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BIM기반 냉난방에너지해석 및 절약계획서 작성을 위한 도구 개발1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국토교통기술사업화지원 과제번호 10TRPI-C057195-01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건설 교통 | 건설 환경설비 기술 | 달리 분류되지 않는 건설환경설비기술 적용분야 건설업
2순위 None | None | None 실용화대상여부 실용화
3순위 None | None | None 과제유형 응용
과제명 BIM기반 냉난방에너지해석 및 절약계획서 작성을 위한 도구 개발
주관연구기관 (주)디.씨.에스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이진천
소속 (주)디씨에스 직위 대표이사
기관 대표번호 02-415-1653 FAX 02-414-6747
총 연구기간 2010-12-29 ~ 2012-06-28
당해연도 연구기간 2010-12-29 ~ 2011-12-28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1차년도 129,000,000 9,414,000 84,722,000 94,136,000 223,136,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정부의 공공부문의 건설공사를 중심으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설계 발주가 늘어나고 있으나 아직은 국내 환경에 적합한 라이브러리 및 실무에 필요한 도구의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또, BIM이 3차원 모델링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어 BIM이 가진 정보(Information)의 활용 측면에서는 부족한 현실이다.
본 연구는 BIM이 보유한 ‘정보의 유효 활용’과 국내 환경에 맞는 에너지 계산 및 에너지관련 데이터의 관리에 있다. 이를 위해,
1) BIM으로 설계된 건물 모델로부터 건물 냉난방에너지해석(부하계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국내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는 냉난방에너지해석 프로그램인 RTS-SAREK과 연동하는 도구를 개발한다.
2) BIM 모델로부터 건물의 외피 데이터를 추출하여 건물 외피 에너지성능지표(EPI)를 산출하고 에너지절약계획서를 작성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에너지 효율이 좋은 건물설계를 도모한다.
3) 에너지관련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 도구를 개발한다.
최종목표 1) 건물 냉난방 에너지해석용 데이터 추출 및 RTS-SAREK과의 연동
BIM 모델로부터 건물 냉난방에너지해석을 위한 건축의 기초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추출하여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냉난방에너지해석 프로그램 RTS-SAREK과 연동될 수 있도록 한다.
2) 건물 외피 에너지성능지표(EPI) 자동산출 및 에너지절약계획서 작성
BIM 모델로부터 건물의 외피 데이터를 추출하여 건물의 에너지성능지표(EPI)를 자동 산출하고 건축, 설비, 전기, 신재생 부문별 조건을 지정하여 에너지절약계획서를 쉽게 작성하여 설계의 효율화를 도모한다.
3) 에너지관련 데이터 관리 도구
에너지관련 데이터 관리도구는 데이터를 하나의 프로그램에서 활용하고 그치는 것이 아니라 관리 도구를 통해 다른 프로그램에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건물의 에너지 계산 및 해석에 필요한 데이터는 공통 또는 유사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재활용 측면에서도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에너지관련 데이터의 재활용을 통해 에너지 정책과 제도에 맞는 계산 및 해석을 위한 업무의 효율을 향상시킨다.
연구내용 및 범위 1) 건물 냉난방에너지해석용 데이터 추출 및 RTS-SAREK과의 연동
-. 연구 내용: BIM 모델로부터 냉난방에너지해석을 위한 건물의 기초 룸 데이터를 추출하여 국내에서 실무자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냉난방에너지해석 프로그램인 RTS-SAREK과의 연동되도록 한다.
-. 연구 범위: BIM 모델로 작성된 건물을 토대로 냉난방 에너지해석에 필요한 데이터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RTS-SAREK의 포맷에 맞춰 데이터를 출력하여 RTS-SAREK에서 계산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2) 건물 외피 에너지성능지표(EPI) 자동산출 및 에너지절약계획서 작성
-. 연구 내용: 에너지절약계획서 작성 시에 필수적인 건물의 에너지성능지표(EPI)를 BIM 모델로부터 자동 산출하여 열관류율을 적용하여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 연구 범위: 건물의 위치(지역) 및 용도 등 프로젝트와 관련된 기초 정보를 읽어들인 후 건물의 환경을 정의한다.
다음으로 건물의 외피 데이터(벽, 창, 지붕, 바닥)를 향별로 추출하여 비율을 계산하고, 각 요소에 열관류율을 정의하여 에너지성능지표(EPI)를 자동 산출하고 건물의 조건에 따라 에너지절약계획서를 작성한다.
3) 에너지관련 데이터 관리 도구
-. 연구 내용: 건물 냉난방에너지해석, 에너지성능지표의 산출과 에너지절약계획서에 필요한 건축 데이터를 비롯하여 산출된 결과물 등 에너지와 관련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도구를 개발하여 에너지관련 계산 및 해석 데이터로 활용하도록 한다.
-. 연구 범위: 데이터 관리 도구로 하나의 호환 도구를 통해 여러 프로그램에서 접근이 가능하도록 개방형 데이터 관리 도구를 개발한다.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1차년도 1) 건물 냉난방 에너지해석용 데이터 추출 및 RTS-SAREK과의 연동
BIM 모델로부터 건물 냉난방에너지해석을 위한 건축의 기초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추출하여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냉난방에너지해석 프로그램 RTS-SAREK과 연동될 수 있도록 한다.
2) 건물 외피 에너지성능지표(EPI) 자동산출 및 에너지절약계획서 작성
BIM 모델로부터 건물의 외피 데이터를 추출하여 건물의 에너지성능지표(EPI)를 자동 산출하고 건축, 설비, 전기, 신재생 부문별 조건을 지정하여 에너지절약계획서를 쉽게 작성하여 설계의 효율화를 도모한다.
3) 에너지관련 데이터 관리 도구
에너지관련 데이터 관리도구는 데이터를 하나의 프로그램에서 활용하고 그치는 것이 아니라 관리 도구를 통해 다른 프로그램에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건물의 에너지 계산 및 해석에 필요한 데이터는 공통 또는 유사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재활용 측면에서도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에너지관련 데이터의 재활용을 통해 에너지 정책과 제도에 맞는 계산 및 해석을 위한 업무의 효율을 향상시킨다.
1) 건물 냉난방에너지해석용 데이터 추출 및 RTS-SAREK과의 연동
-. 연구 내용: BIM 모델로부터 냉난방에너지해석을 위한 건물의 기초 룸 데이터를 추출하여 국내에서 실무자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냉난방에너지해석 프로그램인 RTS-SAREK과의 연동되도록 한다.
-. 연구 범위: BIM 모델로 작성된 건물을 토대로 냉난방 에너지해석에 필요한 데이터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RTS-SAREK의 포맷에 맞춰 데이터를 출력하여 RTS-SAREK에서 계산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2) 건물 외피 에너지성능지표(EPI) 자동산출 및 에너지절약계획서 작성
-. 연구 내용: 에너지절약계획서 작성 시에 필수적인 건물의 에너지성능지표(EPI)를 BIM 모델로부터 자동 산출하여 열관류율을 적용하여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 연구 범위: 건물의 위치(지역) 및 용도 등 프로젝트와 관련된 기초 정보를 읽어들인 후 건물의 환경을 정의한다.
다음으로 건물의 외피 데이터(벽, 창, 지붕, 바닥)를 향별로 추출하여 비율을 계산하고, 각 요소에 열관류율을 정의하여 에너지성능지표(EPI)를 자동 산출하고 건물의 조건에 따라 에너지절약계획서를 작성한다.
3) 에너지관련 데이터 관리 도구
-. 연구 내용: 건물 냉난방에너지해석, 에너지성능지표의 산출과 에너지절약계획서에 필요한 건축 데이터를 비롯하여 산출된 결과물 등 에너지와 관련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도구를 개발하여 에너지관련 계산 및 해석 데이터로 활용하도록 한다.
-. 연구 범위: 데이터 관리 도구로 하나의 호환 도구를 통해 여러 프로그램에서 접근이 가능하도록 개방형 데이터 관리 도구를 개발한다.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1) BIM 모델로부터 에너지 계산 및 해석에 필요한 데이터 추출 기술: 건물 냉난방 에너지해석과 건물 외피 에너지성능지표에서의 데이터 활용은 물론 향후 에너지 진단 및 절약, 신재생 에너지와 관련된 분야에도 활용할 수 있다. 특히, BIM 모델에서 모델링보다도 ‘정보(Information)의 효율적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의미있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2) 에너성능지표(EPI)의 실시간 산출: 건물을 설계하는 초기단계에서 기본 골조(외벽, 창호)만으로도 건물 외피 에너지성능지표를 산출할 수 있어 에너지 효율이 좋은 건물설계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1) BIM 모델로부터 건물 데이터 추출 기술: 냉난방 에너지해석이나 건물 에너지성능지표를 위해 건물의 데이터 추출시간을 대폭(1/20 이상) 절약할 수 있어 시간 및 비용이 경감될 뿐 아니라 정확한 추출에 따른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어 냉난방에너지해석 및 에너지성능지표 산출과 에너지절약계획서 작성의 정확성 및 설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에너지 효율이 높은 건물설계를 위한 도구로서 역할을 한다.
2) 향후 활용 가능성: BIM 모델로부터 다양한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활용하여 향후에 비중이 높아지는 에너지 관련 계산 및 진단(에너지효율등급, 친환경 건축물), 시뮬레이션 및 검증. 건물의 유지보수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활용방안 1) 냉난방 에너지해석 데이터 추출 및 연동: 국내에 보급되어 있는 건물 냉난방해석 프로그램에 부가적으로 편리성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실무에서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BIM 설계를 수행하는 회사에서는 구축된 데이터의 자동 추출에 의한 활용과 일반 설계사무소에서는 냉난방에너지해석 프로그램 RTS-SAREK의 활용에 있어 자동 추출 데이터를 사용함으로써 업무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어 실무 중심의 활용 도구가 된다.
2) 건물 에너지성능지표(EPI) 산출 및 에너지절약계획서 작성: 에너지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에너지절약계획서 작성을 위한 건물 외피 에너지성능지표를 자동으로 산출한다는 점만으로도 업무의 효율화에 기여한다.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BIM 설계 도구(Revit)와 하나의 패키지로 판매하는 마케팅 방법을 도입하고자 한다. 시장 타깃을 설비설계사무소보다는 시장성이 훨씬 큰 건축설계사무소를 메인 타깃으로 마케팅을 전개하여 활용하도록 한다.
3) 에너지관련 프로그램과의 데이터 공유: 향후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에너지관련 프로그램(에너지효율등급,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과의 데이터 공유를 통해 에너지관련 계산 및 해석에 있어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부하계산 에너지해석 에너지성능지표 캐드
영문 BIM Load Calculation Energy Analysis EPI(Energy Performance Index) CAD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