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매입말뚝 천공시 발생하는 슬라임의 현장재활용 및 폐기물 최소화 기술의 실용화1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국토교통기술사업화지원 과제번호 10TRPI-C057183-01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건설 교통 | 건설시공 재료 | 친환경 재생건설재료 적용분야 건설업
2순위 None | None | None 실용화대상여부 실용화
3순위 None | None | None 과제유형 응용
과제명 매입말뚝 천공시 발생하는 슬라임의 현장재활용 및 폐기물 최소화 기술의 실용화
주관연구기관 이엑스티 주식회사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한병권
소속 지피이엔씨 주식회사 직위 대표이사
기관 대표번호 02-2224-5949 FAX 02-2224-5948
총 연구기간 2011-08-29 ~ 2012-04-28
당해연도 연구기간 2010-12-29 ~ 2011-08-28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1차년도 110,000,000 17,875,000 98,018,000 115,893,000 225,893,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현재 국내 건축 및 토목현장에 있어서 주된 기초공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매입 말뚝 공사 시에는, 말뚝의 설치를 위한 굴토로 인해 슬라임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며, 말뚝을 매입한 이후에 남는 공간을 시멘트 페이스트로 충전하고 폐부상토를 폐기물 처리함으로써 환경문제 및 원가의 증대를 초래하고 있다.
이 연구 개발은 천공 시 발생한 슬라임을 당해 현장에서 재활용하여 말뚝 주변에 충전하고, 폐토사 반출의 최소화 및 원가절감을 달성하는 것을 기술 개발의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슬라임을 재활용과 폐기물로 분리 추출하여, 매입말뚝의 내외부를 충전하는 시멘트페이스트의 대체재 및 기초 콘크리트 공사를 위한 복토재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연약지반의 토양 고화와 관련된 분리기술, 배합기술 및 장비 기술을 개발하여, 원가절감 및 친환경성을 획기적으로 높이고자 한다.
최종목표 현장에서 발생되는 폐토사를 해당 현장에서 모두 재활용하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요소 기술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 현장발생토의 분리 기술 확립
● 현장발생토의 재활용을 위한 역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재활용된 충전재의 효과 검증을 위한 현장 시험 연구
● 현장발생토의 재활용을 위한 시공 장비의 개선 및 개량
● 일반 현장 적용을 위한 품질관리 기준 및 시공 매뉴얼의 작성
연구내용 및 범위 ● 현장발생토의 분리 기술 확립
- 적용 부위 및 활용 용도에 따른 입자 분리 기준 설정(자료수집 및 모델정립)
- 디샌더 및 디켄터 등의 장비 분석 및 개선 기술 확립(자료수집 및 시제품 제작)
● 현장발생토의 재활용을 위한 역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 분리된 발생토의 용도별 강도 특성 기준 확립(자료수집 및 모델정립)
- 토양 고화제의 고성능화 기술 개발(자료수집 및 모델정립)
- 소요강도 및 특성 만족을 위한 최적 배합 기술 확립(자료수집 및 모델정립)
● 현장발생토의 재활용을 위한 시공 장비의 개선 및 개량
- 재활용된 고화토의 시공 프로세스 정립(자료수집 및 모델정립)
- 재활용된 고화토의 현장내 운반, 배합, 압송 등과 관련된 장비의 개선 및 개발
(자료수집 및 시제품 제작)
● 현장발생토의 재활용을 위한 품질기준 및 시공지침 작성(자료수집 및 모델정립)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1차년도 현장에서 발생되는 폐토사를 해당 현장에서 모두 재활용하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요소 기술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 현장발생토의 분리 기술 확립
● 현장발생토의 재활용을 위한 역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재활용된 충전재의 효과 검증을 위한 현장 시험 연구
● 현장발생토의 재활용을 위한 시공 장비의 개선 및 개량
● 일반 현장 적용을 위한 품질관리 기준 및 시공 매뉴얼의 작성
● 현장발생토의 분리 기술 확립
- 적용 부위 및 활용 용도에 따른 입자 분리 기준 설정(자료수집 및 모델정립)
- 디샌더 및 디켄터 등의 장비 분석 및 개선 기술 확립(자료수집 및 시제품 제작)
● 현장발생토의 재활용을 위한 역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 분리된 발생토의 용도별 강도 특성 기준 확립(자료수집 및 모델정립)
- 토양 고화제의 고성능화 기술 개발(자료수집 및 모델정립)
- 소요강도 및 특성 만족을 위한 최적 배합 기술 확립(자료수집 및 모델정립)
● 현장발생토의 재활용을 위한 시공 장비의 개선 및 개량
- 재활용된 고화토의 시공 프로세스 정립(자료수집 및 모델정립)
- 재활용된 고화토의 현장내 운반, 배합, 압송 등과 관련된 장비의 개선 및 개발
(자료수집 및 시제품 제작)
● 현장발생토의 재활용을 위한 품질기준 및 시공지침 작성(자료수집 및 모델정립)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 건설폐자재의 재활용 기술 확립
● 매입말뚝의 주면마찰력 증대 효과
- 기초 구조물 안정성, 사용성, 내구성 향상을 통한 건설품질 확보
● 향후 CO2배출권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
- 시멘트 페이스트 대용재 사용으로 시멘트 사용량 대폭 감소
● 건설 신기술의 신청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 건설원가 절감 효과
- 연구개발 결과의 적용을 통해, 국내 매입말뚝 공법의 시멘트페이스트 대용재 사용으로 인한 원가 절감액은 년간 650~780억원 규모
● 건설산업 부산물 활용 기반체계 구축
● Green 정책 부합(현장폐토 활용 기술개발)
- 녹색기술 및 녹색사업 인증 획득
● 친환경 산업 및 품질확보
- 건설산업 부산물의 자원화로 인한 부존자원 절감 및 처리비용 감소
- 매립지 추가확보로 인한 환경훼손 억제
활용방안 ● 공법 특허 및 건설 신기술 획득으로 사업화 기반 조성
● 매입공법으로 시공되는 모든 PHC 및 강관 말뚝 공사의 충전재로 활용
● 연약지반을 포함한 해안매립, 준설토 등 모든 발생토에 대해 적용이 가능하며, 외부로 토사를 반출하지 않고 당해 현장의 복토재, 뒷채움재 등으로 활용 가능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현장발생토 재활용 고화제 최적배합 분리기술
영문 Slime Recycling Soil stabilizer Optimal mixture Separation method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