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복합다단여과필터를 이용한 빗물처리기술1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국토교통기술사업화지원 과제번호 10TRPI-C057193-01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기계 | 에너지 환경기계시스템 | 수처리설비 적용분야 환경
2순위 None | None | None 실용화대상여부 실용화
3순위 None | None | None 과제유형 개발
과제명 복합다단여과필터를 이용한 빗물처리기술
주관연구기관 (주)성우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최승우
소속 (주)성우 직위 이사
기관 대표번호 031-378-7611 FAX 031-378-7620
총 연구기간 2010-12-29 ~ 2012-06-28
당해연도 연구기간 2010-12-29 ~ 2011-12-28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1차년도 129,000,000 25,800,000 77,400,000 103,200,000 232,20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전세계적인 기후변화로 인해 물부족 및 기후 변동성 확대등에 대비한 수자원 확보 방안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리나라의 우수처리시스템은 우수를 저류 및 침투기술에만 치중되어 지고 있는 실정으로 우수 재이용기술에 대한 관련제품의 규격화 및 실용화가 미흡하여 수자원 확보를 위해 우수처리제품의 규격화 및 실용화를 하고자 한다.
최종목표 복합다단여과필터를 이용한 우수이용의 확대 및 보급화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국내 실정에 맞는 한국형 우수처리기술을 개발 및 규격화 한다.
연구내용 및 범위 최종 기술개발 내용 및 목표는 우수처리설비를 제품화 하는데 있다.
1. 기존의 복합다단필터를 규격화하기 위하여 우수처리에 유리하도록 여과판의 설계, 금형 제작 및 여과판 소재를 개발한다.
2. 규격화된 Pilot 설비를 설계 및 제작하여 좀더 작고 이동이 자유로운 설비를 개발한다.
3. 여재의 연구로 복합다단필터 여과기를 거친 처리수의 목적에 따라 여재를 종류 및 충진량 등을 고려하여 Pilot 설비를 통해 결과를 얻어 여재의 종류 및 충진량을 규격화 한다.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1차년도 복합다단여과필터를 이용한 우수이용의 확대하고 보급화를 최종 목표로 하고 있다. 고가의 장비가 아닌 저렴한 설비투자로 우수이용설비를 설치하고 보급화를 목표로 하기 때문에 국내 실정에 알맞은 소형, 경량의 운영?유지가 간편한 한국형 우수처리 기술을 개발 및 규격화를 개발 목표로 한다.
세부적인 연구목표는 다음과 같다.
- 국내 실정에 맞는 주요 기술 개발 및 규격화
- 우수처리시설의 소형화 및 보급화
- 한국형 우수처리기술 개발
- 기존 건물 및 신규 건물에 시제품 적용
- 복합다단여과필터를 이용한 이동식 여과정수시스템 개발

1. 기존의 복합다단필터를 규격화하기 위하여 우수처리에 유리하도록 여과판의 설계, 금형 제작 및 여과판 소재를 개발한다.
2. 규격화된 Pilot 설비를 설계 및 제작하여 좀더 작고 이동이 자유로운 설비를 개발한다.
3. 여재의 연구로 복합다단필터 여과기를 거친 처리수의 목적에 따라 여재를 종류 및 충진량 등을 고려하여 Pilot 설비를 통해 결과를 얻어 여재의 종류 및 충진량을 규격화 한다.
4. 연구개발을 통해 한국형 우수처리가술 개발을 하고 우수 및 기타 수자원(하천수 외)등으로 확대하고 이동식 종합여과필터를 개발한다.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대규모로 조성되는 아파트 등에는 조경 및 복지시설(분수, 시내 등)등이 많이 설치되고 있다. 설치된 시설물에 조경용수 및 청소용수 등에 복합다단여과장치를 이용하여 활용하고자 하며 지속적인 기술개발과 시스템연구로 우수를 이용한 중수도개념이 아닌 음용수수질에 맞는 기술력을 발전시켜 다양한 방면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규격화된 제품의 개발을 통해 용도에 따른 다양한 제품으로 개량 및 추가 개발이 가능하여 국가 기술력 및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 기존의 도시에서 재개발 및 신시가지 조성시 편익
상수도 시스템의 문제 : 기존의 도시에 공급되어온 상수도 시스템은 현재 상태에 적절하게 규모가 결정되어 있어 인구 증가나 물 사용량의 증가로 수돗물 부족 현상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댐, 취수장, 정수장, 도수관등 상수도 시스템 전반의 시설 전체의 용량을 키워야 한다. 도심밀집지역등에서의 관의 증설 또는 교체가 예상되며 공사 진행시 도심의 교통 혼잡이 초래되어 엄청난 재원 및 시간이 필요하다.
하수도 시스템의 문제 : 기존의 형질을 변경하는 모든 행위는 유출량의 증가를 가져오게 된다. 도시화가 진행되면 녹지가 지붕을 포장으로 변하여 강우량이 증가하지 않더라도 유출량은 증대된다. 이와 같이 늘어나는 우수를 배제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우수 배제관이나 수로를 증설하여야 하는데, 이 영향은 하류에 있는 모든 하수관을 비롯하여, 하천에 까지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하천의 오염문제 : 비가 올때 한꺼번에 도로의 오염물질을 하천으로 깨끗하게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기존의 하수도 관리 시스템만으로는 이러한 비점오염원의 관리가 거의 불가능하다.
활용방안 복합다단여과필터 여과기를 이용하여 우수처리시설을 규격화 하여 우수의 사용목적에 따른 차별화된 여과기 개발을 하여 대중적인 우수처리 시설을 만들고자 한다.
복합다단여과필터(여과포+활성탄)를 이용하여 대규모로 조성되는 아파트, 주택 단지 및 소규모 마을 등 전국에 신설 또는 기존의 주택과 건물에 우수처리이용설비를 적용 수자원확보 및 우수이용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나아가 우수를 이용한 정수시스템까지 발전시켜 비상시 우수를 이용하여 음용수로 활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할 것이다.
분수대 등 정체되어 있는 물을 처리하기 위한 차량 부착 및 트레일러형 이동식 여과기(복합다단필터)를 추후 개발하여 우수한 기술을 확대 하고자 한다.
후속 연구로는 복합다단필터를 이용하여 소독 및 여과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규격화된 패키지형 여과기를 개발하고자 한다.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우수처리 여과 여과판 중수도 미세여과
영문 Runoff treatment Filtration Filter plate gray water Micro filter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