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레미콘 생산 품질관리 자동화 시스템 개발2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건설기술연구사업 과제번호 10CCTI-C054116-02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기계 | 생산기반기술 | 달리 분류되지 않는 생산기반기술 적용분야 기타 산업
2순위 None | None | None 실용화대상여부 실용화
3순위 None | None | None 과제유형 개발
과제명 레미콘 생산 품질관리 자동화 시스템 개발
주관연구기관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우영제
소속 (재단)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직위 책임
기관 대표번호 02-2102-2610 FAX 02-856-5623
총 연구기간 2009-12-29 ~ 2011-12-28
당해연도 연구기간 2010-12-29 ~ 2011-12-28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2차년도 314,000,000 10,500,000 94,500,000 105,000,000 419,00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2차년도는 개발하고자 하는 장비의 시작품 제작, 개발 장비의 통합 관리시스템 구축을 통한 레미콘 배쳐플랜트의 현장 적용으로 목표하는 제품성능의 완성 등 개발 제품의 개선/보완을 거쳐 최종 완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개발 과정 중 얻어지는 기술적 연구결과를 통해 특허, 논문, 기술세미나 및 교육 등 다양한 기술적 성과물을 기대함.
최종목표 . 회수수 고형분 측정 자동화 시스템 개발
. 레미콘 단위수량 측정 시스템 개발
. 잔골재 표면수율 측정 자동화 시스템 개발
. 회수수 고형분, 레미콘 단위수량, 잔골재 표면수율 통합 품질관리 자동화 시스템 개발
연구내용 및 범위 ○ 통합 품질관리 자동화 시스템 개발
- 측정결과의 분석 및 종합적인 통보시스템 개발
- 고형분율에 따른 청수 투입시스템 개발
- 잔골재 표면수율에 따른 배합비 변경시스템 개발
- 단위수량 결과에 따른 배합비 보정시스템 개발
○ 개발제품의 시작품 제작, 설치 및 파일롯 테스트
- 현장 적용을 위한 시작품 제작(회수수 고형분 측정 자동화시스템,
레미콘 단위수량 측정시스템, 잔골재 표면수율 측정 자동화 시스템, 통합 품질관리 자동화 시스템)
- 레미콘 배쳐플랜트에 시작품 설치
- 현장 모니터링
- 현장 모니터링 데이터분석을 통한 개선사항 도출
- 제품의 보완/개선
. 개선/보완제품의 측정범위 성능평가
. 개선/보완제품의 정확도 및 재현성 성능평가
. 개선/보완제품의 폐수 농도 측정 센서 세정 평가
. 보완된 관계식에 따른 단위수량 추정식 재산출
. 마이크로파의 전기적 신호값과 수분의 관계식 재산출
. 자동 세정장치의 재검토 후 세정효과 평가
. 개선/보완제품의 송수신 제어부 설계 검토
○ 최종 보고서 및 기술적 성과물 작성
- 품질관리 매뉴얼
- 전문가 초청의 홍보세미나 자료 작성
- 개발 장비 관련 기술 연수 자료 작성
- 개발 기술 관련 논문 작성
- 최종 보고서 작성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2차년도 1.회수수 고형분 측정 자동화 시스템 개발
2.레미콘 단위수량 측정 시스템 개발
3.잔골재 표면수율 측정 자동화 시스템 개발
4.통합 품질관리 자동화 시스템 개발 및 현장적용성 평가
1.현장 적용을 위한 시작품 제작
-레미콘 배쳐플랜트에 시작품 설치
-현장 모니터링
-현장 모니터링 데이터 분석을 통한 개선사항도출
-제품의 보완/개선
-개선/보완제품의 측정범위 성능평가
-개선/보완제품의 정확도 및 재현성 성능평가
-개선/보완제품의 폐수 농도 측정 센서 세정 평가
-성능평가 결과에 따른 제품 보완
-관련 데이터 분석
-자문회의를 위한 의견수렴
-최종보고서 작성
2.현장 적용을 위한 시작품 제작
-현장 적용을 위한 사전준비
-현장 모니터링
-현장 모니터링 데이터 분석을 통한 개선사항도출
-개선/보완제품의 정확도 및 재현성 성능평가
-성능평가 결과에 따른 제품 보완
-관련 데이터 분석
-자문회의를 위한 의견수렴
-최종 시작품 제작
-최종보고서 작성
3.현장 적용을 위한 시작품 제작
-레미콘 배쳐플랜트에 시작품 설치
-현장 모니터링
-현장 모니터링 데이터 분석을 통한 개선사항도출
-마이크로파의 전기적 신호값과 수분의 관계식 재산출
-자동 세정장치의 재검토 후 세정효과 평가
-개선/보완제품의 정확도 및 재현성 성능평가
-개선/보완제품의 송수신 제어부 설계 검토
-성능평가 결과에 따른 제품 보완
-관련 데이터 분석
-자문회의를 위한 의견수렴
-최종 시작품 제작
-최종보고서 작성
4.시작품의 현장적용에 따른 모니터링 결과분석
-제품요구 사항 도출 및 대책 방안 검토
-측정결과의 분석 및 종합적인 통보시스템 개발
-고형분율에 따른 청수 투입시스템 개발
-잔골재 표면수율에 따른 배합비 변경시스템 개발
-단위수량 결과에 따른 배합비 보정시스템 개발
-시작품 제작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 국내 유일의 장비개발을 통한 관련 기술의 리더적 위상 확보로 선진국의 기술이전 기피현상 및 규제회피 극복
. 레미콘 세척폐수의 재 자원화,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품질변동의 최소화, 불량 레미콘 생산 방지화 기술 확보
. 안정적 레미콘 생산 관리 시스템 구축으로 불량 레미콘 발생을 저감시키는 환경부하 저감형 녹색기술 확보(이 산화탄소 발생량 183,132t 저감)
. 변동 재료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레미콘 품질 변동최소화 기술 확보
. 레미콘 배합설계 및 품질 조기판정시스템 기술 확보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 레미콘 생산 품질관리 자동화 시스템의 시장 창출
(국내시장: 399억원, 세계시장: 6,384억원)
. 국내외적으로 생산되고 있지 않은 레미콘 생산 품질관리 자동화 시스템 개발로 1,276억원의 수출 효과 기대
. 레미콘의 친환경, 저탄소, 녹색성장의 시대적 역할에 부응하고, 환경부하를 저감시키는 안정적 레미콘 생산품 질관리 자동화 시스템을 통한 약 407억원 규모의 생산성 향상(불량레미콘 발생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 방지효과)
. 레미콘 품질 불량에 의한 철거비 등의 사회적 비용 절감
. 레미콘 조기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레미콘 폐수의 품질확보로 부실공사 방지로 공급자와 사용자간의 불필요한 분쟁비용 절감
. 폐수로 분류되어 있는 레미콘 폐수의 효율적인 전량 사용으로 환경부하 저감 효과(82억원의 수돗물 대체 효과 , 이산화탄소 감축량 6,876ton)
. 레미콘 품질의 안정성을 도모하여 공급자(레미콘), 시공자, 관리자간의 대외 신뢰도 향상
활용방안 - 본 과제의 연구결과인 레미콘 생산 품질관리 자동화 시스템의 적극적인 현장적용 활용을 위해서는 관련 레미콘과 관련된 법령인 국토해양부의 건설기술관리법, 지식경제부의 KS F 4009, 환경부의 수질환경보전법 시행규칙 등 대부분 육성정책보다는 규제를 강화하는 정책위주로 향후 개발이 되는 시점에서 본 과제를 통해 개발된 장비가 국가 육성정책과 맞물려 보편화되고 활성화 될 수 있는 정책적 뒷받침이 반드시 필요하므로 개선 후 활용.

-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한국산업규격인 레미콘의 생산규격과 원재료 관리, 시험방법 등에 대하여 폭넓은 기준을 마련하고 있는 “KS F 4009 심사기준”에 레미콘 생산 품질관리 자동화 시스템의 사용을 권장하고, 건설기술관리법의 “레미콘?아스콘품질관리지침”과 “레미콘 현장배치플랜트 설치 및 관리에 관한 지침”에서도 레미콘의 품질을 한 단계 상승시킬 수 있는 품질관리 자동화 시스템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지침의 변경 개정 후 활용.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레미콘 품질관리 자동화 고형분 표면수
영문 Ready-Mixed-Concrete Quality Control Automatic System Solidity Surface Moisture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레미콘생산품질관리자동화시스템개발_20111228.pdf   다운로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