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도로경관디자인 기술개발1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건설기술연구사업 과제번호 10CCTI-C055950-01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건설 교통 | 시설물 설계 해석기술 | 달리 분류되지 않는 도로교통기술 적용분야 기타 공공목적
2순위 None | None | None 실용화대상여부 실용화
3순위 None | None | None 과제유형 개발
과제명 도로경관디자인 기술개발
주관연구기관 동부엔지니어링(주)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손원표
소속 동부엔지니어링(주) 직위 소장
기관 대표번호 02-2122-6795 FAX 02-2122-6798
총 연구기간 2010-09-15 ~ 2011-09-14
당해연도 연구기간 2010-09-15 ~ 2011-09-14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1차년도 230,000,000 60,400,000 39,600,000 100,000,000 330,00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본 연구는 도로의 선형, 구조물 및 부속공간이 주변 경관과 조화되는 동시에 내?외부 조망의 심미성을 확보하여 개성과 매력이 넘치는 아름다운 도로를 조성하기 위해 도로 경관설계 및 시설물디자인 기법 및 프로세스를 개발하고자 함. 또한 이를 적용함에 있어서 VR 평가시스템을 통한 선형, 구조물 및 부속시설물의 조형미와 심미성을 평가하고 이를 도로설계 과정에 피드백 할 수 있는 평가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함
최종목표 ㅇ고속도로와 일반국도의 선형과 구조물, 부속공간이 주변 경관과 조화를 이루며 동시에 내 ? 외부 조망의 심미성을 확보한 경관도로 조성기술을 개발함
ㅇ도로의 경관친화성 제고를 위한 도로 경관설계 및 시설물디자인에 대한 기법을 구축함으로써 ‘도로 경관디자인 설계시스템’을 정립하고자 함
ㅇ경관의 계획 및 평가를 위한 고속도로의 경관 평가지표와 일반국도에서의 교량, 터널, 부속시설물에 대한 평가지표를 개발함
ㅇ도로 경관설계 및 시설물디자인의 기법에 대한 VR을 구축하고 평가함으로써 설계단계별 feed back을 통한 최적의 경관디자인을 실현하고자 함
ㅇVR을 활용한 도로 경관디자인 평가시스템을 온라인상에 구축함으로써 평가의 편의성과 상시성, 객관성, 실용성을 확보하고자 함
ㅇ고속도로 경관디자인 편람 및 일반국도 경관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작성함으로써 도로의 경관디자인 기술의 정립과 설계실무자의 편의도모와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
ㅇ?도로 경관디자인 시스템?을 정립함으로써 도로에서의 경관과 디자인을 실현
연구내용 및 범위 ㅇ본 연구는 경관도로의 요소를 적용한 도로경관을 조성함에 있어서 경관요소의 적정 적용여부에 대한 정성적, 정량적 평가를 통하여 주변경관과 조화되는 도로설계와 연계되어 도로의 기능적 요소와 더불어 경관적 요소와 디자인적 요소가 확보되는 도로경관디자인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ㅇ본 연구에서는 1차년도 기간에 한하여 수행할 것이며 도로 경관설계 분야, 도로 시설물디자인 분야, VR 분야로 구분하여 도로 경관디자인 설계시스템과 도로 경관디자인 VR 평가시스템 정립을 통한 아름답고 쾌적한 도로경관 실현을 목표로 함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1차년도 ㅇ고속도로와 일반국도의 선형과 구조물, 부속공간이 주변 경관과 조화를 이루며 동시에 내 ? 외부 조망의 심미성을 확보한 경관도로 조성기술을 개발함
ㅇ도로의 경관친화성 제고를 위한 도로 경관설계 및 시설물디자인에 대한 기법을 구축함으로써 ‘도로 경관디자인 설계시스템’을 정립하고자 함
ㅇ경관의 계획 및 평가를 위한 고속도로의 경관 평가지표와 일반국도에서의 교량, 터널, 부속시설물에 대한 평가지표를 개발함
ㅇ도로 경관설계 및 시설물디자인의 기법에 대한 VR을 구축하고 평가함으로써 설계단계별 feed back을 통한 최적의 경관디자인을 실현하고자 함
ㅇVR을 활용한 도로 경관디자인 평가시스템을 온라인상에 구축함으로써 평가의 편의성과 상시성, 객관성, 실용성을 확보하고자 함
ㅇ고속도로 경관디자인 편람 및 일반국도 경관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작성함으로써 도로의 경관디자인 기술의 정립과 설계실무자의 편의도모와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
ㅇ?도로 경관디자인 시스템?을 정립함으로써 도로에서의 경관과 디자인을 실현
ㅇ본 연구는 경관도로의 요소를 적용한 도로경관을 조성함에 있어서 경관요소의 적정 적용여부에 대한 정성적, 정량적 평가를 통하여 주변경관과 조화되는 도로설계와 연계되어 도로의 기능적 요소와 더불어 경관적 요소와 디자인적 요소가 확보되는 도로경관디자인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ㅇ본 연구에서는 1차년도 기간에 한하여 수행할 것이며 도로 경관설계 분야, 도로 시설물디자인 분야, VR 분야로 구분하여 도로 경관디자인 설계시스템과 도로 경관디자인 VR 평가시스템 정립을 통한 아름답고 쾌적한 도로경관 실현을 목표로 함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ㅇ자연환경과 생활환경의 조화 속에서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하고 자연적, 생태적, 환경적, 사회적 악영향을 최소화 하고 환경과 조화를 도모하고 생태적으로 복원을 시도하는, 인간과 자연 모두에게 도움을 주고 친근감을 주는 친환경 경관도로 기법의 정착
ㅇ도로의 경관설계와 시설물에 대한 디자인 기법, VR평가 기술 개발을 통한 도로 경관디자인 시스템 구축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ㅇ지역경관의 활용과 새로운 지역경관의 창출로 경관적 세련미가 확보된 도로경관의 창조
ㅇ도로생태환경 및 경관과 연계된 도로의 경관계획 및 시뮬레이션, 공공디자인, GIS, BIM 관련 사업에 경제적 파생효과가 기대됨
ㅇ종합적인 경관 디자인 시스템 구축, VR 시스템 구축으로 도로이용자에게 심리적 안락감과 지역경관 창출에 따른 새로운 공간질서 확립
활용방안 ㅇ미국의 ‘Scenic Byway’, 일본의 ‘풍경가도’사업, 덴마크의 ‘Beautiful Road' 등 세계적인 아름다운 도로 확보추세에 동참하게 됨
ㅇ단편적인 경관도로계획에서 탈피하여, 도로본체, 구조물, 비탈면, 부속시설물, 휴게소 등 도로계획의 일관성이 확보된 기술과 VR 시스템 구축으로 도로공학, 경관공학, 디자인, 환경, GIS, BIM 등의 기술이 융합된 기술의 개발로 도로설계기술의 선진대열에 합류할 계기가 마련됨
ㅇ국내외 도로관련 설계회사와 공공디자인 전문회사, 건설회사, GIS, BIM 관련회사 등과의 활발한 기술교류와 국내외 주요 학술지를 통한 연구논문 발표로 도로의 경관?환경설계를 기본으로 한 경관디자인 기술의 글로벌(Global)화의 기반구축이 기대됨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경관디자인 도로경관 시설물디자인 가상현실 감성공학
영문 Road Aesthetic Design Roadscape Facility Design Virtual Reality Emotional Engineering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도로경관디자인기술개발_20110914.pdf   다운로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