이 외주 구매를 통해 이루어지므로 국내 연관 기업의 기술 및 역량이 상승할 것이다. 상기에서 기술한 산업분야는 본 과제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시스템기술과 바로 직결되는 부분이다.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본 과제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시스템기술은 Oil & Gas등의 Plant 분야에서도 해수전해 시스템은 역시 필수적인 기술이다. 이는 중동국가를 중심으로 유화.원전 및 해수담수화 플랜트 등의 분야를 비롯한 해양플랜트등에서 국내에서 수주하는 수주량이 연간 500억불에 달하고 있어 본 과제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해수전해 System의 사업성을 매우 밝게 하여주고 있다.
국내 플랜트 수출액을 바탕으로 보면, 지난 2003년 64억 달러였던 수준에서 2008년에는 422억 달러로 불과 4년 사이에 7배 가까이 증가했다는 부분에서도 해수전해시스템의 국산화 개발 시 충분한 사업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과거에 하청업체에 머물렀던 국내 업계가 다양한 경험과 실력을 쌓아오면서 2000년 이후부터 원청업체로 성장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과제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해수전해 장치의 주요 적용처 중의 하나인 해양플랜트 또한 충분한 가능성을 보이고 있는 부분이다. 이것은 유럽과 미국의 메이저 오일사들이 해양유전개발을 위해 해양플랜트 발주를 계속적으로 늘리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우리나라의 해양플랜트 수주금액은 지난 2003년에 10억 달러 정도에 불과했지만 2008년에 들어서는 96억 달러로 크게 늘었다.
특히 최근 2009년 7월 4일자로 삼성 엔지니어링 26억 달러(3조 3000억원) 알제리 정유시설공사 수주, 7월 8일자로 대림산업, SK건설, 삼성 엔지니어링 28억 4000만달러(3조 5000억원), 사우디아라비아 주바일 석유화학 플랜트수주, 7월 16일 현대건설. 현대중공업 UAE 아부다비 가스플랜트 공사 39억달러(4조 9600억원) 수주등 수조원대 초대형 플랜트가 줄줄이 수주되고 있어 제2의 중동 붐을 예상하고 있는 형국이다. 또한 2009년 4월 해양플랜트가 30조원이 조선 빅4 업체에 발주되어 해양플랜트 산업이 현대중공업, STX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 양등을 중심으로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분야에의 공통 필수 가자재인 해수 전해장치의 국산화는 사회 경제적으로 해외기술의 의존도를 탈피하여, 국내기술의 신뢰성을 제고하고 관련 산업의 국제 경쟁력 제고에 기여하며 또한 수입대체효과를 극대화함으로서 국부를 창출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이러한 사회 경제적인 측면에 따라, 본 과제에서 개발하여 사업화 하고자하는 Bi-Polar System은 해양플랜트, 해수담수화 플랜트, LNG기지플랜트등을 비롯한 정수 및 하수처리분야와 철강플랜트, 발전플랜트, 화학플랜트, 에너지플랜트등에 적용하여 나아감으로서 파급효과가 매우 극대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활용방안 해수전해장치의 개발과 사업화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분야에 지속적으로 적용범위를 확대하여 활용하여 나아갈 예정이다.

1. 해수담수화 플랜트, 선박의 Ballastwater treatment, Oil & Gas Plant, 해상 Plant,
LNG Terminal등 국내에서 진행하는 해외 Project에 적용함으로서 국내기술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며 Plant의 기술경쟁력 제고
2. Bi-Polar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해수전해 Plant의 건설
3. 정수, 하수등의 수처리분야에의 적용 확대
4. 선박, 조선분야의 Ballastwater treatment 공정개발
5. 국내.외 Plant의 국제 경쟁력 제고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해수담수화 취수공정 전처리 전해장치 살균
영문 Desalination Intake Process Pre-treatment Electrochlorination Disinfection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_유니테크.pdf   다운로드 해수담수화,발전및해양플랜트등을위한해수전해장치개발_20111228.pdf   다운로드 해수담수화,발전및해양플랜트등을위한해수전해장치개발_20111228.pdf   다운로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