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PVDF와 바이오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준설토의 탈수/정화기술 개발2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건설기술연구사업 과제번호 10CCTI-C054233-02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건설 교통 | 달리 분류되지 않는 건설/교통 | 달리 분류되지 않는 건설/교통 적용분야 기타 공공목적
2순위 None | None | None 실용화대상여부 실용화
3순위 None | None | None 과제유형 개발
과제명 PVDF와 바이오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준설토의 탈수/정화기술 개발
주관연구기관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김영욱
소속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직위 교수
기관 대표번호 031-330-6885 FAX 031-330-6123
총 연구기간 2010-12-29 ~ 2011-12-28
당해연도 연구기간 2010-12-29 ~ 2011-12-28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2차년도 259,000,000 15,000,000 110,000,000 125,000,000 384,00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1. 4대강 정비사업, 경인운하사업, 해안 및 항만건설/개발시 인공습지, 매립지, 서식지 및 인공섬 개발 사업 등에 준설토사 활용도 증대.
2. 특히 현재 4대가 마스터플랜에서 하천준설토 처리계획에 의하면, 준설토량은 남산 부피의 11.5배 수준인 5.7억m3으로 이중 모래가 43.9%인 2.5억m3, 세립토가 56.1%인 3.2억m3으로 전망되고 있어 이에 따른 처리비용이 막대할 것으로 판단 -> 효과적인 처리 및 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연구 및 기술 절실.
3. 현행 해양관련 법규상 모든 준설토사는 오염도와 무관하게 해양폐기물로 분류 유효 활용 자체가 불가능.
4. 현재 준설토 처리는 해양투기 30~40%, 단순매립 50~60%, 소각 및 기타 10% 로 처리.
5. 런던협약(PIANC, 1996), 등 국제조약의 비준으로 해양투기 불가능. 매립장의 경우 기존매립지의 용량부족 및 탈수/건조 등의 중간처리 비용문제, 대규모 매립시설부지확보의 문제, 주변환경오염문제, 소각시 2차 대기오염물질 발생 등에 따른 준설토의 효과적인 처리 및 재활용 어려움 -> 녹색기술 개발 시급
최종목표 - PVDF의 적용으로 매립 또는 투기방법으로 처리되는 준설토를 양질토로 전환하여 재활용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 처리량을 줄여 비용을 감소.
- 녹색기술인 바이오 살포제 및 음용가능한 계면활성제의 사용 -> 유류 등의 탈착효율을 높임에 따라 기존 토양의 정화기술 대비 약품사용량 감소, 비용부담 및 오염부하량의 감소로 후처리 문제 해결.
- 즉, 이 연구의 최종목표는 매년 증가하고 있는 준설토 및 복합오염토의 처리문제를 해결할 친환경적 통합탈수정화법 및 장치를 개발하여 준설토 및 복합오염토의 재활용을 활성화하고 국내 현실에 적합한 재활용 기술을 중점적으로 확보, 특히 주변 해양환경복원에 필요한 선진 활용기술을 확대 연구하여 국제적 기술지위 확보에 있음.
연구내용 및 범위 - 준설토사처리 및 재활용기준 개발로 합리적인 방안 제시
- 공정개발에 중요한 인자를 구분하여 토양에 따른 최적운전조건을 도출하고, 연속운전이 가능 할 수 있도록 공정을 설계하여 창의적이고 선진화된 복합 탈수정화법 개발
- PVDF, 토양/세척수 이송공정과 접촉 반응기 설계와 운영기술 제안
- 토양정화 및 PVDF 장치의 설계자료
- 실험실 규모 파일롯(pilot) 공정설계 및 가능성 검토
- 오염준설토사의 재활용을 위한 획기적인 처리 기술 체계화
- 녹색정화 처리에 따른 준설토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DB화
- 정화된 준설토 성상에 따른 구체적인 재활용 방안 제시
- 해외기술과 차별성을 구체화한 후에 논문 및 특허 제출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2차년도 - PVDF를 이용한 준설토 및 복합오염토 탈수 및 정화기술
- 음용가능한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준설토 및 복합오염토 정화 기술
- 효율적인 공정운영의 자동제어를 위한 시스템 개발
- 시스템 통합 및 테스트
- Scale up을 통한 현장 적용성 검토(처리기기 제작)
- 실규모 장치의 사양, 성능, 규모, 기능 등 결정 및 설계
- 최대 에너지 절감 효율을 갖는 태양광 모듈을 이용한 전력 공급 시스템 개발
- 안정적이고 정확한 자동 제어시스템 개발
- 해외기술과 차별성 구체화 후 논문 및 특허 제출
- 최적 여부 테스트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 이 연구개발의 성공을 통하여 준설토 및 복합오염토 정화기술수준을 선진국 대비 80% 수준에 이를 수 있으며, PVDF라는 환경친화적인 녹색에너지를 사용하여 처리효율을 높임에 따라 기존 준설토 및 복합오염토 정화기술 대비 화학약품사용량을 대폭 감소함으로써 경제적 측면과 환경적 측면을 동시에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 뿐만 아니라 현재까지 준설토 및 복합오염토양의 정화에 관한 국내기술의 취약점을 이 연구를 통하여 상당한 개선 가능
- 준설토의 토양보전법상 '나'지역에 적용 -> 유류 등에 대하여 우려 지역 기준 이하로 낮춤
- 녹색 정화 처리 전후의 준설토의 물리 화학적 특성 평가와 준설토 성상 및 녹색정화 처리 효율에 따른 준설토 활용방안 제시, 점착력이 큰 세립토의 경우는 효과적인 탈수공정을 통하여 준설토 매립체적 감소, 비교적 양질의 사질토의 경우는 토목공사에 직접 사용(뒤채움재 및 경량 혼화재로 개발)
-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하여 공정 시스템을 자동 제어함으로서 보다 효율적이고 개선된 유지관리 기술의 개발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 PVDF적용 및 오염물질의 혼합정도/농도에 따른 설계된 세척액의 적용을 통한 약품사용량의 감소뿐만 아니라 약품사용에 따른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초기시설비와 유지에 관한 비용부담을 감소할 수 있음. 또한 약품사용량의 감소에 따른 오염부하량의 감소로 후처리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비오염 에너지인 PVDF를 적용함에 따라 사회적 호응도가 클 것으로 판단됨.
활용방안 1. 이 연구로 원천 기술이 확보되고 추후 실/대형 및 현장적용을 위한 연구가 진행된다면 이를 이용한 기업화 또는 해당 기업으로의 기술이전에 상당히 유리한 위치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며 녹색기술을 주안점으로 국제적 위상확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됨.
2. 활용주체
- 기술이전에 따라 토양 정화업 및 준설 등록업체
- 소규모 오염토양 자체처리가 가능한 군부대 등
- 토지 및 주택개발사업 중 발생된 오염토양 정화 및 처분

3. 활용대상지역
- 4대강사업, 경인운하사업, 해안 및 항만건설/개발시 인공습지, 매립지, 서식지 및 인공섬 개발 사업 등
- 미군군부대 이전 계획지역 환경복원사업
- 공단지역, 전 공장지역, 매립지 등 오염 의심지역
- 토지 및 주택개발사업 등 토양정화가 시급한 지역
- 군부대, 주유소, 유해물질 저장탱크 주변 등 정화명령 조치지역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음용가능계면활성제 자동제어시스템 준설토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탈수
영문 Edible Surfactant Auto Control System Sediment Polyvinylidene Fluoride Dewaterability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PVDF와바이오계면활성제를이용한준설토의탈수정화기술개발_20120808_20111228_최종_박중규.pdf   다운로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