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강상자 구조와 트러스 구조가 결합된 장경간 하이브리드 교량구조 개발1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건설기술연구사업 과제번호 10CCTI-C056925-01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건설 교통 | 시설물 설계 해석기술 | 교량 적용분야 건설업
2순위 None | None | None 실용화대상여부 실용화
3순위 None | None | None 과제유형 개발
과제명 강상자 구조와 트러스 구조가 결합된 장경간 하이브리드 교량구조 개발
주관연구기관 (주) 삼현피에프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신동기
소속 주식회사 에이앤에스 직위 연구소장
기관 대표번호 - FAX -
총 연구기간 2010-12-29 ~ 2013-08-28
당해연도 연구기간 2010-12-29 ~ 2011-08-28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1차년도 360,000,000 85,000,000 275,000,000 360,000,000 720,00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정모멘트 구간에는 강상자 구조를 적용하고, 높은 형고가 필요하여 운반에 제약을 받는 부모멘트 구간에는 트러스 구조를 적용하여 구조성능 개선 및 현장작업 최소화를 통해 공사비를 20% 이상 절감할 수 있는 경간장 80~150m 내외의 교량구조 개발 하여 사업화하는 기술혁신사업.
최종목표 강상자 및 트러스 하이브리드 교량 최적구조 개발 (경간장 80~150m)
강상자 및 트러스 하이브리드 교량 설계/시공기술 개발
강상자 및 트러스 하이브리드 교량 상용화기술 개발
연구내용 및 범위 (1) 강상자 및 트러스 하이브리드 교량 최적구조 개발 (경간장 80~150m)
① 강상자 및 트러스 접합부 최적상세 개발
② 강상자 및 트러스 하이브리드 교량 설계 프로세스 개발
③ 강상자 및 트러스 하이브리드 교량 제작/시공 프로세스 개발
④ 강상자 및 트러스 접합부 구조성능검증
(2) 강상자 및 트러스 하이브리드 교량 설계/시공 기술개발
① 강상자 및 트러스 하이브리드 교량 설계자동화 프로그램 개발
② 강상자 및 트러스 하이브리드 교량 설계/시공/유지관리 지침 개발
③ 강상자 및 트러스 하이브리드 교량 구조성능검증
(3) 강상자 및 트러스 하이브리드 교량 상용화기술 개발
① 강상자 및 트러스 하이브리드 교량 제품화 기술개발
② Test Bed 적용 및 현장재하시험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1차년도 강상자 및 트러스 접합부 최적상세 개발
● 강상자 및 트러스 하이브리드 교량 설계 프로세스 개발
● 강상자 및 트러스 하이브리드 교량제작/시공 프로세스 개발
● 강상자 및 트러스 접합부 구조성능 검증
● 연결방식 분류
: 다이아프램 보강방안 & 트러스 일체 강상자 단부 연결
● 변수 연구 - ABAQUS 상세 해석
● 강상자 연결부 보강상세 도출 - 축력휨모멘트 전달 상세
● 고강도 소재 적용 응력/처짐 검토 - MIDAS 전체계 해석
● 연속지점부 콘크리트 바닥판 설계검토
: 전체계 해석모델링 방안 / 콘크리트 강성 산출방안 도출
● 트러스 CFT 하현재 설계방안
: 좌굴검토 및 콘크리트 강성기여 유무
● 전체계 해석시 접합부 모델링 정립
: 빔 & 트러스 부재 연결방안 도출
● 트러스 부재 용접 최소화 방안 도출
: 국내 절곡설비 검토 : 절곡가공에 의한 1면 용접방안 검토
● 현장 지조립 & 가설 후 공중 접합 방안 도출
● 접합부 보강재 용접 제작성 평가
● 응력집중 완화 상세 제작성 평가
● ABAQUS 상세해석 - 응력집중 검토 / 접합부 내하력 검토
● 강박스 및 트러스 접합부 시험체 제작
: 길이 - 10m, 3@120m 부분모델
● 피로성능평가
: 100톤 Dynamic Actuator(피로상세별 200만회 피로 검증)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 강상자 및 트러스 접합구조를 개발하고 구조물 적용성 평가부터 최종적인 하이브리드 교량 구조물 시스템 개발까지 실용화 기술이 확립된다면 기술개발 완료시 선진 수준 이상의 기술을 보유할 수 있음.
- 80~150m 적용 가능 신형식 교량 기술 보유
- 공사기간 및 공사비 20% 절감
● 국제건설시장이 전면 개방이 될 경우, 현지 여건상 사회간접자본 시설 중 각종 도로나 지하철 등의 교통시설이 미흡한 동남아 및 중동의 여러 나라에 본 기술을 적용하여 해외수주가능. 특히 베트남 말레이시아와 같은 삼림이 많은 지역이나 산간지역에 진출가능.
● 본 기술이 보다 더 진보가 되고 발전이 된다면, 본 기술을 해외에 특허로 지정하여 제품의 생산이 아닌 기술력을 수출하는 새로운 고부가가치 창출가능 및 국제적으로 나아가는 발판 제공.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 강상자 및 트러스 하이브리드 교량은 80~150m까지 장경간화가 가능하여 사회적 요구가 주변 환경과 관련 여유와 관심이 고조되어 가는 추세에 따라 가장 기본적인 공공시설물이라 할 수 있는 교량에 대한 경관기능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형하 공간 확보가 유리해 홍수 등의 자연재해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음.
● 80~150m 장경간 교량 적용시장은 연간 3,600억원 수준으로 강상자 및 트러스 하이브리드 교량은 기존 거더 대비 공사비를 20%이상 감소시켜 전체시장의 50%를 대치할 경우 약 360억원/년의 건설비용 절감 가능.
활용방안 ● 본 개발기술은 80~150m 장경간에 적용 가능한 구조형식개발로 기존 강박스거더 및 PSC박스 거더, 특수교량(아치, 트러스) 형식에 비해 제작공정이 단순하여 공사비를 20% 이상 절감할 수 있음.
● 설계표준화 및 설계 자동화 프로그램 등 표준설계 개념을 도입하여 연구결과를 일반기술자도 쉽게 활용할 수 있음.
● 연구개발성과는 제작사/설계사/시공사로 구성된 참여기업의 적극적인 공사반영으로 연구기간 내에 자연스럽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며 건설신기술 획득으로 보급을 확대할 예정임.
● 국내 건설사 기술이전을 통한 해외사업 진출 지원 가능 기술 제공.
● 정기적인 기술 세미나, Web Site를 이용한 연구결과 홍보, 연구 성과물 특히 각종 Guide류의 배포 등 각종 기술홍보 활동을 통해 연구 참여업체 이외의 관련업체와도 공유할 계획.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강상자 장경간 트러스 하이브리드 교량
영문 steel box long span truss hybrid bridge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강상자구조와트러스구조가결합된장경간하이브리드교량구조개발_2013028.pdf   다운로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